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eg(전자정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 어린이·청소년
  2. RSS
  3. ENGLISH

외교부

외교부 브리핑

대변인 정례브리핑 (11.7)

부서명
언론담당관실
작성일
2019-11-07
조회수
2139



I. 모두 발언

 

안녕하십니까? 117일 목요일 정례브리핑을 시작하겠습니다.

 

1. 장관 외교부-대한적십자사 간 업무협력약정 서명

 

강경화 장관은 1111일 박경서 대한적십자사 회장과 '개발도상국 문화예술 미래인재 육성 및 사회인식 제고를 위한 외교부-대한적십자사 간 업무협력약정'에 서명합니다.

 

이 약정이 양 기관 간 협력 강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우리 문화역량을 활용한 새로운 민관 협력모델을 통해 개도국에 대한 공공문화외교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2. 2차관 제9차 동아시아-라틴아메리카 협력포럼 외교장관회의 참석

 

이태호 2차관은 119일 도미니카공화국 산토도밍고에서 개최되는 제9차 동아시아-라틴아메리카 협력포럼, FEALAC이라고 합니다.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합니다.

 

이번 회의에서는 올해 창설 20주년을 맞은 FEALAC 협력의 내실화와 더불어 FEALAC의 향후 발전방향 등이 논의될 예정입니다.

 

이 차관은 이번 회의 참석 계기에 도미니카공화국 외교장관 그리고 콜롬비아 외교차관과도 양자회담을 가집니다.

 

또한 1111일 코스타리카를 방문, 양국 간 현안 그리고 상호 협력 방안에 대해 협의할 예정입니다.

 

이상입니다. 질문 받겠습니다.

 

II. 질의 및 응답

 

<질문>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입니다. 6일 오후 7시쯤에 어제 문화일보 보도에 대한 해명자료를 내셨는데요. 외교부 해명자료로는 제가 처음 봤는데 언론사 명하고 기사 제목, 그리고 여기에 더해서 기자 이름까지 적시를 하셨습니다. 이날부터 모든 언론해명자료에 기자 이름 적시하시는 것이 외교부의 공보방침이라고 설명도 하셨습니다.

 

제가 외교부를 취재하고 감시·견제하는 기자로서 몇 가지 문제점 지적하고 질문 드려야 할 것 같습니다. 기자 이름 적시하신 것이 언론보도 대응에 적극 대응하는 차원이라고 하셨는데요. 해명자료에 기자 이름 적시하는 것이 어떤 부분에서 언론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보시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적극 대응이라는 말씀을 누가 드렸는지 모르지만 대응의 일환입니다.

 

<질문> 어제 대변인님께서 설명을 직접 언론에 대응하는 차원이라고.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저는 적극이라는 말을 사용했는지는 기억은 안 나고요.

 

<질문> 그럼 적극은 빼고 언론에 대응하는 차원이라고 하셨는데.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기사 다 실명으로 나가지 않습니까? 대응도 실명으로 하면.

 

<질문> 그러니까 그럼 기자 이름을 적시하시는 것과 안 하시는 것의 차이는 어떤?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별 차이가 없다고 생각을 합니다.

 

<질문> 그런데 적시하시게 된 이유는?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별 차이가 없어서 적시를 했습니다.

 

<질문> 앞으로 계속 공보방향을 이름을 적시하시는 방향으로?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적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이 되면 적시를 할 것입니다.

 

<질문> 어떤 부분에서 적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을 하셨습니까?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오보 성격이 크거나, 그런 경우에 적시를 할 것입니다.

 

<질문> 오보 대응이라고 하신다면 언론사 이름하고 기사 제목만 언급하시고도 거기에 대한 외교부 입장을 국민들에게 전달하실 수 있는데, 왜 기자이름을 언급해서 어떤 효과를 기대하시는 건지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아서.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그거까지 설명드릴 일은 아닌 것 같고요.

 

<질문> 아닙니다.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대응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기자 성명을 쓸 수 있고 안 쓸 수도 있습니다.

 

<질문> 저는 기자 생활하면서.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쓰는 경우도 생길 것입니다.

