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역 정보
기본정보
일반사항
- 국명 : 키르기즈공화국(Kyrgyz Republic)
- 수도 : 비슈케크(Bishkek, 103.8만명)
- 인구 : 640만명(’19)
- 면적 : 199,951㎢(한반도의 0.95배)
- 위치 : 중앙아시아(중국,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접경)
- 기후 : 대륙성, 건조 기후
- 주요민족 : 키르기스스탄인(73%), 우즈베키스탄인(15%), 러시아인(6%)
- 언어 : 키르기스스탄어(공식어), 러시아어(공용어)
- 종교 : 이슬람교(80%), 러시아정교(15%), 개신교 등 기타(5%)
정치현황
- 정부형태 : 의원내각제
- 중앙아 최초로 의원내각제 도입('10.6.27, 헌법개정)
※ 키르기스스탄 헌법상 국방·안보 담당 기관장 임면권 등의 권한이 대통령에게 속해 있는 바, 온전한 의원내각제가 아닌 이원집정부제에 근접
- 정부 주요인사
- 대통령 : 공석 (제엔베코프 대통령 ‘20.10월 사임)
- 국회의장 겸 대통령 대행 : 마미토프(Talant Mamytov)
- 총리 : 공석 (자파로프 총리 ‘20.11월 사임)
- 외교장관 : 카작바예프(Ruslan Kazakbaev)
- 국제기구가입 : UN('92.3), WTO('98.12)
- 정치정세
- 90.10 아카예프 초대대통령 취임
- 91. 8 독립선언
- 05. 3 튤립혁명으로 아카예프 대통령 사임
- 05. 8 바키예프 대통령 취임
- 10. 4 반정부 시위로 정권교체 및 과도정부 수립
- 10. 6 헌법개정 국민투표로 의원내각제 도입
- 10. 7 오툰바예바 대통령 취임
- 10.10 총선
- 10.12 연합정부 구성 및 아탐바예프 총리 내각 출범
- 11.10 대선(아탐바예프 총리, 대통령으로 당선)
- 15.10 총선
- 17.10 대선(제엔베코프 총리, 대통령으로 당선)
- 18. 4 아블가지예프 총리 내각 출범
- 20. 6 아블가지예프 총리 사임 및 보로노프 총리 내각 출범
- 20.10 총선(10.4) 직후 불복시위 발생 / 국회의장, 총리 사임(10.6) / 자파로프 총리 내각 출범(10.14) / 대통령 사임(10.15) / 자파로프 총리 대통령 직무대행
- 20.11 자파로프 총리 사임, 마미토프 국회의장 대통령 대행 * 21. 1월 조기 대선 실시 예정
경제현황('20, EIU 기준)
- GDP : 82억불
- 1인당 GDP('19, IMF) : 1,292.98불
- 경제성장률 : -6.3%
- 물가상승률 : 5.6%
- 교역규모 : 49.60억불
- 수출 : 17.45억불
- 수입 : 32.15억불
- 화폐단위 : 솜(Som) / (US $1=77.25솜)
- 주요자원(BP) : 금, 석탄, 안티몬, 수은, 천연가스 등
우리나라와의 관계
- 공식관계
- 수교 : 1992.1.31.
- 공관 설치
- 2007.09월 1인 공관 개설
- 2008.07월 상주 대사관 개설
- 2018.07월 하태역 대사 부임
- 주한공관 설치 : 2008.5 상주 대사관 개설
- 2019.02월 케멜로바(Dinara Kemelova) 대사 부임
- 교역규모(’19, KITA) : 75만불
- 수출 : 74만불(편직물, 화장품, 화물자동차 등)
- 수입 :1만불(기타전자관, 기타섬유제품 등)
- 對키르기스스탄 투자(~’20.2분기까지 누계, 신고액 기준) : 1.82억불
- 對한 투자(~’20.2분기까지 누계, 신고액 기준) : 1,550만불
- 고려인('18) : 17,074명
- 재외국민('18) : 1,441명
- 주요인사 교류
- 93.08 칭기쉐프 총리 방한7(대전 EXPO 계기)
- 94.03 주마굴로프 총리 방한(세계일보사 초청)
- 97.06 아카예프 대통령 방한
- 02.06 마지키예프 교통통신부 차관 방한
- 02.09 오스모로프 제1부총리 방한
- 02.11 신국환 산업자원부 장관 방키
- 02.11 오토르바예프 부총리 방한
- 03.02 주말리예프 부총리 방한
- 04.09 미티베크 검찰총장 방한
- 06.07 젝센쿨로프 외무장관 방한
- 07.06 이상수 노동부 장관 방키
- 07.11 아탐바예프 총리 방한
- 08.04 아이다달리예프 부총리 방한
- 08.08 이윤성 국회부의장 방키
- 12.06 바바노프 총리 방한(제주평화포럼 참석)
- 12.07 카자크바예프 외교장관 방한
- 12.12 칼맘베토프 에너지산업부 장관 방한
- 13.10 오토르바예프 제1부총리 방한(유라시아 컨퍼런스 계기)
- 13.11 아탐바예프 대통령 방한
- 14.02 제엔베코프 국회의장 방한
- 14.07 자마쉐바 대법원장 방한
- 15.01 술탄베코바 국회부의장 방한
- 15.05 오툰바예바 전 대통령 방한
- 15.10 케멜로바 외교부 1차관 방한(제9차 한-중앙아 협력포럼 참석)
- 16.11 케멜로바 외교부 1차관 방한(제10차 한-중앙아 협력포럼 참석)
- 17.03 방문규 보건복지부 차관 방키
- 17.04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 방키
- 17.09 임성남 외교부 1차관 방키
- 18.09 이종배 한-키 의원친선협회장 방키
- 18.10 윤강현 경제외교조정관 방키
- 18.11 케멜로바 외교부 1차관 방한(한-중앙아 포럼 참석)
- 18.11 잠시토프 검찰총장 방한
- 19.05 문무일 검찰총장 방키
- 19.07 이낙연 국무총리 방키
- 19.10 무칸베토프 경제부 장관 방한
- 지방자치단체간 협력
- 91.08 경북 구미市-비쉬켁市간 자매결연
- 07.11 전라남도-추이주간 협력약정 체결
- 09.03 포항市-비쉬켁市간 교류의향서 체결
북한과의 관계
- 외교관계 수립 : 1992.01.21
- 주우즈벡 북한 대사대리(김정규)가 키르기스스탄 겸임
- ’16.8월 주우즈벡 북한 대사관 폐쇄
- 주중 키르기스스탄 대사가 북한 겸임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