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국가연합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1967.08.08 | 아세안 5개국(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필리핀) 외교장관회의 (방콕) 결과인「아세안선언」에 의해 창설 |
---|---|
1984.01.07 | 브루나이 가입 |
1995.07.28 | 베트남 가입 |
1997.07.23 | 라오스, 미얀마 가입 |
1999.04.30 | 캄보디아 가입 |
구분 | 해당국가 |
---|---|
아세안 (10개국) |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태국, 브루나이,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 |
완전 대화상대국 (11개국) | 한국,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인도, EU, 영국 |
부분 대화상대국 (4개국) | 파키스탄, 노르웨이, 스위스, 터키 |
1989.11 | 부분 대화관계(Sectoral Dialogue Partnership) 수립 |
---|---|
1991.07 | 완전대화상대국 관계(Full Dialogue Partnership)로 격상 |
1997.12 | 제1차 아세안+3 정상회의 및 제1차 한-아세안 정상회의 개최 |
2004.11 | 「한-아세안 포괄적 협력 동반자 관계에 관한 공동선언」 채택 |
2005.12 | 「한-아세안 FTA 기본협정」 체결, 「한-아세안 포괄적 협력 동반자 관계에 관한 공동선언」 이행을 위한 행동계획 채택 |
2006.08 | 「한-아세안 FTA 상품협정」 체결 |
2007.11 | 「한-아세안 FTA 서비스협정」 체결 |
2009.03 | 한-아세안 센터 출범 |
2009.06 |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최(제주), 「한-아세안 FTA 투자협정」 체결 |
2010.10 | 「한-아세안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공동선언 및 이행계획」 채택 |
2011.10 | 한-메콩 외교장관회의 출범 |
2012.09 | 주아세안 대표부 개설 |
2014.12 |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최(부산) |
2015.11 | 제17차 한-아세안 정상회의, 쿠알라룸푸르 |
2016.09 | 제18차 한-아세안 정상회의, 비엔티엔 |
2017.11 | 제19차 한-아세안 정상회의, 마닐라 |
2018.11 | 제20차 한-아세안 정상회의, 싱가포르 |
2019.11 |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및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 개최(부산) |
2020.11 | 제21차 한-아세안 정상회의 (화상회의, 베트남 주최) |
2021.10 | 제22차 한-아세안 정상회의(화상회의, 브루나이 주최) |
2022.11 |
제23차 한-아세안 정상회의(캄보디아 주최)
- 한-아세안 연대구상(Korea-ASEAN Solidarity Initiative: KASI) 발표 |
※ 출처 : 한국무역협회, 한국수출입은행 등
현재 20여 개 분야 60여 개의 정부간 협의체 운영 중
※ 2013년 브루나이, 2014년 미얀마, 2015년 말레이시아, 2016년 라오스, 2017년 필리핀, 2018년 싱가포르, 2019년 태국, 2020년 베트남, 2021년 브루나이, 2022년 캄보디아, 2023년 인도네시아
동아시아정상회의 (East Asia Summit)
아세안지역안보포럼(ASEAN Regional Forum)
구분 | 해당국가 |
---|---|
아세안 (10개국) |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태국, 브루나이,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 |
대화상대 (10개국) | 한국,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인도, EU 의장국 |
기타 (7개국) | 파푸아뉴기니, 몽골, 북한, 파키스탄, 동티모르,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
※ 우리는 ARF 창설회원국으로 제1차 외교장관회의부터 참여해 왔으며, 북한은 제7차 ARF 외교장관회의(2000.7월, 방콕)부터 참여
1992.12 | 메콩 원조공여국 회의 참가 |
---|---|
2010.10 | 제13차 한-아세안 정상회의시 우리 대통령, ‘한-메콩 외교장관회의’ 개최 제안 |
2011.10 |
제1차 한-메콩 외교장관회의 (서울) - 상호 번영을 위한 한-메콩 간 포괄적 파트너십 구축에 대한 「한강선언」 채택 |
2012.7 |
제2차 한-메콩 외교장관회의 (프놈펜) - 한-메콩 협력기금 신설 합의 - 2014년을 ‘한-메콩 교류의 해’ 지정 합의 |
2013.5 | 제1차 한-메콩 비즈니스 포럼 (방콕) |
2013.6 |
제3차 한-메콩 외교장관회의 (반다르스리브가완) - 한-메콩 협력기금 신설 및 운영세칙 채택 |
2014.5 | 제2차 한-메콩 비즈니스 포럼 (하노이) |
2014.7 |
제4차 한-메콩 외교장관회의 (서울) - 제1차 「한-메콩 행동계획(2014-2017)」 채택 |
2015.7 | 제3차 한-메콩 비즈니스 포럼 (프놈펜) |
2015.8 | 제5차 한-메콩 외교장관회의 (쿠알라룸푸르) |
2016.6 | 제4차 한-메콩 비즈니스 포럼 (양곤) |
2016.7 | 제6차 한-메콩 외교장관회의 (비엔티안) |
2017.9 |
제7차 한-메콩 외교장관회의 (부산) - 제2차 「한-메콩 행동계획(2017-2020)」 채택 |
2017.10 | 제5차 한-메콩 비즈니스 포럼 (비엔티안) |
2018.8 | 제8차 한-메콩 외교장관회의 (싱가포르) |
2018.11 | 제20차 한-아세안 정상회의시 우리 대통령, 2019년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 개최 제안 |
2018.12 | 제6차 한-메콩 비즈니스 포럼 (서울) |
2019.8 | 제9차 한-메콩 외교장관회의 (방콕) |
2019.10 | 제7차 한-메콩 비즈니스 포럼 (방콕) |
2019.11 |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 (부산) - 사람, 번영, 평화의 동반자 관계 구축을 위한 「한강-메콩강 선언」 채택 - 장관급 협력 10주년 기념 2021년을 ‘한-메콩 교류의 해’ 지정 합의 |
2020.9 |
제10차 한-메콩 외교장관회의 (화상) - 제3차 「한-메콩 행동계획(2021-25)」 채택 |
2020.11 |
제2차 한-메콩 정상회의 (화상) - 한-메콩 관계를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 |
2020.12 | 제8차 한-메콩 비즈니스 포럼 (하노이, 하이브리드) |
2021.9 |
제11차 한-메콩 외교장관회의 (서울, 하이브리드) - ‘한-메콩 교류의 해’ 2022년까지 연장 합의 |
2021.12 | 제9차 한-메콩 비즈니스포럼 (화상) |
2022.12 | 제10차 한-메콩 비즈니스포럼 (비엔티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