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6개국 정부간 협의체인 동북아환경협력계획(NEASPEC) 제28차 고위급회의(SOM)가 9월 22일, 23일 이틀간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개최되었습니다.
※ NEASPEC(North-East Asian Subregional Programme for Environmental Cooperation)은 우리나라 주도로 1993년 출범한(한, 일, 중, 러, 몽, 북한 등 6개 회원국) 동북아 지역 환경 문제 관련 협력을 위한 역내 유일의 포괄적 정부간 환경 협의체
금번 회의에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중국, 러시아, 몽골, 북한 6개국 대표단과 유엔 아태경제사회위원회(UN ESCAP) 본부 및 동북아지역사무소(동북아환경협력계획 사무국 역할 수행) 등 국제기구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하였습니다. 우리나라는 조계연 외교부 기후환경과학외교국 심의관을 수석대표로 하여 외교부, 산림청, 국립생태원 및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의 공무원과 전문가로 구성된 대표단이 참석하였습니다.
회원국들은 △대기오염 △생물다양성 및 자연보전 △해양보호구역 △저탄소도시 △사막화 및 토지 황폐화 등 5대 협력 분야별로 진행 중인 NEASPEC 사업·활동을 점검하고, 2026년 사업계획 및 2026-2030 전략 계획을 검토하였습니다.
조계연 심의관은 우리 정부의 재생에너지 확대와 탄소중립 달성 정책을 소개하고, 올해 APEC 의장국으로서 역내 지속가능성 협력 증진에 기여하고자 하는 뜻을 밝혔습니다. 또한, 우리나라가 동북아 차원에서도 NEASPEC 주요 의제 진전을 위해 △대기오염 저감을 위한 국내 정책 강화 및 주변국과의 협력 강화 △철새 서식지 연결성 보전 사업에서 핵심적 역할 수행 △국내 해양보호구역 확대 추진 △한-몽 산림협력 사업 추진 등 구체적 성과를 내고 있음을 소개하면서, 앞으로도 회원국들과 함께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회원국들은 결과 문서 채택을 통해 동북아 환경협력 증진에 있어 NEASPEC의 역할을 평가하고, SDGs 달성을 위한 지역협력 강화 의지를 재확인하였습니다. 특히, 회원국들은 △환경 관련 SDGs 기여 △과학 기반, 정책 중심의 협력 강화 △회원국 환경 문제 관리를 위한 상호 지원 확대 △동북아 및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 △역량 강화 및 지식 교환 등을 목표로 하는 2026-2030 NEASPEC 전략 계획을 채택하였습니다. 동 전략 계획은 지난 30여 년간의 협력 성과를 토대로 2030 SDGs 달성의 목표 시점까지 NEASPEC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큽니다.
금번 회의는 2026-2030 전략 계획 채택을 통해 동북아 환경협력의 향후 방향성을 명확히 제시하고, 5대 협력 분야에서 실질적 협력을 촉진하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우리나라는 앞으로도 NEASPEC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역내 회원국들과 함께 동북아 환경협력의 실질적 성과를 도모하고, 나아가 이를 글로벌 환경 목표 달성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입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