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 통상, 첨단기술 등 분야별 협력을 뛰어넘어 포괄적 틀에서 상호 이익 확대 균형 확보
▴셔틀외교 재개 등 고위급 교류 활성화 ▴경제, 문화 등 분야 협력 및 미래세대 교류 확대 추진
신성장동력 창출 노력 지속 및 비핵화‧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중국의 협조 확보
우리 국민·기업 권익 보호 및 한반도 평화·안정을 위해 러시아와 전략적 소통 지속
국제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한 외교다변화 추진
책임있는 국가로서 국제 평화‧안보, 사이버, 신기술, 기후‧환경 위기, 인권 등 대응에 적극적 역할 수행
ODA 중장기 전략 수립과 통합적 무상원조 ODA 체계 구축을 통한 가시적이고 효과적인 ODA 수행
국민들의 공공외교 직접 참여 기회・제도 확대, K-이니셔티브 해외 진출 교두보 역할 강화
G7+ 외교강국 실현을 위한 외교 인프라 정비 및 인사‧교육훈련 혁신을 통한 전문인력 육성‧확보
재외공관 역할 강화를 통한 범정부 차원의 대외 집행 체계 혁신
글로벌 통상·경제안보 이슈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관계부처, 경제단체 등이 참여하는 (가칭)「경제안보점검회의」 정례화 추진
’25년 APEC, ’28년(잠정) G20 의장국으로 글로벌 현안에 적극 대응
민관 협업 체계를 수립하고, 재외공관의 정보수집·네트워킹·홍보 등 역할 강화
주요국들과 기술-안보 융합형 첨단기술 외교를 강화하고, 국제규범 형성에 적극 참여하는 과학기술외교 전개
한반도 긴장 완화 조치와 한미 간 협의를 바탕으로,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대화 여건을 조성하고, 북미협상 촉진
한미협의를 바탕으로 동결-감축-폐기로 이어지는 단계적 비핵화 전략 마련 및 이행 추진
남북대화 및 북미협상을 병행 추진하여, 비핵화 및 한반도 평화구조 구축 프로세스 이행 여건 조성
선제적 예방 중심의 재외국민보호 체계를 강화하고, 우리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 재외국민 보호망 구축
해외출국자 수 3천만 명 시대에 발맞추어 해외 출입국·체류 편익 증진 및 청년 해외진출 강화
동포들의 한인 정체성 함양, 역사적으로 희생·헌신한 재외동포에 대한 지원 강화
동포사회의 민간외교 활동 지원, 국내 체류 동포 지원 강화, 동포 청년인재의 국내 유치·정착 지원, 「한상경제권」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