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eg(전자정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 어린이·청소년
  2. RSS
  3.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베트남, 경제현황

부서명
작성일
2001-06-30
조회수
18923
베트남, 경제현황(2001.6.30) 1. 베트남 주요경제 동향
2. 주요경제 정책
3. 베트남과 우리나라의 경제통상협력 현황
4. 베트남 시장여건 및 우리의 진출방안
5. 기타사항

1. 베트남 주요경제 동향

(1) 베트남의 수출입 동향


    가. 수출동향

    ㅇ 2000년 베트남의 수출은 아시아 국가들의 성장세 지속 및 원유가 상승세에 힘입어 99년 대비 24.1% 증가한 143.1억 기록

    ㅇ `99년 베트남은 동남아 국가들의 외환위기에 따른 여파로 외국인 투자 감소, 수출감소, 내수 경기 침체 등 `90년대 이후 최악의 경기침체를 겪은 바 있음. 하지만 베트남 정부의 경기회복을 위한 적극적인 수출드라이브 정책시행과 동남아 국가들의 경기회복 등으로 `99년 수출 실적은 `98년 동기대비 23.1% 증가한 115억불을 기록함으로써 `99년 수출목표 100억불 대비 크게 초과 달성

    나. 수입동향

    ㅇ 2000년 베트남의 수입은 국내경기 회복과 수출원자재 수입증가로 인해 작년동기 대비 30.6% 증가한 152억불 기록

    ㅇ `99년 베트남의 수입은 116.3억불로 `98년 동기 대비 1.2% 증가

    - 큰 폭의 수출 증가세와는 달리, 수입은 `98년 동기대비 1.2% 증가에 그쳤음. 수입증가세가 소폭에 그친 주요인은 베트남 경제근간을 형성하고 있는 외국인 투자에 있어 신규투자 감소와 내수경기 침체를 주요원인으로 들 수 있음.



베트남의 연도별 수출입 실적
(단위 : 억불, %)
구 분
`96(증감율)
`97(증감율)
`98(증감율)
`99(증감율)
`00(증감율)
수 출
70(32.1)
88(25.7)
93.2(5.9)
115(23.4)
143.1(24.1)
수 입
110(46.7)
112(1.8)
114.9(2.6)
116.3(0.1)
152.0(30.6)
수 지
- 40.0
- 24
- 21.7
- 1.3
- 8.9

(자료원 : 베트남 상의, Vietnam Economic News)
    다. 베트남의 주요 품목별 수출입 현황

    1) 주요 품목별 수입현황

    ㅇ 기계류, 직물 및 의류 원자재, 석유제품, 철강제품, 비료, 의약품 등이 최대 수입 품목임.


      - 특히 기계류 및 플랜트 수입이 큰 비중 차지

    ㅇ 최근 수입증가 품목 : 직물 및 의류 원부자재, 철강제품, 플라스틱 원부자재 등

    ㅇ 최근 수입감소 품목 : 의약품, 자동차, 종이류 등

    2) 주요 품목별 수출현황

    ㅇ 원유, 섬유제품, 신발류, 쌀, 수산물, 커피 등이 수출 주종 품목임.

    ㅇ 태국에 이은 세계 2위 쌀 수출국, 브라질, 콜롬비아, 멕시코에 이은 세계 제4위 커피 수출국

    ㅇ 최근 수출 증가품목 : 신발류, 섬유제품, 수산물, 원유 등

    ㅇ 최근 수출 감소품목 : 커피, 쌀, 석탄, 캐쉬넛 등

    3) 베트남의 주요 국가별 수입 현황

    ㅇ 전체 수입시장 규모


      - `97년도 112억불, `98년도 115억불, `99년도 116억불, 2000년도 152억불

    ㅇ 주요 교역상대국의 베트남 수입시장 점유율(2000년)

      - 싱가폴, 2,760백만불(18.1%), 일본 : 2,250백만불(14.8%), 대만 : 1,896백만불(12.5%), 한국 : 1,730백만불(11.45)

      ※ 한국은 싱가폴, 일본, 대만에 이어 베트남 제 4위의 수입 상대국(수입시장 점유율 11.4%)


    ㅇ 주요 경쟁국의 대베트남 수입시장 진출동향

      - 일본 : `96년 전후의 활발한 대베 진출(투자순위 3위)에 힘입어 꾸준히 대베 수출 증가추세, 특히 ODA 공여자금 규모 확대로 기계류 및 자본재 수출 증가(베트남 제1교역 상대국)

