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eg(전자정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 어린이·청소년
  2. RSS
  3. ENGLISH

외교부

장관

G20 외교장관회의 선도 발언문 제2세션 - 복잡화된 세계 속에서 평화의 유지

작성일
2017-02-21
조회수
8059

Remarks on the occasion of the
Meeting of the G20 Foreign Ministers
Session 2 – Maintaining Peace in a Complex World

17 February 2017, Bonn

Good morning colleagues,

Following the very productive discussions we had yesterday on the topic of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 am very honoured to lead this morning’s discussions on the issue of Maintaining Peace in a Complex World.

As Secretary Guterres and many speakers emphasized yesterday, there is a strong connection between development and peace - there can be no peace without development and no development without peace. In this context, I thank our host, Germany, for designing this meeting in a way that lets us explore the deeper causes of numerous conflicts taking place in many parts of the world. The fact that the G20 Foreign Ministers are meeting at this critical juncture in a rare stand-alone format is a reflection of the extraordinary circumstances we face collectively.

The key concept for this session – sustaining peace – is rather new. It was only last year that the UN adopted resolutions endorsing this concept. It encompasses the entire life-cycle of conflict – before, during, and after – while placing prevention in the forefront and through all three pillars of UN’s engagement – peace and security, development and human rights.


In essence, sustaining peace is the latest in the evolution of our understanding of peace and the ways to achieve it.

When the Cold War ended in the early 1990’s, many hoped to benefit from the so-called “Peace Dividends.” Back then, the notion of peace at the UN was basically a linear one spanning from preventive diplomacy, peace enforcement, peace-making, and peacekeeping to post-conflict peacebuilding.

The record of our efforts to maintain peace around the world did not meet our expectations. The UN soon realized serious shortcomings in its ability to build a peace that is sustainable, particularly in addressing post-conflict situations. Hence the UN Peacebuilding Architecture was created in 2005.

Yet again, this arrangement came short of stopping old conflicts and preventing new ones. It was unable to overcome the entrenched problem of fragmentation in the UN system. At the same time, there was too little attention to prevention and too much emphasis on crisis response. In fact, the UN still invests only 1.5 per cent of its entire budget on prevention.

From these reflections, the UN introduced the concept of sustaining peace in its 2015 review on peacebuilding architecture.

Of course, one may say that prevention is nothing new. After all, the very notion of prevention is enshrined in the UN Charter. What is new is our collective sense of urgency to put prevention up front. Against this backdrop, UN Secretary-General Guterres stressed in one of his very first statements since his inauguration and I quote, “Prevention should not merely be a priority, but the priority of the UN,” unquote. I believe this is a critical first step in getting it right.

To help him, and through him ourselves, let’s get it right this time. To do so, on my part, I wish to submit the following sets of policy directions and actions that the G20 could consider in order to create favourable conditions for sustaining peace.

First, the G20 should commit to strengthening the culture of prevention. Despite its widely recognized need, prevention has yet to receive the political commitment and resources required for taking concrete and effective actions on the ground. In this regard, the G20 should support Secretary-General Guterres’ call for “a whole new approach” to weave a culture of prevention across the international and regional fora. Placing prevention on the agenda of high-level meetings, such as today’s, is one way of rendering sustaining peace the much needed political support.

Also what is critical to conflict prevention is to enhance global early warning and response capacity. The G20 should provide strong support to the UN’s ongoing efforts to strengthen its capacity for early detection and action. Among a number of early warning signals, human rights violations deserves particular attention. In this regard, the Human Rights up Front initiative is an important prevention tool that addresses human rights violations before they escalate into a crisis.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R2P) also calls on Member States to develop national capacities to counteract the earliest signs of mass atrocity crimes.

Second, the G20 should take a holistic and integrated approach to implement sustaining peace. We must break away from the current working culture of fragmentation and move into the culture of integration and cooperation. This is the only way for us to properly address the root causes of conflict as was pointed out during our previous session on the 2030 Agenda.

In this connection, the G20 should help reinforce the mandate of the UN Peacebuilding Commission (PBC) so that it can be an effective bridge-builder among relevant bodies and serve as a key platform for achieving sustaining peace. To this end, as the Chair of PBC this year, Korea will strive to strengthen the Commission so that it can better serve its role as an advisory body for the principal organs of the UN.

Finally, the G20 should rally global partnerships for sustaining peace. The G20 should support efforts within and outside the UN to strengthen partnerships with relevant stakeholders –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regional organizations, private sector and civil society – to forge what I might call the “Coalition for Peace.”

On this point, we have documented success stories in which partnerships have been key in preventing further instability. In Gambia, for instance, the joint efforts by the UN, AU, and ECOWAS, together with strong military deterrence, was instrumental in preventing a costly conflict after the elections.

