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eg(전자정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 어린이·청소년
  2. RSS
  3. ENGLISH

외교부

뉴포커스

강경화 장관 'BBC HARDtalk' 인터뷰 (8.22.)

담당부서
정책홍보담당관실
등록일
2019-08-26
조회수
10023





※ 20.3.1일부터 유튜브는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유튜브 동영상을 시청하시려면 브라우저를 업데이트(크롬, 엣지, 파이어폭스, 오페라 등) 하시길 바랍니다.


Welcome to BBC HARDtalk. I’m Stephen Sackur.
[인터뷰어] 인사드립니다. BBC 하드톡, 스티븐 새커입니다.


Donald Trump, the self-proclaimed ‘deal maker extraordinaire’ is finding the Korean Peninsula tough going. For all his claims of friendship with the North Korean dictator Kim Jong Un, Pyongyang seems no closer to giving up its nuclear arsenal. America’s strategic partnership with South Korea is looking increasingly strained too.


자칭 ‘탁월한 협상가’ 트럼프 대통령은 험난해진 한반도 상황을 목도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독재자 김정은 위원장과의 우정을 강조하는 그의 모든 주장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핵무기를 포기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한·미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도 점차 불편해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Our Guest is South Korean Foreign Minister Kang Kyung-wha. Her country is currently out of step with both the US and Japan. How vulnerable does that make South Korea?


이번 초대 손님은 강경화 한국 외교부 장관입니다. 한국은 현재 미국과 일본 모두와 보조를 맞추고 있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한국을 얼마나 취약하게 만드는 것일까요?


Foreign Minister Kang Kyung-wha, in Beijing. Welcome to HARDtalk.
베이징에 계신 강경화 한국 외교부 장관입니다. 하드톡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Thank you for having me.
[장관] 초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Q: Foreign Minister, I think we have to start, because you are in Beijing, and you’ve had meetings with both Chinese, (and) Japanese Foreign Ministers, we have to start with your very troubled relationship with Japan. I’m gonna quote you the words of a Financial Times newspaper editorial, they say, ‘the world’s been fixated on Donald Trump’s tariffs on China, but a new trade war is emerging in Asia. This time, between Japan and South Korea.“ Is that the way you see it?


[인터뷰어] 장관님, 제 생각에는 장관께서 베이징에 계시기도 하고, 중국, 일본 외교장관들과 만남도 가지셨기 때문에, 일본과의 좋지 않은 관계(에 대한 질문)부터 시작해야 할 것 같습니다. 파이낸셜 타임즈지 사설의 표현을 인용하겠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대(對)중 관세에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지만, 아시아에서 새로운 무역 전쟁이 부상하고 있다. 이번에는 일본과 한국이다. 여기에 동의하시나요? 


A: You know, I’ve seen that article and I have to say that this issue over trade with Japan has come quite unexpectedly, and I have to say, in a very unilateral and arbitrary manner on the part of Japan. We’re prepared to discuss what the issue is and keep this as a trade issue, but I think the steps that they have taken has caused a great deal of problems for our industries and I think you know we want very much to engage with them in the consultations so that we can take this back to pre-July 1 when they had taken these steps.


[장관] 저도 해당 기사를 보았고, 일본과의 무역 문제는 일본측의 매우 일방적이고 자의적인 방식으로 예상치 못하게 시작되었다고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우리는 문제가 무엇인지 논의할 준비가 되어있으며, 이를 무역 문제로 국한시키고 싶습니다. 하지만 일본측의 조치는 한국 산업에 상당한 어려움을 야기하고 있는만큼 우리는 일본측이 조치를 취한 7월 1일 이전의 상태로 돌릴 수 있도록 일본측과 협의하기를 강력히 희망하고 있습니다.


Q: But if I may say so, it’s not clear to me that you really want to lower the temperature. Because the Chinese Foreign Minister said to you both, that is to yourself and to the Japanese Foreign Minister, “Please resolve this issue quickly, get a dialogue going, lower the temperature.” And you, in the same news conference, chose to say, and I’m quoting you, “It is important to eliminate unilateral and arbitrary trade retaliatory steps.” Which was clearly a jab at your Japanese counterpart. So you’re not really trying to sort this out.


