개요 및 연혁
-
유엔에서의 북한인권 문제 논의는 유엔 인권이사회 및 총회에서 매년 채택되는 북한인권 결의를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2003년 제59차 유엔 인권위원회(현 인권이사회의 전신)가 처음으로 북한인권 결의를 채택하였으며, 유엔 총회에서는 2005년부터 북한인권 결의가 채택되고 있습니다.
유엔 총회 결의는 북한 내의 인권침해 및 식량위기 등 인도적 상황에 대해 우려하고 북한의 개선 노력을 촉구하는 포괄적 내용을 담아왔으며, 인권이사회 결의는 인권이사회 특별절차(special procedure)의 하나인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의 임명 또는 임무 갱신을 요청하고, 북한과 유엔 등 국제사회에 북한인권 개선을 위한 노력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변국 방문, 탈북민 면담 등의 결과를 토대로 매년 2차례 북한인권 상황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여 유엔 인권이사회와 총회에 각각 제출하며, 유엔 사무총장도 매년 유엔 총회에 북한인권 상황에 대한 보고서를 제출합니다.
최근 논의 동향 및 전망
-
2019년 3월 제40차 유엔 인권이사회는 투표없이 컨센서스로 채택된 결의를 통해 현재 진행중인 외교적 노력을 환영하고 북한내 인권 및 인도적 상황 개선을 위한 남북대화를 포함한 대화와 관여의 중요성에 주목하였습니다.
또한, 이산가족 문제와 관련하여 2018년 8월 이산가족 상봉 재개를 환영하고, 이산가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인도적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한 2018년 9월 남북정상회담 합의사항을 환영하는 작년 유엔 총회 결의 내용이 새롭게 포함되었습니다.
우리 정부는 최근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남북간의 교류.협력 강화가 북한 주민들의 인권을 실질적으로 개선시키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유엔 등 국제사회와 긴밀히 공조해 나갈 것입니다.
관련 문서
-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COI)
-
유엔 인권이사회(舊유엔인권위원회) 북한인권결의
-
유엔 인권이사회(舊유엔인권위원회)에 제출된 북한인권 특별보고관 보고서
-
유엔 총회 북한인권결의
-
유엔 총회에 제출된 북한인권 특별보고관 및 유엔 사무총장 보고서
- 제75차 총회 보고서(특별보고관)
- 제75차 총회 보고서(사무총장)
- 제74차 총회 보고서(특별보고관)
- 제74차 총회 보고서(사무총장)
- 제73차 총회 보고서(특별보고관)
- 제73차 총회 보고서(사무총장)
- 제72차 총회 보고서(특별보고관)
- 제72차 총회 보고서(사무총장)
- 제71차 총회 보고서(특별보고관)
- 제71차 총회 보고서(사무총장)
- 제70차 총회 보고서(특별보고관)
- 제70차 총회 보고서(사무총장)
- 제69차 총회 보고서(특별보고관)
- 제69차 총회 보고서(사무총장)
- 제68차 총회 보고서(특별보고관)
- 제68차 총회 보고서(사무총장)
- 제67차 총회 보고서(특별보고관)
- 제67차 총회 보고서(사무총장)
- 제65차 총회 보고서(특별보고관)
- 제65차 총회 보고서(사무총장)
- 제64차 총회 보고서(특별보고관)
- 제64차 총회 보고서(사무총장)
- 제63차 총회 보고서(특별보고관)
- 제63차 총회 보고서(사무총장)
- 제62차 총회 보고서(특별보고관)
- 제62차 총회 보고서(사무총장)
- 제61차 총회 보고서(특별보고관)
- 제60차 총회 보고서(특별보고관)
관련 발언문/연설문
- 제71차 유엔 총회 고위급 회의 계기 '인권 주류화를 통한 분쟁 예방 고위급 회의'시 발언문(외교장관)
- 북한문제 의제상정 및 토의를 위한 안보리 회의시 발언문(주유엔대사)
- 제69차 유엔 총회 3위원회 북한인권 특별보고관과의 대화시 발언문(이정훈 인권대사)
- 제69차 유엔 총회 북한인권 고위급 행사시 발언문(외교장관)
- 제68차 유엔 총회 3위원회 북한인권 COI 위원장 및 북한인권 특별보고관과의 대화시 발언문(이정훈 인권대사)
- 제67차 유엔 총회 3위원회 북한인권 특별보고관과의 대화시 발언문(주유엔차석대사)
- 제19차 인권이사회 북한인권 특별보고관과의 대화시 발언문(주제네바대사)
- 제66차 유엔 총회 북한인권 특별보고관 대화시 발언문(주요내용)
관련사이트
메뉴담당부서 : 인권사회과
전화 : 2100-7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