Partnership is also critical in order for us to step up our financial support toward the cause of sustaining peace. To this end, we should also explore ways to reform the current financing structure of the UN and relevant institutions to better support prevention initiatives.

In this regard, I very much look forward to the Secretary-General’s upcoming report on peacebuilding and sustaining peace. I would like to take this opportunity to offer him Korea’s full support as he takes on this task at this critical juncture.

Distinguished Colleagues,

As you are all aware, my country is an epitome of so many trials and tribulations throughout its modern history – absolute poverty, colonization, internecine war, and a nation divided – just to name a few. Ha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cused more on sustaining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70 years ago, perhaps we would not have gone through a devastating war and still struggle with its repercussions today. This is why we place so much value on sustaining peace.

With this in mind, Korea is fully committed to translating the sustaining peace agenda into practical deliverables as Chair of the UN PBC and through sharing its experiences. In the course, Korea will work closely with Secretary-General Guterres and Member States to weave the sustaining peace agenda into all aspects of UN activities. And I ask for the G20’s active support in taking our shared initiative forward. Thank you. /END/  

-------------------------------------------(비공식 국문 번역문)-------------------------------------------


G20 외교장관회의 선도 발언문
제2세션 - 복잡화된 세계 속에서 평화의 유지


2017.2.17.(금)

동료 여러분, 좋은 아침입니다.

어제 ‘2030 지속가능개발의제’에 대해 매우 생산적인 논의를 가진 데 이어, 오늘 오전 ‘복잡화된 세계 속에서 평화의 지속’라는 주제에 대해 선도발언을 하게 되어 매우 영광입니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과 여러 연사들이 어제 강조한 것과 같이, 개발과 평화는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습니다. 개발 없는 평화는 없으며, 평화 없는 개발도 없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금번 G20 외교장관회의 주최국 독일이 오늘날의 수 많은 분쟁에 대한 보다 근본 원인을 모색할 수 있도록 금번 회의를 설계한 점에 사의를 표합니다. G20 외교장관회의가 이와 같은 결정적시기에 드물게도 단독으로 개최된다는 것은, 우리가 함께 직면하고 있는 특수한 상황을 반영한 것이라 하겠습니다.

금번 세션의 핵심 개념인 ‘평화의 지속화’는 다소 새로운 것입니다. 유엔이 이 개념을 지지하는 결의를 채택한 것이 겨우 작년입니다. ‘평화의 지속화’ 개념은 분쟁 전, 분쟁 중, 분쟁 후 이렇게 분쟁의 전체 주기를 아우르는 개념으로서, 유엔의 3대 활동인 평화·안보, 인권, 개발에 걸쳐 예방을 최우선 순위로 놓고 있습니다.

본질적으로, 평화의 지속화는 평화 및 평화달성 방안에 대한 우리의 인식이 발전해나가는 과정에서 가장 최신의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1990년대 초반 냉전이 종식되었을 때, 많은 사람들은 소위 ‘평화 배당금(Peace Dividends)’의 혜택을 누리기를 희망했습니다. 당시 유엔의 평화 개념은 예방 외교(preventive diplomacy), 평화 집행(peace enforcement), 평화 조성(peace-making), 평화 유지(peacekeeping)부터 분쟁 후 평화 구축(post-conflict peacebuilding)까지 아우르는 기본적으로 단선적인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전 세계 평화를 지속하기 위한 우리 노력의 기록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유엔은 특히 분쟁 후 상황에서 지속 가능한 평화를 구축하는 능력에 심각한 결함이 있음을 곧 깨달았습니다. 이에, 유엔의 평화구축체계가 2005년에 창설되었던 것입니다.

하지만 또 다시, 이 체계도 오래된 분쟁을 종식하고 새로운 분쟁을 예방하지는 못했고, 유엔 시스템 내 분절화라는 고질적인 문제를 극복하지도 못했습니다. 동시에 분쟁 예방에는 관심이 너무도 부족했고, 위기 대응에만 지나치게 집중했습니다. 실제로 유엔은 여전히 전체 예산의 겨우 1.5%만을 예방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유엔은 2015년 평화구축체계 재검토시 평화의 지속화 개념을 도입합니다.