[인터뷰어] 이렇게 말씀드려도 괜찮을지 모르지만, 장관께서 갈등 완화를 진정으로 원하고 계신지 잘 모르겠습니다. 왜냐하면 중국 외교부장께서 장관님과 일본 외무상에게 말하기를, “부디 이 문제를 빨리 해결해 달라, 대화를 진행시키고, 갈등을 완화해 달라”고 했습니다만, 장관께서는 동일한 기자회견에서 이런 표현을 선택하셨는데, 제가 인용하자면, “일방적이고 자의적인 무역 보복 조치를 철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셨습니다. 일본측 카운터파트를 향해 일격을 가하신 것이 분명합니다. 문제를 정말로 해결하고자 하시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A: Well, we are, in fact. We have offered to engage on the trade issue. It is unilateral, it is arbitrary, and it is retaliatory. The Japanese rationale for introducing these trade-restrictive measures has shifted. Initially, they linked it to their dissatisfaction over how we were handling our high court judgment on the issue of forced labor, then they gave the rationale that they found problems with our export control measure and that some of these sensitive items may make their way to North Korea. They have clarified that is not the case but there have been “some inappropriate cases”, but they have not explained to us as yet what those inappropriate cases are. We have offered to meet between our trade authorities to talk through their issues and to see how we might address their concerns if their concerns are legitimate. We have not had any response from them.


[장관] 우리는 실제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무역 문제에 대해 논의하자고 제안해왔습니다. 이 문제는 일방적이고, 자의적이며 보복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무역제한조치에 대한 일본의 근거는 변화해 왔습니다. 일측은 처음에는 한국정부가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판결을 다루는 방식에 대한 불만과 (그들의 조치를) 연결 지었고, 다음에는 우리나라의 수출통제 조치에서 문제를 발견했다는 것, 그리고  몇몇 민감 품목이 북한으로 향할 수도 있다는 근거를 제시했습니다. 일본측은 (북한 관련) 주장은 이는 사실이 아니지만 “부적절한 몇몇 사례”가 있었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그 사례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설명해주지 않았습니다. 우리 정부는 양국의 무역당국이 만나서 일본측이 제시하는 문제에 대해 논의하고, 그들의 우려가

근거가 있는 것이라면 이를 어떻게 해소할 수 있을 것인지 살펴보자고 제안하였습니다. 우리는 그에 대해 어떠한 답도 듣지 못했습니다.


Q: Let’s just be candid, Foreign Minister. This dispute, and we can go into some of the detail, but let’s... put in simple terms, it has revived some very old suspicions, even hatreds between Japanese and South Korean peoples. And We’ve even tragically seen two people setting themselves on fire in protest of Japan’s restrictive trade strategy. This is very, very damaging for what is supposed to be a crucial regional alliance for you.


[인터뷰어] 조금 솔직해지시면 어떨까요, 장관님. 이 분쟁은, 상세히 짚고 넘어갈 수도 있겠지만, 우선은.. 단순히 표현하면, 일부 굉장히 오래된 의구심, 심지어는 일본과 한국 국민 사이의 증오심까지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심지어 우리는 일본의 무역 규제에 대한 반대 시위 과정에서 스스로 불을 붙여 숨진 두 명의 비극적인 사례도 목격했습니다. 이러한 것은 중요한 지역 동맹이어야 하는 양국 모두에게 큰 피해가 가는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A: It is. Our relations with Japan is extremely important, especially given our need for collaboration and coordination as we deal with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of course in close consultation with the United States as well. But I think the reaction of the Korean public to these trade measures taken by Japan – you have to see it in the larger context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as you know there has been a very painful past, and the past has drawn a very long shadow over the recent relations. My government has said, let’s deal with the past, difficult but let’s manage that, but let’s move on in these other areas in close collaboration, and Japan has so far in this government has not responded to that.


[장관] 맞습니다. 북한 핵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협력과 조정이 필요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한국에게 미국과의 긴밀한 협의는 물론이거니와, 일본과의 관계는 지극히 중요한 것입니다. 하지만 일본의 무역조치에 대한 한국 국민의 반응은, 보다 큰 맥락에서의 양국 관계를 생각해서 보아야 하는데요, 아시다시피 매우 가슴 아픈 과거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 과거는 최근 양국 관계에까지 긴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과거를 성찰하자, 어렵지만 관리해 나가자, 그러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다른 분야에서는 진전을 이루어보자고 말하였습니다. 그리고 일본은 지금까지 현 정부에 있어서는 그에 대한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Q: What you just said is very important, but it doesn’t seem to square with what’s actually happening because your court in South Korea started in 2018 to revive the notion that individual South Koreans could seek compensation from the Japanese for wartime forced labor. That seemed to the Japanese to run entirely contrary to the treaty you signed with the Japanese going back to 1965, which said that all claims have been completely and finally settled. You can’t sign a legal document and then reopen the whole concept of compensation.


