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인도] 2021/22년 인도 정부예산(안) 현황

부서명
양자경제외교총괄과
작성일
2021-03-04
수정일
2021-03-04
조회수
9315

(정보제공: 주인도대한민국대사관)



1. 예산안의 주요 내용

 

가. 2021/22년 정부 예산안 개요

 

o 최근 코로나 여파로 인한 경제 타격에서 회복하고 글로벌 공급망에서 제조업 강국으로의 전환이라는 ‘자립 인도(Aatmanirbharta)’ 비전 아래 인프라 및 보건 분야 투자 확대, 고용 창출 등을 중점으로 확대 예산 편성

 

o (재정규모) 총 34.83조루피(약 4,775억달러, 530조원)로 전년도 수정예산안 대비 1% 증액

※ 2020/21년 예산안(30.42조루피) 대비 14.5% 증액, * 환율 1 USD/INR=72.95, I INR/KRW=15.29

- 인프라 투자 확대를 위한 차입금 및 부채가 15.06조루피(230조원)로 전년 예산안 7.96조루피 대비 90% 증가하여 재정적자는 GDP의 6.8% 예상

※ 인프라 확충을 위해 자본지출(capital expenditure) 예산이 4.12조루피에서 5.5조루피로 33.5% 증가  

 

인도 2021/22년 정부예산안

 

(단위:천만루피)

2020/21

2021/22

증 감

예산안

수정예산(A)

예산안(B)

전년대비(B-A)

%

총 수 입

2,245,893

1,601,650

1,976,424

374,774

23%

지 출

3,042,230

3,450,305

3,483,236

32,931

1%

재정적자

796,337

1,848,655

1,506,812

 

 

(GDP대비, %)

(3.5)

(9.5)

(6.8)

 

 

            출처: 2021/22년 재무부 정부예산안

 


나. 예산안의 세부내용

 

o (6대 핵심과제) △건강보건, △금융 및 인프라 확충, △포용적 개발, △인적자본의 활성화, △혁신·R&D, △최소의 정부와 최대의 공공서비스

- (건강·보건) 전년도 보건예산 9.4천억루피에서 2.23조루피(34조원)로 137% 증액

- (금융·인프라) 제조업 생산연계인센티브(PLI) 확대, 섬유단지 설립, 개발금융기관(DFI)에 2천억루피 지원, 국가민영화계획(National Monetization Pipeline) 출범, 인프라 건설을 위해 자본지출로 5.54조루피(85조원) 투입, 도로·철도·메트로 사업 확대 등

- (포용적 개발) 농촌 인프라 개발 기금(Rural Infrastructure Development Fund)에 4천억루피 지원, 중소기업 지원에 1,570억루피 할당

- (혁신과 R&D) 국립연구재단(National Research Foundation)에 5년간 5천억루피 투입. 디지털 지불수단 활성화를 위해 150억루피 투입, 우주개발에 1,394.9억루피 할당 등

 

다. 기타 쟁점사업

 

o (코로나 백신) COVID-19백신 구매를 위해 3,500억루피(5.35조원) 투입

o (농산물) 모든 상품에 걸쳐 최소 1.5배의 생산 비용으로 최소가격제(MSP)를 보장

※ 밀가격 지원규모(천만루피): 2013/14년(33,874), 2019/20년(62,802), 2020/21년(75,060)(약 11.5조원)

o (국경지역) Ladakh에 고등교육 시설인 Central University 설립, 내무부(경찰 예산)에 약 1.67조루피(약 25.5조원) 할당(Jammu와 Kashmir에 3,075.7억루피, Ladakh에 595.8억루피 등)

o (기술교육) UAE와 기술 자격 등 벤치마킹 협력, 일본과 교육 트레이닝 프로그램(TITP)* 협력

* Training Inter Training Programme

o (우주개발) 최초의 무인 발사는 2021년 12월로 계획

 

라. 기업관련 정책 

 

o 세무감사 완화 및 비대면 전환 등 기업환경개선을 위한 정책을 마련하는 반면 국내 생산을 장려하기 위한 주요 전자제품 및 자동차 부품 등에 대한 수입관세 최대 20%로 인상

- (세무감사) 세무감사(Tax Audit:소득금액계산의 적정성을 회계감사인이 감사의견을 표명하는 것) 대상요건을 완화(매출 5천만루피 이상에서 1억루피 이상으로 변경)

- (관세인상) 기존 400개 이상의 관세 면제를 재검토할 것을 제안하고 10월 1일부터 개정된 관세율 정책을 시행할 예정이며, 주요 전자제품 및 자동차 부품, 농산물에 대한 수입관세 최대 20%로 인상 등

- (특별세) 농업 인프라를 강화하기 위해 휘발유, 디젤, 금 및 일부 수입 농산물을 포함한 특정 품목에 대한 농업인프라개발세(AIDC)* 부과

* Agriculture Infrastructure and Development Cess(리터당 2.5 루피의 AIDC가 휘발유에, 리터당 4 루피가 디젤에 부과)

    


2. 시장 및 각계 반응

 

 o (정계) 야당 등은 이번 예산안의 국영기관의 민영화 및 자산매각 계획 등을 강하게 비판

※ 야당 유력인사인 Rahul Gandhi는 이번 예산안이 사람들에게 현금을 지급하는 것을 잊고 자본주의 세력에 인도 자산을 넘기기를 계획한 것이라고 비판

o (산업계) 산업관계자들은 이번 예산안이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타격에서 경기를 강하게 반등시킬 수 있을 것이며, 정부의 인프라 및 중소기업 지원 지출 증가 등이 제조업 등에 고무적이라고 크게 환영  

 o (시장반응) 재무부의 인프라 지출에 대한 강력한 재정지원, 시장 친화적 정책 등이 시장에 긍정적으로 반응하면서 예산 발표 당일 주식시장이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상승세를 보임.

※ 역대 예산안 발표 당일 센섹스 상승 추이(포인트): 2021년(2,315), 2017년(486)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