 

<질문> 처음 본 경우이기 때문에 어떤 배경에서 이런 결정을 하신 건지, 외교부 차원의 결정인 건지 아니면 더 윗선의 결정까지 포함해서 이게 정부 전체의 방침인 건지, 거기에 대한 설명을 해 주셔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일상적인 대응의 일환입니다.

 

<질문> 일상적으로 보지 못했던 일이어서 질문을 드리는 겁니다. 회피하지 마시고 이런 의사결정 과정이 있었다면 어떤 배경에서 이루어진 것인지.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 언론...

 

<질문> 대변인 개인적으로.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언론 오보에 대해서 정당한 대응을 했는데, 그거에 대해서 여러 가지 질문을 해 주셨는데 충분히 설명을 드렸다고 생각을 합니다.

 

<질문> 제가 정당하고 안 정당하고, 불법 아니면 합법을 따지는 게 아니고 정부 방침에 대해서 배경에 대해서 설명을 해 달라는, 저는 정당한 요구라고 생각하거든요,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외교부를 대표해서 말씀드리지만.

 

<질문> 그리고 심지어 그 해명자료에 외교부 홈페이지에 공개적으로 이름이 들어간 상황에서 그 언론, 앞으로 외교부가 계속해서 공보방침을 이런 식으로 하시겠다고 하는데, 그 배경을 묻는 게.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김 기자님 기사가, 지면이건 인터넷이건 실명으로 항상 기자님 이름이 올라갑니다.

 

<질문> 아니, 찾아보면 여태까지도 어떤 기자를 누가 썼는지 모든 국민들이 알 수가 있는 상황이었는데 굳이 이 기사에 적시하신 배경이 뭔지를 묻고 있는 겁니다.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 지금 뭐 말씀하신 사항은 잘 알겠고요. 추가로 설명드릴 사항은 제가 없습니다.

 

<질문> 그러면 대변인님 개인적으로 대변인으로 취임하시고 나서 책임을 지시고 내리신 결정이십니까? 윗선의 지시라든지 아니면 외교부 장관님 차원의 뭔가 회의를 하셨다던지 그런 것 없이 개인적으로 결정을 하신 겁니까? 개인적으로 이런 오보에는... 오보인지 아닌지는 두고 봐야 하는 것이고 저는 오보가 아니고 취재를 해서 쓴 거거든요. 그런데 여기에 대해서 오보라고 일방적으로 판단을 하셨고, 그리고 제가 그 기사내용에 대해서도 기사 취지와는 완전히 지금 다른 내용을 말씀하셔서요.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오늘 보시면,

 

<질문> 협상과정에서,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오늘 보시면 어디 다른 보도에는 따옴표까지 써서 그러한,

 

<질문> 아니, 제가 기사에 외교부 해명자료에는,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고려는 전혀 하고 있지 않다, 그렇게 돼 있습니다. 그렇게 보도가 됐습니다.

 

<질문> 외교부 해명자료 내용은 협상과정에서 한미 양측이 주한미군 철수를 염두에 두었거나 그 어떤 논의도 한바 없다는 점이라고 그렇게 서술이 되어 있는데요. 저희는 기사에 이런 내용을 쓴 적이 없습니다. 협상과정에서 주한미군 철수나 감축이 논의됐다는 이야기 기사에 쓴 적이 없고요. 그래서,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제목을 보십시오.

 

<질문> 제목 내용이 뭐라고 쓰여 있던가요? 제목 내용하고 이 해명 내용과는 완전히 다른데요. 제목을 기억하십니까?

 

미국이 모든 카드를 써서 압박 중이라고 했는데 제가 협상장에서 압박을 한다고 쓴 것도 아니고요. 이 데스킹 과정에서 제목은 정말 꼼꼼하게 고민을 해서 나온 거거든요. 그런데 이런 식으로 기사내용과 맞지도 않는 해명자료를 쓰시면서 거기에 기자 이름까지 박아서 이례적으로 대응을 하신 것은,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이례적이지 않습니다.

 

<질문> 이례적이지 않습니까?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

 

<질문> 외교부는 처음 아닙니까? 저는 본 적이 없는데요.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 뭐 이례적이지 않습니다.