물론, 예방이라는 바로 그 개념이 유엔 헌장에도 명시되어 있으므로 예방이 결코 새로운 개념이 아니라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새로운 것이 있다면, 바로 우리가 절박감을 갖고 예방을 최우선으로 추진한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취임 직후 연설에서 "예방은 여러 주요 과제 중 하나가 아닌 유엔의 최우선적 과제(Prevention should not merely be a priority, but the priority of the UN)"라고 역설한 바 있습니다. 본인은 이것이 잘못을 바로잡기 위한 결정적인 첫 걸음이라고 믿습니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을 돕고, 또한 그를 통해 우리 스스로를 돕기 위해, 이번에는 우리가 제대로 해나가야 합니다. 이를 위해, G20이 평화의 지속화에 우호적인 환경 조성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고려할 수 있는 일련의 정책방향과 조치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첫째, G20은 예방 문화를 강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예방의 필요성은 널리 인정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예방이 현장에서의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행동으로 연결되기 위해서 필요한 정치적 약속과 지원은 아직 부족한 상황입니다. 이를 감안하여, G20은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국제무대와 지역무대에 걸쳐 예방의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촉구한 ‘완전히 새로운 접근(a whole new approach)’을 지지해야 할 것입니다. 오늘과 같은 고위급 회의 의제에 예방을 포함하는 것도 평화의 지속화가 절실하게 필요로 하는 정치적 지원을 제공하는 한 가지 방법입니다.

분쟁 예방을 위해서는 전세계적 조기경보 및 대응 역량의 향상도 중요합니다. G20은 현재 추진되고 있는 유엔의 분쟁의 조기감지 및 조치 역량 강화 노력을 강력하게 지원해야 합니다. 여러 가지 조기경보 신호 중에, 인권침해에 대해서는 특별한 관심이 필요합니다. 이 점에서, 인권우선 이니셔티브(Human Rights up Front Initiative)는 위기상황으로 악화되기 전에 인권침해 문제를 다루는 중요한 예방수단입니다. 보호책임(R2P)은 또한 회원국들에게 잔혹범죄의 초기 징후에 대응할 수 있는 국가적 역량 개발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둘째, G20은 평화의 지속화 이행을 위해 총체적이고 통합적인 접근을 취해야 합니다. 우리는 현재의 분절화된 업무문화에서 벗어나 통합과 협력의 문화로 나아가야 합니다. 지난 2030 지속가능개발의제 세션에서 지적한 것처럼 바로 이것이 분쟁의 근본원인을 제대로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G20은 유엔 평화구축위원회(UN Peacebuilding Commission, PBC)의 임무를 강화하여 평화구축위원회가 관계기관간 효과적인 가교 역할과 평화의 지속화 달성을 위한 핵심 플랫폼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올해 평화구축위원회 의장국인 한국은 유엔의 주요기관들을 위한 자문기관으로서 평화구축위원회가 역할을 보다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동 위원회를 강화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G20은 평화의 지속화를 위한 전세계적 파트너십을 결집시켜야 합니다. G20은 국제금융기관, 지역기구, 민간부문, 시민사회 등 관련 이해관계자들과 ‘평화를 위한 연대(Coalition for Peace)’ 구축을 위한 파트너십을 강화하기 위해 유엔 안팎의 노력을 지원해야 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불안정의 심화를 예방하는 데 있어 파트너십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 성공 사례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감비아에서는 유엔, 아프리카연합(AU), 서아프리카경제공동체(ECOWAS)의 공동 노력이 강력한 군사 억지력과 더불어, 선거 이후 자칫 큰 희생을 야기할 수 있는 분쟁을 예방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파트너십은 평화의 지속화라는 대의를 위해 재정적 지원을 강화하는 데도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우리는 예방활동을 보다 원활히 지원할 수 있도록 유엔 및 관련기관의 현행 재정구조를 개혁하는 방안도 모색해야 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본인은 구테흐스 사무총장의 평화구축과 평화의 지속화에 관한 보고서 제출을 고대하고 있습니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이와 같은 결정적 시점에 중임을 맡게 되었는데, 이 기회를 빌려 한국의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하고자 합니다.

동료 여러분,

모두 알고 계시는 바와 같이 한국은 절대적 빈곤, 식민화, 골육상쟁, 분단 등 현대사를 걸쳐 갖가지 고난을 겪은 전형적 사례입니다. 70년전 국제사회가 한반도에서 평화의 지속화에 좀 더 노력을 기울였다면, 아마도 우리는 치열한 전쟁을 겪지 않고, 오늘날에도 그 영향으로 고심하지 않았을지도 모릅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평화의 지속화를 중시하는 이유입니다.

한국은 이를 염두에 두고 유엔 평화구축위원회 의장국으로서 한국의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평화의 지속화 의제를 실질적인 결과물로 만들어나가는 데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한국은 평화의 지속화 의제를 유엔의 모든 활동에 접목시키기 위해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 및 회원국들과 함께 긴밀히 공조해 나갈 것입니다. 아울러 우리 공동의 이니셔티브를 진전시키기 위해 G20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합니다. 감사합니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