[인터뷰어] 방금 말씀하신 것은 매우 중요하지만, 지금 현재 일어나고 있는 상황과는 맞아떨어지지 않는 것 같습니다. 한국 재판부는 2018년부터 강제징용 노동으로 인한 배상을 국민 개인이 일본측에 청구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일본측에게 모든 청구가 완전하고 최종적으로 해결되었다는 내용을 담은 1965년의 한·일간 협정에 정면으로 반하는 것이라는 인상을 주었을 것입니다. 법적 문서에 서명하고 난 다음에 다시 배상에 대한 개념을 언급할 수는 없지요.


A: Well, first of all, the Japanese themselves have also indicated that individual rights to claim have not been extinguished - that has been their position through the 1990s. They have slightly changed tune in the recent years, but the ‘65 agreement is about claims on property rights, financial rights, debts and credits. What the recent court judgment has said that the treaty between the two countries stays, - we’re not saying we’re breaking that or asking them to renegotiate that. What the court judgment has said is that the context of illegal occupation in the colonial rule and the war of aggression, illegal act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text have not been covered by the ‘65 agreement.


[장관] 우선 일본측은 개인청구권이 소멸하지 않았다는 것을 스스로 밝혔는데, 이것이 1990년대까지 그들의 입장이었습니다. 최근 그들이 입장을 조금 바꾸었으나 65년 협정은 재정적·민사적 채권·채무 관계에 대한 청구권에 대한 것입니다. 최근 대법원 판결은 양국간의 협정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했습니다 - 한국이 그 협정을 어기거나 재협상하자고 요구하는 것이 아닙니다. 법원의 판결은 불법 점령을 통한 식민지배와 침략전쟁 그리고 그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불법행위가 65년 협정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다고 한 것입니다.


Q: You really think it's healthy for you to encourage South Korean citizens, here in 2019, to seek compensation for the tragic and terrible things that happen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It is really worth reviving and digging through all of that, is it?


[인터뷰어] 장관님께서는 2019년 지금 한국 국민들에게 일제강점기에 발생한 비극적이고 끔찍한 일들에 대한 배상을 청구하자고 독려하는 것이 정상이라고 정말 생각하시는 건가요? 그걸 다 되살리고 파헤칠 가치가 있을까요?


A: I think It’s not the government encouraging. These are individuals who are living, survivors who have lived through that terrible time and personally experienced the forced labor.


[장관] 정부에서 그렇게 독려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러한 (피해자) 개인 분들은 지금 살아계신, 강제노동을 개인적으로 경험하고 그 끔찍한 시간들을 살아견뎌 낸 생존자 분들이십니다.


Q: You heard the Chinese say, “Look, you guys, South Korean and Japan must get together and resolve this because it’s very bad for regional trade and it’s jeopardizing the hopes for the free trade agreement across the entire East Asia region. And the Japanese, of course, have put their restrictive export controls on some key goods that normally are exported from Japan to your country and we’ll talk about that, but you in your turn do seem to be getting very petty in this dispute. For example, your government just announced it’s going to double the amount of samples and the frequency of tests and inspections on radioactive substances coming in food and agricultural produces from Japan, a sort of throwback to the concerns we had after Fukushima in 2011, but this is 2019 - why are you suddenly reimposing, or putting on new, very tight controls on these Japanese agriculture and food products?


[인터뷰어] 중국측이 지역 무역에 매우 나쁘고 동아시아 전체를 아우르는 자유무역협정(한중일FTA)에 대한 희망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한국과 일본은 함께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한 것을 들으셨을 겁니다. 그리고 일본측은, 물론 일반적으로 일본에서 한국으로 수출되는 몇몇 핵심 물품에 대해 수출 규제적 통제(조치)를 취한 것에 대해서는 잠시 후에 논할 것인데요, 한국도 이 분쟁에 있어 굉장히 옹졸하게 나오려는(very petty) 것 같습니다. 예컨대 한국정부는 일본산 식품과 농산물에 대한 방사능 검사를 실시하는 데 있어 실험과 검사 표본 및 회수를 2배 늘린다고 방금 발표했습니다. 2011년 후쿠시마 사고 후 우려로 인해 취했던 조치와 유사한 조치로 보여지는데, 지금은 2019년입니다. 왜 갑자기 일본산 농산물과 식품에 다시, 혹은 새롭

게 매우 엄격한 통제를 가하는 것인가요?  