      - 싱가폴 : 지리적 잇점 및 화교인맥을 활용한 시장 진출(베트남 제 2위 교역 상대국)


    라. 산업생산

    ㅇ 베트남은 2000년 상반기부터 산업생산이 증가하여 2000년도 산업생산 증가율 15.7% 시현(99 : 10.5%)

    ㅇ 2001년도 1/4분기도 자전거(700% 증가), 선풍기(97% 증가), 차량조립(57% 증가), 오토바이(19.5% 증가), TV(47% 증가) 등 제조업 및 건설업 호조에 힘입어 14.4% 증가 시현

    ㅇ 2001년도 4월말(잠정)까지 전년대비 14.3% 증가

    마. 인플레 및 저축율

    ㅇ 인플레


      - 2000년도 12월 인플레율 : -0.7%

      - 2001년도 3월 인플레율 : 0%


    ㅇ 저축율

      - 2000년도 : 24.6%

      - 2001년도 1/4분기 : 26.3%


    바. 투자동향

    ㅇ 2001.3.15 현재 대 베트남 외국인 투자는 총 2,707건, 364억불임.

    ㅇ 2001년 들어 2001.1-315일까지 대 베트남 투자는 총 85건, 19.6억불로 금액으로 전년대비 249% 증가함.

    ㅇ 총 투자액의 7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아시아 각국의 경제위기로 `98년도부터 외국인 투자유치 실적은 극히 저조

    ㅇ 당초 기대에 못미치는 투자환경에 기 투자자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고 법.제도적 인프라 미비, 베트남 정부의 제도개선 노력부족 및 미국과의 통상관계 개선 지연으로 투자보류 및 관망자세가 외국인 신규투자 위축의 가장 큰 이유

    가) 주요국별 투자동향


      - `88-2000 12월 현재 대베트남 외국인 직접투자는 총 2,619건, 364억불

      - 국별로는 싱가폴, 대만, 일본, 한국 순으로써 한국은 총 투자액 3,150백만불로서, 투자순위 4위 국가(투자비중 8.6%)

      - 아시아 각국 투자진출이 활발하여 베트남 전체규모의 70% 이상을 점유

주요국가별 투자동향(1988-2000. 12월말 누계, 허가기준)
(단위 : 건, 백만불)
순 위
국 명
건 수
금액(투자비중)
1
싱 가 폴
236
6,745(18.5)
2
대 만
618
4,972(13.6)
3
일 본
301
3,884(10.7)
4
한 국
260
3,150( 8.7)
5
홍 콩
208
2,689( 7.4)
6
프 랑 스
108
1,829( 5.0)
7
버진군도
101
1,765( 4.8)
8
러 시 아
34
1,608( 4.4)
9
네델란드
40
1,179( 3.2)
10
영 국
33
1,162(3.2)
기 타
680
7,421(20.3)
2,619
36,404

(자료원 : Vietnam Economic Times)

    나) 분야별 투자동향

      - 제조업 투자가 1,639 194억불로 전체 투자금액의 53.2% 점유

      - 한국, 일본의 투자는 제조업분야 위주, 싱가폴, 대만, 홍콩 등의 투자는 호텔, 주택건설 및 서비스분야 위주

분야별 투자동향(1988-2000년 투자, 허가기준)
(단위 : 건, 백만불)
분 야
건 수
금 액
공 업
1,639
19,366
석유 및 가스
30
3,288
건 설
203
3,144
농 림
291
1,952
수 산
52
159
서비스
637
14,928
2,619
36,404

(자료원 : Investment Review)

2. 주요경제 정책

    가. 제9차 전당대회 이후 베트남 경제정책 변화

    1) 주요경제지표(10개년 및 5개년 경제.사회 개발 계획)

