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
- 외교정책
- 경제
- 국제경제동향
국제경제동향
[경제동향] [러시아] 경제동향(2020.4월)
|
|||||||||||||||||||||||||||||||||||||||||||||||||||||||||||||||||||||
---|---|---|---|---|---|---|---|---|---|---|---|---|---|---|---|---|---|---|---|---|---|---|---|---|---|---|---|---|---|---|---|---|---|---|---|---|---|---|---|---|---|---|---|---|---|---|---|---|---|---|---|---|---|---|---|---|---|---|---|---|---|---|---|---|---|---|---|---|---|
![]() ![]() |
|||||||||||||||||||||||||||||||||||||||||||||||||||||||||||||||||||||
(정보제공: 주러시아대한민국대사관) □ 정보출처 : 러 경제개발부, 통계청, 중앙은행 및 언론보도 등 종합 □ 주요내용 : 1. 경제성장 (전년동기대비, %)
* 자료출처: 러 경제개발부, 통계청 □ (GDP 성장) 러 경제개발부에 따르면 2020년 4월 러시아 실질 GDP는 전년 동월대비 12.0% 감소한 것으로 추산 (1~4월 성장률은 전년동기대비 1.9% 감소) ○ 4월은 코로나19로 인해 3.28일부터 시작된 러시아내 전 지역 유급휴무 조치 및 주요 교역국들의 경제상황 악화로 큰 폭의 GDP 감소세를 시현 □ (성장전망) 3월부터 급격히 전개된 코로나19 및 국제유가 폭락 등 여파로 IMF, 세계은행 등 주요기관은 최근 금년도 러시아 성장전망을 하향 조정* * OECD(6.10일): -(8~10%), World Bank(6.8일): -6.0%, IMF(4.14일): -5.5% ○ 러 중앙은행도 4.24일 정기이사회에서 금년도 성장전망을 전년대비 -4~-6%로 하향 조정* * GDP 감소는 2분기 집중(전년동기대비 최소 8% 감소 예상) 되며, 6월부터 경제활동 제한조치 완화 가정시 유가 추이 및 세계경제 회복과 연계하여 점진적인 회복 전망 □ (산업생산) 4월 산업생산은 전년동월대비 6.6% 감소*하였으며, 그 결과 1분기 1.5% 증가를 상쇄하면서 1~4월 전체로는 전년동기대비 0.6% 감소세로 전환 * 유급휴무에 따른 생산활동 중단 및 수출 감소가 산업생산 감소의 주된 요인으로 특히 제조업 분야 감소가 산업생산 감소를 견인 ○ 제조업(-10%),광업(-3.2%),전력/가스/증기(-1.9%),상수도/위생/폐기물처리(-11.4%) □ (소매판매) 3월 5.6%로 큰 폭으로 증가하였던 소매판매는, 4월 전년동월대비 23.4% 감소로 큰 폭의 감소세 시현 (1~4월 전체로는 전년동기대비 2.8% 감소) ○ 신차 판매 감소(전년동월대비 -72.4%) 등 비식료품 부문 소매판매가 전년동월대비 36.7%로 큰 폭의 감소세를 시현 □ (농업) 4월 농업생산은 전년동월대비 3.1% 증가하며 지속적인 증가세를 시현 (1~4월 전체로는 전년동기대비 3.0% 증가) 2. 고용 및 임금 □ (고 용) ‘18년 4월부터 4%대 수준을 유지하던 실업률은 금년 4월 5.8%로 상승 ○ 유급휴무 등 제한조치 영향이 4월 실업률에 반영되면서 ‘16.5월[’16년: 3월(6.0%), 4월(5.9%), 5월(5.6%)] 이후 최고치를 기록 □ (임금) 4월 평균 명목임금은 전년동월대비 1%로 소폭 증가하였고, 평균 실질임금은 지속적인 증가세*에서 4월 전년동월대비 2% 감소로 전환 * 매월 평균 실질임금은 ‘19년 1월(전년동월 수준) 이후 금년 3월까지 지속 증가세 시현 3. 물 가 □ (소비자 물가) 4월 소비자 물가는 루블환율 절하 등으로 식료품을 중심으로 3월(전달대비 0.6%)에 이어 4월에도 상승세 지속 (전달대비 0.8% 상승, 4월말까지 2.1%) ㅇ 다만, 5월부터 루블 환율이 점차 안정되면서 5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전달대비 0.3%로 안정되는 추세 4. 대외거래 □ (무역수지) 러 관세청에 따르면 1~4월 누계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429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35.5% 감소 ○ 1~4월 누계 교역량(1,849억 달러)도 수입 및 수출 동반 감소로 전년동기대비 15.0% 감소 * 1∼4월 누계 기준 수출이 1,139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9.8% 감소하였고, 수입은 710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5.9% 감소 ○ 1~4월 누계 기준 교역 비중이 큰 나라는 중국(17.3%), 독일(7.3%), 네덜란드(6.0%), 미국(4.8%), 벨라루스(4.3%), 터키(3.9%), 대한민국(3.7%, 7위), 이탈리아(3.6%), 영국(3.5%), 일본(3.0%), 카자흐스탄(2.9%), 폴란드(2.6%) 순임 □ (외환보유고) 2020년 4월말 기준 러시아의 외환보유액은 5,660억 달러로서 세계 4위 수준(금보유량은 외환보유액 대비 22.2% 수준) 5. 외환 및 금융시장 □ (금리) 러 중앙은행은 금년 2.7일 이후 연이율 6.00%로 동결하여 왔던 기준금리를 4.24일 5.5%로 0.5%p 인하한데 이어, 6.19일 4.5%로 1%p 추가 인하 ○ 3월 루블 환율 절하 등에 따른 일시적인 물가상승 요인이 해소되었고 수요 감소 및 경제활동 위축으로 인한 물가하락 압력이 예상보다 큰 상황 등을 감안 * 코로나19 회복 상황 등에 따른 대내외 금융환경 등을 고려하여 차기 이사회(7.24일)에서도 기준금리 추가 인하 여부를 판단 할 예정 □ (환율) 4월 기간평균환율 기준 루블화 명목환율은 OPEC+ 감산 합의(4.12)에도 유가 하락세가 지속되면서 전월기준 달러화 대비 2.8%, 유로화 대비 1.2.% 평가절하 ○ 다만, 5월부터 유가가 점차 회복되면서 루블화가 점차 절상되어 가는 모습 6. 재 정 □ (수지) 4월 세입ㆍ세출 잠정추계결과 러시아 연방재정은 2,467억 루블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를 기록 (다만, 흑자규모는 전년 동기대비 69.9% 가량 감소) * 1∼5월(잠정치)은 5월 한달간 6,558억 루블 적자를 시현(잠정치)하여, 4,091억 루블 가량 적자 ○ 1∼4월 누적 세입은 7조 20억 루블로 전년동기대비 10.1% 증가, 누적 세출은 6조 7,553억 루블로 전년동기대비 21.8% 증가 * 석유/가스 부문 세입이 2조 2,225억 루블로 전체 세입의 31.7%를 차지(전년동기대비 18.4% 감소) □ (국가복지기금) 국가복지기금(National Wealth Fund) 잔액은 12조 4,057억 루블(미화 약 1,684억 달러)로 GDP 대비 10.9% 수준 □ 첨부: 상세자료 1부. 끝. |
|||||||||||||||||||||||||||||||||||||||||||||||||||||||||||||||||||||
이전 글 [남아공] 경제동향 (6.8-18) |
메뉴담당부서 : 양자경제외교총괄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 2100-7665, 2100-7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