A: Well, there is still concern on the part of our public about the fisheries products and the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vicinities of the Fukushima plant, and I think, you know, we of course have to listen to the concerns of our public.


[장관] 후쿠시마 발전소 인근의 농수산물에 대한 국민의 우려는 여전합니다. 우리 정부는 물론 국민의 우려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Q: It is only now that you’re in a bitter trade war with Japan that you’ve decided you suddenly need to impose these extra tests. You could have imposed them years ago but you didn’t. It doesn’t look good.


[인터뷰어] 일본과 쓰라린 무역 분쟁을 치르고 있는 지금에 와서야 갑자기 이러한 추가 검사를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을 한 것입니다. 몇 년 전에 이러한 조치를 취할 수 있지만 그렇게 안 한 것이고요. 좋아 보이지는 않습니다.


A: No, however it looks, I think we do our policy reviews and take steps in accordance with the public concern for their safety and health, and I’ve been given the release of a recent report on the possible releasing of contaminated wastewater into the sea. We have asked Japan for explanation about this. I think we will continue to engage them on this issue, but that has raised a lot of concern on our public and therefore I think it‘s government’s legitimate response.


[장관] 아니요, 이것이 어떻게 보이든, 우리는 안전과 건강에 대한 국민의 우려를 감안하여 정책을 검토하고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최근에 오염수 해양 방출 가능성에 대한 보고서를 보았습니다. 우리는 일본에 이에 대한 설명을 요구했으며 이 문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여하도록 할 것입니다만 이것이 국민의 우려를 야기했기 때문에 정부의 대응이 정당하다고 생각합니다.   


Q: Just a couple of more quick ones on Japan before we get to the whole Korean peninsula strategic issue, if I may, in Japan, are you now saying to the Japanese that not only economic ties but security, intelligence, and strategic partnership ties are at stake?


[인터뷰어] 한반도 전략 문제로 넘어가기 전에, 일본에 관해 몇 가지 짧은 질문을 더하겠습니다. 그렇다면 일본에게 경제적 관계뿐만 아니라 안보, 정보 및 전략적 파트너십도 위기에 처해있다고 말씀하시는 건가요?


A: We want to minimize the issues. I think given the Japanese rationale now, that trade control issues are really technical issues on the part of their export industries, we are saying, okay, fine, let’s discuss it at that level and work through the technical issues. We’ve not had response from the Japanese on that. Obviously, evidently, it is tied to their displeasure over our court judgment. This is the judgment of our highest court, we absolutely have to abide by that. No self-respecting democracy that abides by the rule of law and the independence of court would do otherwise. So that is the situation in my country. The Japanese position is that everything was settled by the 65, and so we’re trying to find a way forward that helps us to resolve this issue and we have thought through very seriously on all the options. We have offered a way that has not been even seriously considered by Japan. We remain committed to open discussion and consultations on all of these issues.


[장관] 우리는 문제를 최소화하길 원합니다. 일본측이 제시한 근거에 따라, 수출 통제 문제가 일본의 수출 산업과 관련된 정말 기술적인 문제라고 생각하고, 우리는 이것을 그 (기술적인) 수준에서 기술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논의를 하자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에 대한 일본측의 대답은 얻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문제는 명백히 우리 대법원 판결에 대한 불만과 연결되어 있는 것입니다. 이는 우리 최고 재판소의 판결이므로 절대적으로 따라야 합니다. 스스로를 존중하고 법치주의와 법원의 독립성을 준수하는 민주주의(사회)라면 반대로 행동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것이 우리나라의 상황입니다. 일본의 입장은 65년 모든 것이 해결되었다는 것이지만, 우리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가능한 모든 옵션에 대해

매우 진지하게 고려해왔습니다. 우리는 방안을 제시했으나, 일본은 이를 진지하게 고려하지 않고 있습니다. 한국은 이러한 모든 이슈에 대해 열린 대화와 협의에 응할 의지를 계속해서 갖고 있습니다.


Q: Where does this aim then? Because if one looks at the economic battle that is playing out right now, to be honest, Japan is bigger, more powerful economy then yours, you depend on some key strategic tech components and materials for your biggest companies like Samsung that come from Japan. So frankly, outsiders would think that Japan holds more of the cards here than you do, particularly in that your export business is right now suffering already and this is going to hit them hard. The South Korean economy looks vulnerable, you look vulnerable in this battle with Japan.