    ㅇ GDP : 2010년까지 2배 증가


      - 2010년까지 매년 7% 증가

      * 2005년까지는 년 7.5% 증가


    ㅇ 교역

      - 수출증가율 : 매년 14% 유지

      - 수입증가율 : 매년 13-14% 유지

      * 소비재 수입억제 : 전체수입의 2.5-4%


    ㅇ 산업구조

      - 농업분야 : 현재 GDP의 25% 16-17%

      - 산업분야 : 현재 GDP의 35% 40-41%

      - 서비스분야 : 현재 GDP의 40% 42-42%

      * 농업기반경제 → 산업화.공업화 경제로 전환

      * 현재 인구의 2/3를 차지하는 농촌고용인력 → 1/2 수준으로 조정


    2) 평가

    ㅇ 경제개혁 가속화 기대


      - 사회주의 시장 경제(Socialist - oriented market economy) 를 베트남 공산당 최초로 공식적으로 채택

      - 강경 보수파로 분류되었던 Le Kha Phieu 서기장이 물러나고, 온건 개혁파 이미지를 갖고 있는 Nong Duc Manh 국회의장이 당서기장으로 선출

      - 정치국 위원 15명중 보수노선을 유지해 왔던 군인사가 Pham Van Tra 국방장관밖에 없고 65세 이하로 세대 교체

      * 금번 당서기장 교체 요인중의 하나가 98-99년도 경제 정책 실패에 있다는 관측


    ㅇ 주요 경제지표 달성을 위해 경제역량 집중 예상

      - 새지도부가 주요 경제지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국영기업 개혁, 행정개혁과 법률정비, 은행개혁 등 금융분야 개혁, 사기업 활동 추진 등에 과거보다는 전향적인 자세를 취할 것으로 예상

    ㅇ 베트남 지도부가 체제유지에 우선을 두고 있어 급격한 정책변화는 없을 것으로 전망

    나. 수출입 정책

    ㅇ 베트남 정부는 아.태 경제권 및 세계 경제권에의 편입을 목표로 AFTA 가입, APEC 가입, WTO 가입추진 등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수량제한, 수출입 업체 제한, 통관지연 등 무역을 제약하는 요소가 많음.

    * 최근 수년간의 과도한 무역적자에 따른 강력한 수입억제정책 시행

    다. 투자법령 및 제도

    ㅇ 외국인 투자법 공포(`87.12)


      - 3차 개정(`96.11) 동법 시행령 `97.2.18 공포(`97.3.1부터 시행)(주요 개정내용 : 외국인 투자사업의 목록 발행, 성급 인민위원회에 투자허가 권한 일부이양, 투자사업 심사의 신속 및 명확화, 환경영향 평가서 제출, 토지사용권 출자와 토지사용문제, 수출활성화 정책강화, 소득세 등 세율의 조정 및 환급 등)

      - 개정 외국인 투자법(2000.7)

      ⇒ 주요 신규 추가 내용

      . 부가가치세의 유예 및 면제

      . 분리합병 등 기업구조의 조정

      . 특별 관리 조직의 설치

      . 토지담보권 제공

      * 보다 상세한 내용은 주 베트남 대사관 Homepage(http://www. mofat.go.kr/missions/vietnam.nsf) 참조

      ㅇ 외국인 투자가 95년을 정점으로 96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고 베트남의 외국인 투자환경이 열악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어, 특히 97년 하반기 이후는 동아시아 경제위기로 외국인 투자가 급감하자, 베정부는 나름대로 외국인 투자환경 개선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음(`98.2 발효된 외국인 투자 지원 및 보장을 위한 조치 등).


    라. 투자유치정책, 민영화, 자유화 정책

    ㅇ 베트남에 대한 외국인 투자가 거의 중단될 상태에 있어 베 정부는 외국인 투자를 적극 유치하기 위해 2000.7월 발효된 개정 외국인 투자법을 통해 외국인 투자지원 및 보장 조치 등을 비롯 부가가치세의 유예 및 면제, 토지담보권 제공 가능, 특별관리조직의 설치 등 `98.2월 발효되었던 외국인 투자법을 대폭 수정하는 조치를 취하였으나, 시장경제체제에 필요한 제반 법령 및 제도가 완비되어 있지 않는 점, 일선공무원 및 일반국민들의 관행 및 인식 등이 외국인 투자의 장애요소로 인식되고 있음.

    ㅇ 특히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한다는 기본노선과 시장경제체제로 이행한다는 것은 상충되는 측면도 많은 바, 투자유치 정책뿐만 아니라 민영화, 자유화 정책의 추진에도 여러 가지 제약이 있음.


