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네덜란드, 한국 경제에 대한 네덜란드의 평가

부서명
작성일
2001-10-09
조회수
4262
한국 경제는 98년 심각한 불경기에 빠진바 있으나, 그동안 괄목할 만한 회복을 한 바, 이는 올바른 거시 경제 정책, 환율 경쟁력, 구조개혁, 경쟁력 제고 노력, 외부 환경 양호, 정책 신뢰 회복 등에 기인함. 상기결과 및 특히 외환보유고 확충(900억불)으로 한국 경제의 취약성이 확실히 감소되었으나, 금융 분야는 아직도 매우 취약함(the banking sector is still very weak) - 한국의 은행은 적어도 1,000억불의 악성 부채 소유 - 민간 분야의 총 대내외 채무는 6,300억불로 GDP의 150% 수준 - 4대 재벌의 부채 비율이 아직도 매우 높은 수준이며, 시급히 감소할 필요가 있음. - 현재 한국 정부는 회사 부도를 방치 않을 것으로 보여짐. 그 이유는 금융분야의 채무를 증가시키고 상당한 사회불안을 야기시킬 소지가 있기 때문임. - 국영 기업의 민영화 추진(에너지 및 담배)도 매우 속도가 느림(아직도 국영기업이 경제의 10% 차지) 네덜란드은 아시아 경제 위기 이후 아시아 신흥 시장 국가에 상당한 투자를 하였으나 아직도 경계를 하고 있음.(Dutch investors still appear to be on their guard at present) - 한국은 신흥 시장국중 네덜란드의 3번째 투자 대상국임(98-2000년간 대한 투자는 68억길더로, 대브라질 110억 길더, 대폴란드 70억길더 다음 3위임). 특히 필립스가 LG의 LCD 사업에 33억 길더 투자(50% 지분) 일반적으로 한국 기업의 경쟁력이 아주 높고(very competitive) 최신 기술만을 요구하므로, 네덜란드 기업이 진출할 여지가 있으나, know-how가 한쪽으로만 이전될 위험성도 있음. 네덜란드기업이 한국에 진출 가능한 분야는 아래와 같음. - 전자 및 정보통신(LG와 필립스간 제휴 진행중) - 인프라(도로, 철도, 항만, 특히 한국이 동북아 무역 센타로 부상하기 위해 부산, 인천, 울산, 광양, 마산항등 확충중) - 자동차 산업(외국 부품 진출 가능성) - 환경(쓰레기 소각시설, 토양 보호 및 정화, 하수도 처리시설) - 써비스 분야(네덜란드 금융 기관이 몇 개 활동중이나 금융시장 추가 개방에 따른 진출 여지 있음) ※ 상기 책자 내용중 특기사항은 2000년도 네덜란드에 대한 아시아로부터의 수입이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으로부터 수입은 2000년도에 전년대비 80% 증가로 147억길더이며, 과거 완구, 의류, 신발이 주품목이었으나 현재는 컴퓨터 및 컴퓨터부품과 기계류가 절반 가량을 차지한 것이 특징임(2000년도중 아시아 신흥 시장국으로부터의 수입 증가율 : 중국 80%, 필리핀 61%, 한국 41%, 대만 35%, 인니 27%, 말련 27%, 인도 18%, 태국 18% 등임)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