[인터뷰어] 그럼 목표가 무엇인가요? 지금 벌어지는 경제적인 전투를 살펴보면, 솔직히 일본 경제는 한국 경제보다 크고, 강력합니다. 삼성과 같은 거대 기업의 몇몇 핵심 전략 기술 부품과 소재들은 일본에서 오는 것들입니다. 그래서 솔직히 외부에서는, 특히 한국의 수출 기업이 이미 고통 받고 있고 또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일본이 한국보다 더 많은 카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할 것입니다. 일본과의 이 경쟁에서 한국 경제와 한국은 취약해 보입니다.


A: Exactly. I think, you know, we depend on Japan. Our trade with Japan has always been in the minus for us and of all the export items we get from Japan, it has been those three critical items to our semi-conductor industry that they put restriction on. So, it is just, to think that a country that has so mutually interdependence, so much people-to-people exchanges and growing, that they would do this without prior notice, without prior consultations, very unilaterally, and just three days, mind you, after the G20 in Osaka committed the countries to free, fair, non-discriminatory, transparent, and predictable trade, to have this on us three days later. I think it is completely unacceptable so

we are asking, through consultations, let’s find a way to roll things back to pre-July 1.


[장관] 맞습니다. 우리(경제)는 일본에 의지하고 있습니다. 대일무역은 항상 적자이고 일본으로부터 수입하는 물품 중 일본이 규제를 가한 것은 한국 반도체 산업에 핵심적인 세 가지 품목이었습니다. 상호의존도가 높고 인적 교류가 점점 더 활성화되고 있는 나라가 사전 통지 없이, 그리고 사전 협의 없의, 매우 일방적으로, 그리고 자유롭고 공정하며 비차별적이고 투명하고 예측 가능한 무역을 위해 노력하기로 한 오사카 G20 회의 불과 사흘 후에 이러한 조치를 취했습니다. 이는 절대로 수용할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협의를 통해 7월 1일 이전의 상태로 돌이킬 방법을 모색하자고 제안하는 것입니다.


Q: You sound very angry.


[인터뷰어] 매우 화가 나신 것 같이 들립니다.


A: We are, I think we are. There’s the blatant sense of injustice, because I think Japan has not fully come to terms with the past. So, that has meant that people, the living survivors in particular who have lived through those difficult days have deep-seated sense of injustice that they have not been given their due claims about the harms done to them.


[장관] 네 맞습니다. 우리 모두가 그런 것 같습니다. 일본이 과거사를 제대로 받아들이지 않기 때문에 정의롭지 않다는 생각이 당연히 있는 것입니다. 그것은 특히 그 어려운 시절을 살아온 생존자들이 자신들의 피해에 대한 정당한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못했다는, 정의가 구현되지 않았다는 뿌리 깊은 생각을 갖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Q: Let me stop you there, because your position on the sour relationship with Japan has become very clear in this interview, but there is something else very important I need to talk to you about, and that is the strategic, diplomatic position of your government, with regard to North Korea, and in particular Donald Trump’s continued effort to make what he has always described as the big, grand deal of denuclearizing North Korea. He describes Kim Jong-un, President of North Korea, as his friend, a man who writes him beautiful letters, and yet all of Trump’s diplomacy frankly, thus far, appears to have achieved nothing. Are you worried about Trump’s strategy?


[인터뷰어] 이 인터뷰를 통해 일본과의 좋지 않은 관계에 대한 입장이 굉장히 분명하게 드러나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또 하나 굉장히 중요한 문제에 대해 논하고 싶은데, 그것은 한국의 북한에 대한 전략적이고 외교적인 입장입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비핵화를 위한 크고 거대한 거래라고 항상 묘사해 온 지속적 노력에 대해서 묻고 싶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을 아름다운 편지를 써주는 친구로 묘사합니다. 그런데 트럼프의 외교는 솔직히 말씀드리면 지금까지는 아무것도 달성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전략에 대해 걱정되지는 않으십니까?


A: I think that we’re in a bit of a low, I think the lack of agreement in Hanoi has been disappointing. The North Koreans have not been ready or prepared to come back to the negotiating table. The North Korean leader promised President Trump at their brief meeting in the DMZ in late June that they will come back to the negotiating table, They haven’t, but indications are that they by now perhaps may be ready. I think there is communication, contact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to set the agenda, to set the date and the place for their working-level negotiations when they take place. So I think to say this has been a failure or disappointment, no progress has been... I think that when you look at things on a day-to-day basis, or week-to-week basis, month-to-month basis, things look different. But I think if you look at in the larger perspective, it’s a huge-step change from where we were two years ago.