3. 베트남과 우리나라의 경제통상협력 현황

(1) .베 수출입 동향


    가. 한.베트남 교역현황

    ㅇ 대베트남 교역은 우리나라의 일방적인 무역흑자 지속추세 : 우리나라 수출실적이 수입실적의 약 6

(단위 : US$백만, %)
구 분
1997(증감율)
1998(증감율)
1999(증감율)
2000(증감율)
수 출
1,603(0.2)
1,361(-15.1)
1,445(6.2)
1,686(16.7)
수 입
239(2.8)
184(-22.9)
264(43.7)
322(22.0)
무역수지
1,364
1,177
1,181
1,358


나. 최근 수출입 동향


    ㅇ 수출동향

      - 우리나라는 베트남측에서 볼 때 일본, 싱가폴, 중국, 대만에 이은 5위의 교역 상대국임.

      . 일본(4,872백만불), 싱가폴(3,646백만불), 중국(2,957백만불), 대만(2,652백만불), 한국(2,082백만불)

      - 2000년 들어서 한국의 대베트남 수출은 베트남의 대외수출 호조에 따른 수출용 원부자재 수요급증에 따라 전년대비 16.7% 증가된 1,686백만불을 기록했음.

      - 대베트남 수출은 섬유류, 화학공업제품, 철강금속제품, 전기.전자제품, 일반 기계류, 가족 및 신발류 등의 수출비중이 높은데 이것은 현지 투자 진출한 한국업체가 완제품 생산을 위한 원부자재 부품 및 시설재 수입을 많이 하기 때문임.


    ㅇ 수입동향

      - `99년은 농림수산물의 대베트남 수입이 급격히 증가한데 기인하여 우리나라의 대베트남 수입은 전년 동기대비 43.7% 증가된 264백만불을 기록했음.

      - 2000년 들어서도 수입증가세는 지속, 대 베트남 수입은 전년동기 대비 22% 증가한 322백만불을 기록했음.


    ㅇ 품목별 교역현황(2000년)
(단위 : 백만불, %)
수 출
수 입
순위
품목
금액
증가율
품목
금액
증가율
1
섬유류
424
7.0
농림수산품
135
39.0
2
기계류 및 운반용
356
67.8
섬유류
75
29.4
3
화학공업제품
252
17.5
전자.전기
39
36.1
4
플라스틱, 고무
153
- 5.2
기타제품
37
23.9
5
비금속 광물제품
134
36.6
화학공업제품
27
11.4
6
전자, 전기
133
11.2
광산물
5
- 78.2
7
철강, 금속제품
111
- 7.6
철강, 금속제품
3
14.0
8
생활용품
74
6.0
기계류 및 운반용
2
- 12.6
9
잡제품
36
- 13.2
1,686
16.7
322
22.0

(자료원 : 무역협회 통계)
    다. 우리기업 진출현황

    ㅇ 우리나라는 `80년대 후반부터 야기된 국내의 임금 및 지가의 상승, 빈번한 노사분규 등으로 일부 노동집약적 산업의 국제경쟁력 하락으로 관련업체들이 해외투자를 모색하면서 대베트남 투자를 적극적으로 추진

    ㅇ 우리나라의 대베트남 투자는 주로 베트남의 저임노동력을 활용하여 수출경쟁력을 제고시키는 섬유, 봉제, 신발 등 노동집약적 중소기업형 투자가 주종

    ㅇ `90년대 중반부터 자원개발, 사회간접자본건설 등으로 투자분야의 다각화 및 투자규모의 대형화가 되고 있음. 특히 `95년 미-베트남 국교정상회로 중소기업의 경우 대미 우회수출기지로서의 베트남의 역할이 부각되어 베트남에 진출기업이 급증

    ㅇ 그러나 미국과의 교역관계 정상화가 지연되고 `97년부터 태국에서 촉발된 동남아 경제위기가 동아시아 전체로 확산되면서 우리나라의 투자진출도 급감하여 투가허가 기준으로 볼 때 `98 대베트남 투자 건수는 총 13 149백만불로 `97 29 695백만불 대비 급감세를 기록

    ㅇ `99년에는 한국경제의 회복세 진입에 따라 대베트남 투자도 `98년 대비 다소 회복되어 25건, 163백만불로 `98년 투자수준을 초과

    ㅇ 2000년에는 미.베 무역협정 서명 등의 호재에도 불구 34건에 67백만불 투자하여 감소 추세임.