 

<질문> 이례적이지 않다고는 또 어떻게 판단을 하고 계시는 겁니까? 어떤 근거에서 그게 이례적이지 않다고 판단을 하시는 건지 설명을 해 주세요.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기사를 작성하신 분의 성함을 넣어야 될 경우에는 넣습니다.

 

<질문> 넣어야 될 경우가 언제인지, 어떤 경우가 넣어야 할 경우인지,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어제의 경우가 그랬습니다.

 

<질문> 그러니까 그게 어떤 배경에서 그런 식으로 정부가,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배경이 아니고 기사 자체를 보시고 저희가 보도해명자료 낸 것을 보십시오.

 

<질문> 완전 다르던데요. 취지가 다른데 그렇게,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 다음 질문 받겠습니다.

 

<질문> 지금 어제 말씀하신 게 주한미군 철수 이런 논의는 이게 굉장히 국가적으로 중요한 사안이어서 그렇게 막 쓰시면 안 된다, 이렇게 말씀을 하셨는데,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중요한 사안이라고 드린 적 없고요, 그리고 저하고...

 

<질문> 제가 국익에,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저하고 어떤 통화를 하셨는지 모르지만 그것이 여기에 거론될 사항은 아니라고 생각을 합니다.

 

<질문> 제가 통화를 했다고 말한 적이 없는데요. 어제 그렇게 말씀하셨다고 했는데, 통화를 했다고 한 적이 없습니다.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

 

<질문> 그 설명에 대해서 그러면 대변인님이 여기서, 이 자리에서 거론하면 안 되는 이유가 뭡니까? 저는 해명자료에 제 이름까지 박아서 내놓으시고는...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저한테 설명을 구하신 건 아니고 그렇기 때문에 제가 설명을 해 드린 사항은 없습니다.

 

<질문> 조선비즈 윤희훈 기자입니다. 관련된 건인데요. 방금 대변인 설명하시기로는 적시할 필요가 있다, 판단해서 했다고 하셨는데요. 기자 명을 쓸 수도 있고 또 안 쓸 수도 있다고 이렇게 이야기를 했습니다. 그런데 이건 좀 어떻게 보면 특정 매체를 겨냥해서 또는 정부에 비판적인 기사에 대해서는 이렇게 판단해서 할 수도 있다는 인상을 주거든요. 모든 매체와 모든 기사의 대응에 대해서는 좀 일관적인 원칙으로 해야 되는 것 아닌가 이런 생각을, (조선비즈 윤희훈 기자)

 

<답변> , 그렇게 할 것입니다.

 

<질문> 다른 질문 좀 드리겠습니다. 10차 한미 방위비분담금 협상 협정이 올해까지 유지되는데 올해... (조선비즈 윤희훈 기자)

 

<답변> 11차 말씀이신 겁니까?

 

<질문> 10차 협정 기한이요. 이제... (조선비즈 윤희훈 기자)

 

<답변> .

 

<질문> 그런데 아시다시피 올해가 이제 얼마 남지 않은 상황인데, 올 초에 협정 체결할 때 당시만 해도 올해 안에 11차 협정을 타결하지 못하면 협정 공백상황을 대비해서 10차 협정을 연장할 수 있다, 이런 조항을 뒀고 또 이에 대해서도 외교부도 강조해서 설명을 했었습니다. 지금 혹시 이와 관련해서 한미 간에 오고 가고 있는 이야기가 있는지, 10차 협정을 연장하는 방안에 대해서 외교부가 생각하는 바가 있는지 궁금하거든요. (조선비즈 윤희훈 기자)

 

<답변> 협상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얘기가 오고 갔는지는 제가 확인해 드릴 수 없습니다. 당시 설명을 강조했다고 말씀하셨는데, 협정문에 들어가 있는 내용이고 그렇게 해서 그런 내용도 있다고 설명을 드렸었을 겁니다.

 

<질문> 그리고 어제 해명자료에 ‘2면의 어느 기자의 기사라고 특정을 하셨는데 문화일보 보도 어제 1면과 2면 기사는 정확히 같은 내용이었거든요. 그런데 2면만 그렇게 적시를 하신 이유가 있으십니까? 1면 기사는 팩트고 2면 기사는 오보고 뭐 그런 의미로 받아들여도 되겠습니까?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그렇게 받아들이지 마십시오.