[장관] 제 생각에는 (지금 약간 저점에 있는 것 같은데), 하노이에서 합의에 이르지 못한 것은 아쉬웠습니다. 그리고 북한은 아직까지 협상장으로 돌아올 준비가 된 것 같지 않습니다. 김 위원장은 6월 말 트럼프 대통령과의 DMZ에서의 짧은 만남에서 다시 협상장으로 복귀하겠다고 했으나, 아직 복귀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북측도 준비가 되었을 수도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징후들이 있습니다. 북미 간에 의제를 정하고, 실무급 협상이 언제 어디서 재개될지를 정하는 소통이 이뤄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것을 실패나 실망으로 규정짓거나, 또는 어떠한 진전도 없었다고 말하는 것은...제 생각에는 이를 하루 단위, 주 단위, 또는 월 단위로 보느냐에 따라 다르게 보여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더 큰 시야에서 본다면, 2년 전 상황과 비교해 볼

때 매우 큰 진전이 이뤄졌다고 생각합니다.


Q: With the huge-step change Donald Trump has given all sorts of diplomatic prizes to Kim Jong-un, but he appears to have gotten very little in return. In particular, you in South Korea appears to have been cut out of the entire Korean diplomacy. North Koreans the other day said that they will never talk to you again. They said that the idea that they can have meaningful talks with you would make “the boiled head of a dead cow laugh,“ so they are not interested in talking to you, and Donald Trump doesn’t seem to want to talk to you very much either, he’s much keen to talk to Kim Jong-un direct, so you seem irrelevant now.


[인터뷰어] 큰 변화로써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각종 외교적 선물을 부여했는데, 그 대가로 트럼프 대통령이 받은 것은 거의 없는 것 같습니다. 특히, 한국은 한반도 외교 전반에서 배제된 것으로 보입니다. 얼마 전 북한은 한국과 다시는 대화하지 않겠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은 북측이 한국과 의미 있는 대화를 할 것이라는 생각은 “삶은 소대가리”도 웃게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렇게 북한은 한국과 이야기를 하고 싶어 하지 않고, 트럼프 대통령도 그다지 한국과 대화하고 싶어 하는 것 같지 않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에게 직접 대화하고자 하는 상황에서, 한국은 (지금의 대화 과정에서) 관련이 없는 듯 보입니다.


A: I wouldn’t say so. I think our collaboration with the United States at all levels is extremely close. And I think that North Korean challenge has in fact brought us even closer. It may not be visible, but I think the number of meetings that my president and Mr. Trump have had, the phone

conversation, my own interactions with Mr. Pompeo has been extremely frequent and very close. So we do think based upon a very close US-South Korea coordination, so for the North Koreans to think that they can cut us out of this is a bit ludicrous, I don’t think they understand the reality.  We also know that North Korea’s diplomatic behavior is very unique to put it mildly, and some of it is quite

unacceptable, given the diplomatic norms...


[장관]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한미공조는 각 급에서 매우 긴밀히 이뤄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북한 관련 문제는 한미 양국을 더욱 가깝게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 눈에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수차례의 한미 정상회담과 정상간 통화, 저와 폼페이오 장관의 소통은 매우 빈번히, 긴밀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모든 것은 매우 긴밀한 한미 공조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북한이 우리를 배제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다소 터무니없으며, 그들이 현실을 이해하고 있다고 여겨지지 않습니다. 우리는 또한 북한의 외교적 행동은 조금 부드럽게 표현하자면 매우 독특하며, 그 중 몇몇은 외교 관행에 비추어 보건대 꽤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라는 점도 이해하고 있습니다.


Q: Sorry to interrupt again. This is a very difficult line. But Kim Jong-un has Donald Trump precisely where he wants him. He doesn’t need South Korea coming in and complicating that relationship. So the North Korea's  message to you guys is quite simple. Unless you are prepared to

ease economic sanctions and offer economic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unless you are prepared to end your strategic, military partnership with the United States, North Korea has no interest in talking to Seoul. So over to you, are you prepared to consider North Korea’s requests of you?


