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
- 영사·국가
- 국가/지역 정보
- 국가/지역 검색
국가/지역 검색
국가/지역 정보
기본정보
일반사항
- 수도 : 베오그라드(163만명)
- 인구 : 706만명
- 인종 : 세르비아인(83.3%), 헝가리인(3.5%), 로마인(2.1%), 보스니아인(2%) 등
- 면적 : 88,361Km²(한반도의 1/3)
- 종교 : 세르비아정교(84.6%), 카톨릭(5.5%), 이슬람(3.1%) 등
- 언어 : 세르비아어
- 국경일 : 2.15(국가제정일)
정치현황
- 정부형태 : 의원내각제(대통령 직선, 임기 5년)
- 의회구성 : 단원제 (의석 250석, 임기4년)
- 주요정당 : 세르비아혁신당(SNS), 세르비아사회당(SPS), 세르비아급진당(SRS), 민주당(DS), 세르비아민주당(DSS) 등
- 주요인사 성명
- 대통령 : 알렉산다르 부치치(Alexsandar Vucić '17.5-)
- 총리 : 아나 브르나비치(Ana Brnabić, '17.6-)
- 외교장관 : 니콜라 셀라코비치(Nikola Selaković, '20.10-)
최근 주요정세
- 02.03.14 세르비아 및 몬테네그로 정부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가연합설립을 위한 협정 (Belgrade Agreement)을 체결
- 03.02.04 「세르비아·몬테네그로⌋ 신국가출범
- 03.03.07 「마로비치」 대통령 취임
- 03.03.12 「진지치」 세르비아 총리 피살
- 03.12 세르비아공화국 총선
- 04.03.03 「코슈투니차」총리 주도 세르비아 공화국 신정부 출범
- 04.07.11 「타디치」 대통령 취임
- 06.06.03 몬테네그로 공화국 분리 독립, 세르비아 공화국이 세·몬 국가연합 계승
- 07.01.21 세르비아공화국 총선
- 07.05.11 「코슈투니차」총리 주도 신정부 출범
- 08.02.03 「타디치」대통령 재선
- 08.02.17 코소보 독립선언(한국의 코소보승인 3.28)
- 08.05.11 조기총선
- 08.07.07 「츠벳코비치」총리 주도 신정부 출범
- 12.04.04 「타디치」대통령 사임
- 12.05.31 「니콜리치」대통령 취임
- 12.07.27 세르비아혁신당, 세르비아사회당, 지역협력당 연합 신정부 출범
- 13.04.19 세르비아-코소보 총리회담시 양국간 관계정상화 합의안 타결
- 14.03.16 조기총선
- 14.04.27 세르비아혁신당, 세르비아사회당, 헝가리계 소수민족정당 연합 신정부 출범
- 16.04 조기 총선 결과, SNS 압승(51.7% 득표)
- 17.04 대선에서 SNS 소속 부치치 現 총리가 55% 이상 득표하여 대통령 당선 사실상 확정
- 18.12 베오그라드 및 주요 대도시 위주로 반정부 시위 지속
- 20.06 총선 결과, SNS 압승 (60.65%)
경제현황(2019, EIU 추정치)
- GDP : 514억불
- 1인당 GDP : 7,149불
- 교 역 : 431억불 (수출 184억불/수입 247억불)
- 경제성장률 : 4.3%
- 화폐단위 : Dinar(RSD) (1$=103.4Dinar)
- 주요자원 : 석탄, 구리, 납 등
우리나라와의 관계
- 수교일자 : 1989.12.27.
- 98.06 주유고대사관 폐쇄(주루마니아 대사관 겸임)
- 99.03 주한유고대사관 폐쇄(주일 유고 대사관 겸임)
- 02.03 주유고대사관 재개설
- 04.11 주한세르비아대사관 재개설
- 주한대사소환(08.3.30) 및 귀임(08.10.20)
- 공관장 현황
- 최형찬 주세르비아대사(2018.11월 부임)
- Zoran Kazazović 주한대사(2014.8.8. 신임장 제정)
- 수출입 현황 및 주요품목(2019, KITA)
- 교역규모(3.83억불)
- 수출: 1.42억불(승용차, 평판디스플레이 등)
- 수입: 2.41억불(사료, 자동차부품 등)
- 교역규모(3.83억불)
- 투자누계(2018)
- 對세 : 1,264만불
- 주요인사 교류
- 90.03 최호중 외교장관 방세
- 90.11 Jović 대통령 방한
- 91.05 박동진 대통령특사 방세
- 95.06 Bulajić 외교차관 방한
- 02.10 황두연 통상교섭본부장 방세
- 02.11 Svilanović 외교장관 방한
- 04.03 Crnogorcević 외교차관보 방한
- 05.03 Perović 외교차관보 방한
- 05.04 Boskić 외교차관 방한
- 06.10 임채정 국회의장 방세
- 07.12 Radojković 외교차관보 방한
- 09.02 신각수 외교차관 방세
- 09.07 한-세 의원친선협회 방세
- 09.09 나경원 대통령 특사 방세
- 09.11 국회스카우트의원연맹대표단 (정의화 의원 등) 방세
- 10.06 Cvetković 총리 방한
- 10.09 Dinkić 부총리 겸 경제․지역개발부 장관 방한
- 10.11 Novakovic 국회부의장 방한
- 11.07 Vuijc 외교차관보 방한
- 12.06 Zec 경제차관 방한
- 12.11 김규현 차관보 방세
- 12.12 Karadjordjevic 왕세자 방한
- 14.12 한-세 의원친선협회 방세
- 15.06 김홍균 차관보 방세
- 15.12 신동익 다자조정관(OSCE각료회의) 방세
- 15.12 김재홍 KOTRA사장방문(무역관개설) 방세
- 16.03 Udovicki 행자부 장관(전자정부협력) 방한
- 17.02 김동극 인사혁신처장 방세
- 17.04 제1차 문화공동위(문화외교국장)
- 17.11 Vujic 외교부 정무총국장 방한
- 17.11 Sarcevic 교육과학기술개발부장관 방한
- 17.12 조현 제2차관 방세
- 18.02 Udovicic 청년스포츠부 장관(평창올림픽) 방한
- 18.03 박주선 국회부의장 방세
- 18.03 조경태 국회 기재위원장 방세
- 18.09 Trivan 환경보호부 장관 방한
- 19.03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방세
- 19.05 한-세 의원친선협회 방세
- 19.06 강경화 외교장관 방세
- 19.10 문희상 국회의장 방세
- 19.10 윤순구 차관보 방세
- 19.12 Gojkovic 국회의장 방한
- 동포현황(2019) : 150명
- 상호 무비자 : 90일
북한과의 관계
- 48.10 외교관계 수립
- 62.10 외교관계 단절(유고 코민포름 탈퇴)
- 71.09 외교관계 복원
- 01.10 양국, 상주 대사관 폐쇄 합의(북한은 주불가리아 대사관 / 세르비아는 주중대사관 겸임)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