 

<질문> 그러면 어떤 의미로 받아들여야 됩니까?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나온 것만 보십시오. 나온 것이 중요한 것입니다. 저희가 발표를 하는 것이 중요한 것입니다.

 

<질문> 아니, 나온 것은 기사내용과 전혀 관계없는 해명을 하셨거든요. 기사내용과 취지가 다른 해명을 하셔놓고 거기에 이름까지, 기자 이름까지 적시를 하시고 계속 뭔가... 이게 차라리 그렇게 주장을 하실 거면 외교부의 입장이 그러하다면 그거는 따로 말씀을 하시면 되고 설명자료를 내시면 되지, 기사에 대한 해명을 하셨는데, 1면 기사에 대한 그런 해명은 안 하십니까?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저희가 발표한 게 전부고요. 별다른 특별한 배경이 없습니다. 대응을 할 필요가 있으면 대응을 하는 것이고...

 

<질문> 이런 식으로 개별 기자에 대해서 대응하시는 것은 그 개별 기자한테...(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개별 기자에 대응한 것이 아닙니다. 개별 기사에 대해서 대응을 한 것입니다.

<질문> 그런데 이름은 왜 적시하셨습니까? 기사에 대해 대응을 하신 건데,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그 기사를,

 

<질문> 문화일보 기사였고, 문화일보 기사의 이러한 제목의 기사라고 하면 모든 국민들이 알 수 있는데 굳이 기자 이름을 적시를 하신 게 개별 기자에 대한 대응이 아니라고 제가 받아들일 수 있습니까?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 저희는 개별 기자에 대한 대응이라고 생각하고서 한 것이 아닙니다.

 

<질문> 그러면 이름 빼 주십시오. 왜 개별 기자에 대한 대응을 하셨습니까? 이름 적시한 게 개별 기자에 대한 대응이 아닙니까?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기사에 대한 대응입니다. 그건 뭐 불변의 사실입니다. 기사에 대해서, 저희가 기사에 대해서 취재를 지원해 드리고 기사에 대해서 오류나 그런 것이 있으면 대응을 하는 것입니다.

 

<질문> 그렇다면 같은 기사인데 1면에 대해서는 대응을 안 하신 게 조금 이해가 되지 않아서요. 1면은 그 한 명 기자뿐만이 아니고 2명이 같이 쓴 기사인데, 같은 기사였는데 2면을 언급하시면서 굳이 한 명 기자 이름을 언급하신 데는 뭔가 배경이 있지 않나.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두 기사가 분명히 다른 기사고요. 기사에 대해서 대응을 한 것입니다.

 

<질문> 아니, 쓴 기자가 같은 기사라는데 왜 그걸 다른 기사라고 하십니까?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같은 기사를 두 번 쓰지는 않겠죠, 어느 언론사도.

 

<질문> 아니, 1면 기사에 분량이 부족해서 2면에 해설을 한 건데 이 취지는 거의 같거든요.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다른 기사입니다.

 

<질문> 아니, 같다니까요. (문화일보 김영주 기자)

 

<답변> 알겠습니다.

 

<질문> 키이스 크라크 미 국무부 경제차관이 오늘 민관합동경제포럼에서 중국을 인도·태평양의 안보위협이라고 이렇게 강한 대중 견제성 발언을 했는데요. 이 포럼이 외교부도 공동주최한 행사인데 혹시 이 발언에 대해서 외교부는 어떤 입장을 갖고 있는지 듣고 싶습니다. (조선비즈 윤희훈 기자)

 

<답변> 경제포럼에서 하는 개별 발언에 대해서 저희가 코멘트할 일은 아닐 거라고 생각합니다. 저희 보도자료 냈듯이 우리의 신남방정책과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을 연계한 실질협력 방안을 개발하는 그러한 여러 가지 의견을 각계각층에서 듣고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입니다.

 

마지막 질문으로 알고 이상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언론담당관실
전화
02-2100-8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