[인터뷰어] 이번에도 말씀 중에 죄송합니다. 굉장히 어려운 부분이네요.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을 보면, 마치 김 위원장 바람대로 움직이고 있는 것 같습니다. 김 위원장으로서는 한국이 들어와 관계를 복잡하게 만드는 것을 바라지 않습니다. 북한의 한국에 대한 메시지는 꽤나 단순합니다. 경제 제재를 완화하고 북한에 경제 지원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면, 그리고 한국이 미국과의 전략적인 군사 파트너십을 끝낼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면, 북한은 한국과 대화할 생각이 없다는 것입니다. 그럼 이제 한국측으로 넘어가서, 한국은 북한의 제안을 고려할 준비가 되어 있나요?


A: I don’t think, you know, our strategic alliance with the United States is something for the North Koreans to demand anything of or comment on. We’re absolutely confident about the strength of the alliance and the strength of the day-to-day coordination. I think you also have to distinguish

between North Korea’s rhetoric and what their internal calculations are. And I think in all of these matters, we share the analysis, the information very frequently with the United States. So in fact, I think in many ways, the alliance is stronger than ever.


[장관] 저는 한미 전략 동맹은 북한이 무언가를 요구하거나 언급할 만한 대상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동맹의 힘과 매일매일 이루어지는 공조의 힘에 대해 완벽히 자신합니다. 또한 북한의 수사와 그들의 내부적인 계산을 분리해서 생각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모든 일에 있어 우리는 매우 자주 미국과 분석과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사실 많은 측면에 있어 동맹은 그 어느 때보다 강하다고 생각합니다.


Q: I wonder whether your words about the strength of your partnership with Washington will convince anybody around world when we look at the reality of Donald Trump in recent days, questioning the point of joint military exercises with your forces in South Korea, saying I don’t like paying for them. We should be reimbursed for them, and I’ve told the South Koreans that. Then he went on to say that South Korea has agreed to pay substantially more money to the US in order to defend itself from North Korea, something which you then said actually hasn’t been settled yet. So what’s the truth here? Is there a big dispute with the United States about how much you’re prepared to pay to have

the US help defend you?


[인터뷰어] 최근 며칠 간 한미 연합 군사훈련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면서, 비용을 지불하는 것이 싫고, 변제 받아야 한다며 이를 한국에 이야기했다고 말한 트럼프 대통령을 보면, 방금 장관께서 말씀하신 한미동맹의 힘에 대한 언급은 전 세계 어느 누구도 설득할 수 있을 것 같지 않습니다. 그리고 나아가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은 북한으로부터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미국에게 훨씬 더 많은 돈을 지불하겠다고 했다며, 한국이 아직 정해진 바 없다고 한 내용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러면 무엇이 진실일까요? 미국이 한국을 지키는 것을 돕는 데에 한국이 얼마나 지불할 준비가 되어 있는 지를 둘러싸고 한미 간에 큰 논란이 있는 것인가요?


A: Well, this is not a dispute. This is an issue that we’ll work through in the spirit of the alliance. We've worked through the ten rounds of this cost-sharing agreement and we will work through the next round. I think President Trump, we know his style, his tweets, we read them been very carefully, but we also look that in the long term in the larger policy context of the United States...


[장관] 이건 논란이 아닙니다. 이건 동맹 정신에 기반을 두고 우리가 앞으로 협의해 나갈 사안입니다. 10차에 걸친 방위비 분담 협정을 통해 협력해 왔으며, 다음 번 협정도 잘 해결해 나갈 것입니다. 우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스타일을 알고 그분의 트윗 역시 주의 깊게 읽고 있지만, 이와 함께 미국의 장기적인 정책 맥락 역시 살피고 있습니다.


Q: You're being very diplomatic, Minister. I understand that. That is your job. How did you feel when Donald Trump first of all mimicked in a rather offensive way the South Korean accent in a private meeting, and then he was reported as saying, jokingly, it was easier to get a billion dollars from South Korea than to get a few hundred dollars from a rental apartment in Brooklyn. This is the man that you want as a strategic partner?


[인터뷰어] 굉장히 외교적이시네요, 장관님. 이해합니다. 그런 일을 하시니까요. 트럼프 대통령이 다소 모욕적인 방식으로 사적 모임에서 한국 억양을 흉내 내고, 그 다음에는 농담을 하듯, 브룩클린의 임대 아파트에서 몇 백 불 받아내는 것보다 한국에게서 10억 불을 받아내는 것이 쉬웠다고 말했다는 보도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한국은 이 사람을 전략적 파트너로 삼고 싶은 것인가요?


