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뉴포커스

박진 장관, 한중 외교장관 회담

담당부서
정책홍보담당관실
등록일
2023-11-27
조회수
4050


@관련 보도자료 바로가기


박진 장관, 한중 외교장관 회담




박진 외교부 장관은 한일중 외교장관회의 참석을 위해 방한한 왕이(王毅, WANG Yi) 중국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과 11.26(일) 오전 10:40부터 12:40까지 약 두 시간 동안 부산에서 한중 외교장관회담을 갖고, 한중관계 한반도 문제 지역ㆍ국제 정세 등 상호 관심사에 대해 폭넓게 의견을 교환하였습니다.



   양측은 상호존중, 호혜 및 공동이익에 기반한 건강하고 성숙한 한중관계를 발전시켜 나간다는 기본적인 공감대를 재확인하고, 최근 아세안 정상회의, 항저우 아시안게임 등 계기 이루어진 정상 차원의 교류와 소통을 토대로 상호 이해와 신뢰를 높이고, 협력의 공감대를 넓혀나가기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양측은 ▴외교안보대화 ▴외교차관 전략대화 ▴1.5트랙 대화 등 다양한 수준에서 전략적 소통을 강화해 나가자는 데 공감하였습니다. 박 장관은 양국이 양자관계의 발전은 물론, 규범 기반 국제질서에 입각하여 역내 및 글로벌 평화·번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해 나가기를 희망하였습니다. 왕 부장은 박 장관의 중국 방문을 공식 초청하였으며, 향후 서울도 방문할 기회를 가질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하였습니다.



   또한 양측은 한중 관계 발전에 경제협력이 중요한 원동력이었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변화된 대내외 환경에 맞추어 호혜적 실질 협력을 계속 강화해 나가기로 하였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박 장관은 공급망의 안정적 관리, 중국 내 우리기업 활동 보호, 게임·영화 등 우리 문화콘텐츠 교류 활성화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



   양측은 양 국민간 인적·문화적 교류를 활성화해 나가기로 하였으며, 특히 양국간 우호협력의 기반이 되는 청소년 교류의 중요성에 공감하고 이를 적극 장려해 나가기로 하였습니다. 박 장관은 최근 중국의 방한 단체관광 재개(8.10.)와 아포스티유 협약 가입*을 평가하고 ‘2023~2024 한국 방문의 해’를 맞아 많은 중국인들의 한국 방문을 환영한다고 하였습니다.


* 2023.3월 가입, 11.7.발효



   박 장관은 한중 외교장관 통화(8.31.) 이후 뤼순감옥 박물관의 안중근 전시실, 윤동주 생가 등이 재개방되어 운영 중인 점을 평가하고, 앞으로도 중국 내 우리 독립운동 사적지의 보존ㆍ관리에 대한 중측의 지속적인 관심과 협조를 당부하였고, 왕 부장은 중측이 중국내 우리 독립운동 사적지를 계속 잘 보호하고 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양측은 4년 여 만에 개최되는 금번 한일중 외교장관회의를 통해 한일중 협력의 복원과 정상화를 가속화 해 나가자는 데 공감하였으며, 상호 편리한 조속한 시일 내 한일중 정상회의가 개최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하였습니다.



  박 장관은 2030 세계박람회의 부산 유치를 위해 가까운 이웃으로서 중국의 지지를 요청하였습니다.



  박 장관은 국제사회의 경고를 무시한 북한의 소위 ‘군사정찰위성’ 발사는 유엔 안보리 결의를 정면으로 위반하고, 우리 국가안보를 심각하게 위협하는 것임을 강조하였습니다. 박 장관은 우리 정부가 국민의 안전을 위한 최소한의 방어적 조치로 「9.19 군사합의」 일부 조항을 효력정지한데 대해, 북한이 「9.19 군사합의」 에 대해 구속되지 않을 것이라며 추가도발을 위협하고 있음을 지적하였습니다. 또한, 박 장관은 북한이 추가 도발을 중단하고 비핵화의 길로 나오는 것이 한중의 공통 이익에 해당하는 만큼, 이를 위한 중국측의 건설적 역할을 당부하였습니다. 아울러, 박 장관은 중국 내 탈북민 강제 북송 관련 우리의 엄중한 입장을 재차 전달하였습니다.



   작년 8월 박 장관의 중국 칭다오 방문에 이어 왕 위원의 금번 방한으로 외교장관 간 상호방문이 실현됨으로써 앞으로 양국 외교수장 간 긴밀한 소통을 더욱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각 실·국(부서)
전화
보도자료 하단에 기재된 전화번호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