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종고위관리회의(CSOM, 의장 윤성미)가 10월 27일(월)-28일(화)간 경주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회의를 시작으로 2025년 APEC 정상회의 주간이 공식 개막했다.
※ APEC은 우리나라,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21개 회원이 참여하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대 경제협력체
※ 고위관리회의(SOM)는 APEC 회원 간 협력 현안을 논의하는 고위급 협의체로, 매년 4회의 공식회의와 1회의 비공식회의를 개최하며, 그 결과를 정상회의 및 합동각료회의에 보고 / 우리나라는 이지윤 외교부 국제경제국 심의관이 고위관리로 참석
□ 이번 회의에는 APEC 21개 회원과 옵서버 대표단, APEC 사무국 관계자 등이 참석하여, 정상회의(10.31.-11.1.)와 외교통상합동각료회의(10.29.-10.30.)를 앞두고, 한 해의 활동 성과를 최종 점검했다.
□ 고위관리들은 의장국 한국의 리더십 아래 올해 APEC 논의가 원활하고 의미있게 진행되어왔다고 평가했다.
ㅇ 특히, 우리 정부가 ‘AI 협력’ 및 ‘인구구조 변화 대응’을 대표 성과로 제시함으로써, 역내 협력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고 하면서, 그간의 논의가 정상회의 계기 실질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긴밀히 논의해 나가자고 했다.
□ 또한 고위관리들은 무역투자위원회(CTI), 경제위원회(EC), 경제기술협력위원회(SCE), 예산운영위원회(BMC), 정책지원부서(PSU) 등 APEC 주요 산하회의체의 연간 활동 결과를 점검하였으며, APEC 서비스 경쟁력 로드맵(ASCR) 최종 점검 보고서 등을 승인하였다.
※ 서비스 경쟁력 로드맵(ASCR)은 역내 서비스 분야 중장기 협력 방향을 제시하고, 2025년까지 역내 서비스 경쟁력 제고를 위해 달성할 구체목표·행동계획을 규정
□ APEC 고위관리들은 지경학적 긴장이 이어지는 가운데, 금년 정상회의가 ‘회복과 성장’의 메시지를 발신하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고위관리들은 다가오는 정상회의에서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정상회의 성과문서 문안협의를 잘 마무리해 나가자는 공동의 의지도 재확인하였다.
붙임 : 회의 사진.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