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역 정보
기본정보
일반사항
- 국명 : 덴마크 왕국(Kingdom of Denmark)
- 수도 : 코펜하겐
- 면적 : 42,934㎢(한반도의 약 1/5) * 그린란드, 페로제도 등 자치령 제외
- 인구 : 약 580만명
- 민족 : 북게르만계의 덴족(86.3%), 고트족
- 종교 : 루터복음교(국교, 74.7%), 이슬람교, 가톨릭, 침례교, 유대교 등
- 언어 : 덴마크어
- 통화 : 덴마크 크로네(DKK)
정치현황
- 정부형태 : 입헌군주제하 내각 책임제
- 내각 : 사회민주당 단독 소수정부
- 의회구성 : 단원제, 총 179석(2019.6.5 총선 결과)
- Blue bloc(우파 75석) : 덴마크 국민당(16석), 자유당(43석), 자유동맹당(4석), 보수당(12석)
- Red bloc(좌파 91석) : 사회민주당(48석), 적색녹색동맹당(13석), 사회자유당(16석), 사회국민당(14석)
- 대안당(9석), 신보수당(4석)
- 그린란드ㆍ페로제도 4석
- 주요인사
- 국가원수 : 마그레테 2세 여왕 (1972.1 즉위, Margrethe Ⅱ)
- 총리 : 메테 프레데릭센(2019.6월 취임, Mette Frederiksen)
- 외교장관 : 예베 코포드(2019.6월 취임, Jeppe Kofod)
최근 주요정세
- 2009.4.5 라스 뢰케 라스무센(Lars Løkke Rasmussen) 총리 임명
- 전임 Anders Fogh Rasmussen 총리는 2009. 4월 NATO 사무총장으로 내정됨에 따라 사퇴
- 2011.9월 총선 실시 결과, 사회민주당을 주축으로 하는 중도좌파 야권(Red block) 승리, 10년만에 정권 교체
- 2011.10월 헬레 토닝-슈미트(Helle-Thorning-Schmidt) 사회민주당 당수가 덴마크 사상 첫 여성 총리로 취임
- 2012년 상반기 EU의장국 수임
- 2015.6.18. 총선실시로 우파 정당인 덴마크 국민당이 제1여당으로 부상, 중도우파 야권(Blue Bloc)이 정권 교체에 승리
- 2015.6.29. Blue Bloc 내 연정구성 협상 실패로 자유당 소수 정부 공식 출범
- 2016.11월 자유당 라스무센 총리, 고소득층 감세를 둘러싼 Blue Bloc 내부 갈등을 봉합하기 위해 자유동맹당, 보수당과의 연정 구성
- ※ 제1당인 덴마크 국민당은 정부구성 불참 입장 견지
- 2017.11월 지자체 선거 결과 사회민주당이 이끄는 좌파 연합이 승리
- 2018.5월 라스뢰케 라스무센 총리, 정부내 부분 개각 단행
- 2019.6.5. 총선 실시로 좌파 정당인 사회민주당이 1당으로 부상, 중도좌파 야권(Red Bloc)이 정권 교체에 승리
경제현황
- 주요경제지표(2019, OECD)
- GDP(명목) : 3,441억불
- 1인당 GDP : 59,135불
- 경제성장률 : 1.4%
- 실업률 : 5.0%
- 교역규모(2019, 한국무역협회)
- 수출 : 1,107억 불
- 수입 : 975억 불
우리나라와의 관계
- 외교관계 수립 : 1959.03.11
- 주덴마크대사관 개설 : 1972.4.5
- 주한덴마크대사관 개설 : 1978.6.14
- 공관
- 주덴마크대사 : 박상진 대사('19.9월 신임장 제정)
- 주한대사 : 아이너 히보고오 예센(Einar Hebogård Jensen) 대사('19.11월 신임장 제정)
- 교역(2019, 한국기준, KITA)
- 수출 : 4.48억불(승용차, 합성수지, 선박용엔진및그부품, 전기자동차 등)
- 수입 : 8.93억불(의약품, 가축육류, 기타섬유제품, 밸브 등)
- 투자현황(~2019 누계, 신고 기준)
- 對덴마크 : 80건, 1.22억불(수출입은행)
- 對한국 : 245건, 11.15억불(산업통상자원부)
- 주요인사 상호방문현황
- '19.12 조명래 환경부장관
- '19.08 유은혜 교육부장관
- '19.05 프레데릭 왕세자 내외(공식방한)
- '19.01 도종환 문체부장관
- '18.11 릴레홀트(Liloholt) 에너지기후부 장관
- '18.10 문재인 대통령(공식, 한-덴마크 정상회담, P4G 계기)
- '18.05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 '19.01 키아스고오 국회의장 및 부의장단
- '18.02 프레데릭 왕세자 및 미켈센 산업기업부 장관(평창 동계올림픽 계기)
- '17.11 김은경 환경부장관
- '17.10 Anders Samuelsen 외교장관
- '17.03 라센 환경식품부장관, 폴센 고용부장관
- '16.10 Rasmussen 총리(공식)
- '15.06 양승태 대법원장
- '15.04 Brosbøl 환경부장관
- '15.01 Nielsen 고등교육과학부장관
- '14.11 Jørgensen 농수산식품부장관
- '14.10 Brosbøl 환경부장관
- '14.05 Petersen 기후에너지장관
- '14.04 Frederik 왕세자(비공식)
- '14.03 Jensen 개발통상장관
- '13.10 정홍원 국무총리(공식)
- '13.02 Søvndal 외교장관(대통령 취임식 경축 사절)
- '12.12 Kleist 그린란드 총리(공식방한)
- '12.10 빌리 쇤달(Villy Søvndal) 외교장관(공식방한)
- '12.10 김황식 총리(공식 방문)
- '12.09 이명박 대통령(그린란드 방문)
- '12.05 Frederik 왕세자(공식방한)
- '12.03 Thorning-Schmidt 총리(서울 핵안보정상회의 계기)
- '12.01 김성환 외교장관(공식방문)
- '11.07 박희태 국회의장(비공식)
- '11.05 이명박 대통령(국빈방문)
- '10.03 Lars. Rasmussen 총리
- '09.12 이명박 대통령(기후변화회의 참석)
- '09.09 한-덴마크 정상회담(유엔총회 계기)
- '09.09 Benedikte 공주(비공식)
- '09.08 박근혜 대통령특사
- '08.10 Torben Melchior 대법원장
- '07.10 Margrethe 2세 여왕(국빈)
- '07.09 이용훈 대법원장
- '06.11 A. Rasmussen 총리(실무방한)
- '06.09 한-덴마크 정상회담(ASEM 6, 헬싱키)
- '06.04 반기문 외교장관
- '02.11 이정빈 대통령특사(BIE 교섭)
- '02.09 김대중 대통령(ASEM 4, 코펜하겐)
- '02.05 Joachim 왕자
- '00.10 P.Rasmussen 총리(ASEM 3, 서울)
- '99.11 N.Petersen 외교장관
- '95.10 Benedikte 공주
- '95.05 N.Petersen 외교장관
- '95.03 김영삼대통령(UN사회개발정상회의, 코펜하겐)
- '93.10 B.Westh 농수산장관
- '91.09 A.Lundholt 산업장관
- '91.06 P.Schülter 총리
- 재외동포 : 9,581명(2019년)
북한과의 관계
- 외교관계 수립 : 1973.7
- 주한덴마크대사가 북한 겸임
- 주스웨덴 북한대사가 덴마크 겸임
- 교역(2018, 덴마크 기준)
- 수출 : 3.1 만불
- 수입 : 0.3 만불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