      - 연도별 진출
구분
`92
`93
`94
`95
`96
`97
`98
`99
`00
누계
투자사업(건수)
10
35
43
36
44
29
13
25
34
260
투자금액(백만불)
112
304
331
594
1,024
695
149
163
67
3,150


4. 베트남 시장여건 및 우리의 진출방안


    가. 시장특성 및 전망

    ㅇ 동남아 및 동아시아의 경제위기로 베트남에 대한 투자가 급감함에 따라 동아시아 국가의 투자에 크게 의존해온 베트남의 경제가 곤란을 겪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수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베트남은 최근 연간 20-40억불에 달하는 무역적자를 대규모 외국인투자로 메꾸어 국제수지 균형을 유지할 수 있었으나 동아시아의 경제위기로 외국인 투자가 크게 감소되어 국제수지 균형을 위해 수입도 최대한 억제하고 있어 우리 상품의 대베트남 시장진출(특히 소비재) 전망도 밝지 못한 편임.

    나. 우리 상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

    ㅇ 우리나라는 베트남의 5대 교역국이며, 4대 투자진출국으로 베트남내에서 우리 상품에 대한 인지도는 매우 높은 편임.

    다. 진출 유망상품

    ㅇ 직물, 합성수지, 일반기계류, 철강, 전자부품, 자동차부품, 가죽, 플라스틱 원료.제품, 유류, 종이.판지

    라. 현지 바이어 성향 파악 및 효과적인 접근방법 구사

    마. 투자환경 및 유망투자 분야

    ㅇ 투자환경


      - 동남아 및 동아시아의 경제위기로 베트남에 대한 투자가 급감함에 따라 베트남 정부는 외국인 투자환경을 대폭 개선하고 있고, 앞으로 계속 미비점을 보완해 나가기 때문에 투자환경은 점차 개선될 것임.

    ㅇ 유망투자 분야

      - 단기적으로 노동집약적인 경공업 분야(봉제, 신발, 조립산업 등)

      - 당분간 내수보다는 수출위주의 산업분야(MFN 수혜시 대미 우회수출 등)

      - 장기적으로 소재 및 중간재 부문(아직 대부분 산업이 취약하고 앞으로 산업발전에 따라 수요증가 예상)

      - 수입대체산업(시멘트, 비료, 설탕 등 기간산업)

      - 원료 현지조달 가능 분야(농..수산물 가공 등)

5. 기타 사항


    가. 대사관 및 현지 연락처

    ㅇ 주 베트남 한국대사관


      - Tel) 0084 4 831-5111/6 Fax) 0084 4 831-5117

      - Add) Dae Ha Business Center, Kim Ma St., Hanoi, Vietnam


    ㅇ 주 호치민 한국총영사관

      - Tel) 0084 8 822-5757 Fax) 0084 8 822-5750

      - Add) 107 Nguyen Du St., Hochimin Vietnam


    ㅇ KOTRA 하노이 무역관

      - Tel) 0084 4 831-5117/8 Fax) 0084 4 831-5176

      - Add) Dae Ha Business Center, Kim Ma St., Hanoi, Vietnam


    ㅇ KOTRA 호치민 무역관

      - Tel) 0084 8 822-3944 Fax) 0084 8 822-3941

      - Add) 178, Nguyen Van Thu St., Hochimin, Vietnam


    나. 현지 진출시 유의사항

    ㅇ 시장조사 철저


      - 베트남의 시장개방 당시 현지 여건에 대한 충분한 조사.분석 뒷받침 없이 성급하게 투자결정하거나 경쟁적인 동반투자 rush 후유증으로 현재, 수출 주력업체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공장가동율이 하락, 금융비용, 부대비용 증가 등으로 기업운영에 애로

    ㅇ 신뢰성 있는 사업 partner 선택

      - 경쟁관계가 없어 partner의 사업적 수완에 대한 확인이 곤란

    ㅇ 베트남인의 문화, 관습에 대한 이해

      - 우리 방식의 호된 질책, 공개적으로 무안을 주는 행위 등

    다. 현지 방문시 유의사항

    ㅇ 혼자 밤거리를 찾아 다니지 말것(현지 한국인과 동행)

    ㅇ 택시기사가 추천하는 후미진 곳은 절대 금물

    ㅇ 건널목 건널 때 사고 주의(사고 다발 지역).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