A: You’re trying to instigate me but I won’t fall for that and I will not comment either way on the words or the actions of President Trump and I think in the overall, his determination and his political will has been instrumental, together with my President, to bring us this far on the engagement with North Korea. But that I think is also supported by the policy establishment of the United States as represented in the State Department, in the Defense Department, and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장관] 저를 선동하려고 노력하시지만 넘어가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리고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나 행동에 대해 언급하지도 않겠습니다. 전반적으로 문 대통령과 더불어 트럼프 대통령의 결단이나 정치적 의지는 북한에 대한 관여 수준을 이 정도로 높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또한 미 국무부, 국방부, NSC 등을 통한 미국의 정책 수립을 통해 뒷받침되었다고 생각합니다.


Q: But you can only take diplomacy so far when John Bolton, Trump’s national security advisor, suggested that in the future, South Korea should pay all 5 billion US dollars cost of the 28,000 US troops sitting in South Korea. How do you feel about that?


[인터뷰어] 하지만 이러한 외교는 존 볼턴 국가안보 보좌관이 한국은 향후 2만 8천 명의 주한미군에 대한 비용으로 미화 50억 불을 모두 지불해야 한다고 제시하기 전까지만 작동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A: As we have not yet started serious negotiations, that’s for sure. We have their team, I think in Korea for the first round of initial sounding out, but serious negotiations will begin in September. So we have yet to see where this leads to but we will certainly go to the negotiating table on the cost-sharing based upon our position of arriving at a reasonable level that is acceptable to us, that we can handle, and that we can pass through our National Assembly.


[장관] 확실한 것은 아직 우리가 진지한 협상을 시작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미국의 협상 팀이 한국에 와서 양측간 사전 협의를 가진 것으로 아는데요, 진지한 협상은 9월에 시작될 것입니다. 그래서 어떤 결과가 도출될 지는 아직 예단할 수 없겠지만, 우리로서는 우리가 받아들일 수 있고, 처리 가능하며 국회를 통과할 수 있을 합리적인 수준에서 비용을 분담한다는 분명한 입장 하에 협상에 임할 것입니다.


Q: Can you ever remember a time in the recent past when South Korea looked more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vulnerable? We’ve talked about the impact of the trade dispute with Japan on your economy, but frankly, strategically, you’re in dispute with Japan, the North Koreans won’t talk to you, your relationship with Trump is, shall we say, troubled to say the least, you’ve got China and Russia which have ambitions in your region which don’t necessarily match yours. South Korea is in a lot of trouble.


[인터뷰어] 한국이 근래 경제적으로나 정치적으로 더 취약했던 때를 혹시 기억하십니까? 우리는 일본과의 무역 분쟁이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이야기했는데요, 솔직히 말씀드리자면, 전략적으로, 한국은 일본과 분쟁 중에 있고, 북한은 대화를 나누려 하지 않고, 트럼프와의 관계는, 최소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은데요, 또한 역내 중국과 러시아의 야심이 한국의 이해에 반하는 측면도 있습니다. 한국은 많은 곤경에 처해 있습니다.


A: We have lots of challenges but I wouldn't call our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troubled. I think We have our disagreements. All relationships do. But we are in alliance of 65 years and we have been able to work through difficult issues in the past in the spirit of the alliance. We have our challenges with Japan, we have our issues with China and Russia. But one fundamental goal we share is that the Korean peninsula must be wholly denuclearized and that we must find last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So we very much have that goal in our eyesight* and we deal with daily challenges as they come.


[장관] 우리는 많은 도전 과제를 갖고 있지만 미국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하진 않을 것입니다. 다른 모든 관계가 그러하듯, 이견을 가지는 부분이 있기는 합니다만 한국과 미국은 65년의 동맹 관계를 유지하고 있고, 그간 동맹 정신 하에 어려운 현안들을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일본으로 인한 도전도 있고, 중국, 러시아와의 관계에서도 현안들이 있지만 우리 모두가 공유하는 근본적인 목표는 한반도는 완전히 비핵화 되어야 하며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를 이루어 내야 한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목표들을 조망하면서, 매일 일어나는 도전들에 대응해 나가고 있습니다.


Foreign Minister Kang Kyung-wha, I thank you very much indeed for joining me in Beijing.
[인터뷰어] 강경화 외교부 장관님이십니다. 북경에서 저희와 함께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Thank you for having me.
[장관] 초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정책홍보담당관실
전화
02-2100-8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