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뉴포커스

조현 외교장관, 중동·우크라이나 안보리 브리핑 공식회의 주재

담당부서
정책홍보담당관실
등록일
2025-09-24
조회수
3128


@관련 보도자료 바로가기


조현 외교장관, 중동·우크라이나 안보리 브리핑 공식회의 주재



  조현 외교장관은 제80차 유엔총회 고위급회기 참석 계기, 9.23.(화) 오후 유엔본부에서 개최된 중동 및 우크라이나 관련 안보리 브리핑 공식회의를 안보리 의장 자격으로 연이어 주재하였습니다.


     ※ 중동 지역 안보리 브리핑 공식회의 (9.23.(화) 13:00-16:00, 안보리 회의장)


- 안보리 이사국 중 ▴(장관급) 파키스탄, 슬로베니아, 알제리, 가이아나, 시에라리온, 덴마크, 영국, 그리스 ▴(차관급) 파나마 ▴(대사급) 프랑스, 미국, 중국, 러시아, 소말리아


- 안보리 비이사국 중 노르웨이, 쿠웨이트, 카타르, 튀르키예, 이집트, 사우디 참석 / 유엔 사무총장 브리핑



     ※ 우크라이나 안보리 브리핑 공식회의 (9.23.(화) 16:00-19:00, 안보리 회의장)


- 안보리 이사국 중 ▴(장관급) 슬로베니아, 덴마크, 프랑스, 영국, 미국, 알제리, 가이아나 ▴(차관급) 파나마, 그리스, 파키스탄 ▴(대사급) 중국, 소말리아, 러시아, 시에라리온


- 안보리 비이사국 중 우크라이나, 체코, 슬로바키아, 핀란드, 에스토니아 참석 / 유엔 사무총장 브리핑



  중동 안보리 브리핑 공식회의에는 노르웨이 총리, 그리스 외교장관 등 안보리 이사국 및 비이사국 다수의 고위인사가 참석하였습니다. 조 장관은 가자 상황 및 인도적 위기가 국제평화와 안보의 중대한 도전이라고 하면서, 가자지구 내 기근 발생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아울러, 안전하고, 지속 가능하며, 자유로운 인도적 접근이 즉시 보장되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이스라엘의 가자 내 지상 작전 및 서안지구 정착촌 건설 재개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조속한 휴전과 인질 석방을 위한 노력을 촉구했습니다.



  조 장관은 두 국가 해법이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을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평화를 구축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고 하면서, 한국이 두 국가 해법을 통해 역내 평화와 안정을 구축하려는 국제사회의 노력에 적극 동참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후 개최된 우크라이나 안보리 브리핑 공식회의에는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 미국 루비오 국무장관 등이 참석하였습니다. 조 장관은 동 안보리 브리핑 공식회의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3년 이상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러시아 드론의 폴란드 영공 침공 등에서 알 수 있듯이 전장이 우크라이나에만 국한되지 않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특히, 민간인과 민간시설에 대한 무차별 공격이 국제 인도법 위반이라면서 즉시 중단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아울러, 우크라이나의 주권, 독립, 영토보전을 지지한다는 우리 입장을 재확인하고, 우크라이나 민간인의 고통을 덜기 위해 우크라이나를 지원해왔으며, 앞으로도 추가적인 지원 방안을 계속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했습니다.



   한편, 조 장관은 북한과 러시아 간 군사 협력에 대해 중대한 우려를 표하고, 러시아와 북한간 탄도미사일 및 무기 이전, 병력 파견 등은 유엔 헌장과 안보리 결의의 명백한 위반임을 지적했습니다. 특히, 이는 국제 비확산레짐을 훼손하고 전쟁을 장기화하며 한반도를 포함한 역내 안보에도 중대한 위협을 가하고 있다면서, 러시아와 북한에게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는 모든 활동을 즉각 중단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습니다.



  이번 중동 및 우크라이나 안보리 브리핑 공식회의 주재는 안보리 9월 의장국으로서 국제사회 최대의 안보 현안 해결 논의를 위해 우리나라의 책임 있는 역할과 기여 의지를 보여주고, 리더십을 발휘한 계기로 평가됩니다.



  우리 정부는 2024-25년 임기 유엔 안보리 이사국으로서 한반도 문제뿐만 아니라 국제평화와 안보를 위협하는 글로벌 현안 대응에 있어 필요한 역할을 수행해 나갈 것입니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각 실·국(부서)
전화
보도자료 하단에 기재된 전화번호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