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나, 보통 북위 66.33도(Arctic Circle) 이북지역 또는 영구동토층의 한계선을 지칭(면적 : 약 2,100만㎢, 지구 지표면의 약 6%)
기후 측면에서는 7월 평균기온이 10℃ 이하인 곳을 통칭(북극해의 겨울 평균기온은 영하 35℃∼영하 40℃ 정도, 여름철 기온은 대체로 0℃ 내외)
북극해는 북미 및 유라시아 대륙으로 둘러싸인 해양을 지칭
북극해는 세계 5대 대양의 하나로 면적이 1,400만㎢(지중해의 약 4배)이며 전 세계 바다면적의 약 3%를 차지
평균 수심 1,200m, 최대 수심 5,400m이며 겨울철에는 대부분이 얼음으로 덮이나, 여름철에는 30% 수준으로 결빙해역이 축소
전체 해역 중 약 82%(1,147만㎢)가 연안국의 영해 및 EEZ로 구성되어 있고, 공해는 약 18%인 253만㎢으로 추정
전체 해역면적의 53%를 차지하는 대륙붕에는 막대한 양의 화석연료와 광물자원이 매장되어 있으며, 주변해역의 어족자원도 풍부
세계 미발견 석유의 13%, 가스의 30%가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美 지질연구소, 2008)
북극해 및 북태평양 등 인근 어장의 연간 총 어획고는 전 세계 약 40% (FAO 2011)이며, 해수온도 상승으로 한류성 어족의 새로운 서식지로 부상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해빙(海氷)면적은 급감하고 있으며, 금세기 내에 북극권 결빙지역이 사라진다는 전망도 제시
2012년 북극해 해빙(海氷)면적은 340만㎢ 수준(1979년 위성관측 이래 최소), 다년빙(多年氷) 비중도 60%(1985)에서 40%(2012) 수준으로 감소
IPCC*는 제5차 보고서(2013.9)에서 금세기 말 북극 해빙 면적이 1970년대 후반 대비 최대 94%까지 사라질 수 있다고 예측
*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全지구적 위험을 평가하고 국제적 대책을 마련
하기 위해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이 공동으로 설립한 유엔 산하 국제협의체
우리의 북극외교 현황
북극이사회 옵저버 가입(2013.5.) 이후 북극이사회 고위관리(SAO) 회의, 각료회의 옵저버 자격 참석 및 산하 작업반(Working Group) 활동 적극 참여
러시아, 캐나다, 덴마크, 노르웨이 등 북극관련 국가들과 북극 협의회 개최를 통한 양자협력
북극써클 한국포럼 개최(2018.12. 최초), 한일중 고위급 북극협력대화 3국 순환 개최, 북극써클총회 참석 등 다자협력
2022년 11월 중앙 북극해 공해상 비규제 어업 방지 협정(CAOFA, 2021.6.25. 발효) 제1차 당사국총회 국내 개최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