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폴란드] 주간 경제 동향('25.08.25.-31.)

부서명
유럽경제외교과
작성일
2025-09-16
조회수
100

(정보제공 : 주폴란드대사관)



폴란드 주간 경제 동향('25.08.25.-31.)



  가. 예산 및 공공재정


    1) 국무회의, 2026년 예산안 초안 채택


        ※ 모든 금액 단위는 별도 표기가 없는 한 폴란드 즈워티(PLN) 기준


    ㅇ (세입) 6,470억(2025년 대비 약 440억 증가)


      - 주요 세입 항목 : △부가가치세 3,415억 △법인세 804억 △소득세* 320억 △특별소비세 1,033억 등


        * 총소득세 세입은 1,938억이나, 1,618억은 지방정부로 이전되어 중앙 정부 예산에는 320억 반영


    ㅇ (세출) 9,189억(2025년 대비 약 27억 감소)


      - 주요 세출 항목 : △국방비 2,000억(GDP의 4.8%)* △보건비 2,478억 △인프라 투자 △사회정책 △주택정책 67억 등


        * 국방부 예산과 군 지원 기금을 포함한 금액


    ㅇ (재정적자 및 공공부채) △재정적자 2,717억(GDP의 약 6.5%) △공공부채 GDP의 약 53.8%(폴란드 기준*) 및 66.8%(EU 기준**)


        * 폴란드 재정법에 근거한 산출 방식으로 중앙 및 지방정부, 기금의 일부만 포함됨. BGK(개발은행)의 특수목적기금(군 지원 기금 등)은 산출 시 포함되지 않음.

       ** Eurostat 기준으로 정부 전체 부문과 특수기금 등을 모두 포함함.


  ㅇ (2026년 주요 거시 경제 지표) △경제성장률 3.5% △평균 물가상승률 3% △임금 상승률 6.4% △투자증가율 8% 등


    2) 정부, 세수 확대 계획 수립 중


    ㅇ 정부는 재정적자 및 공공부채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 △은행 대상 법인세 세율 인상(2026년 19%→30% 및 2028년까지 23%로 인하) △경품?복권?도박에 대한 원천징수세 상향(10%→15%) △주류?담배세 인상 △설탕 및 카페인세 인상 등의 방안을 고려 중임.


        * 재정적자는 2024년 GDP의 6.6%였으며, 2025년의 경우 GDP의 6.4% 수준으로 전망됨. 공공부채는 2025.1분기 GDP의 57.4% 수준을 기록함.


    - 상기 세수 확대 계획을 실행시 2026년 약 65억 PLN, 향후 10년간 200억 PLN의 추가 세수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


    ㅇ 나브로츠키(K.Nawrocki) 대통령은 주세 및 설탕세 인상에 대한 거부권 의사를 밝혔으며, 업계(은행, 주류 업계 등)에서도 세금 인상에 대해 비판적으로 평가함.


    3) 대통령의 가족 세제 혜택 법안*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


        * 다자녀 가구일 경우 연 14만 PLN 까지 소득세 면제

       ** IBRiS는 8.13-14일 1,06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ㅇ 응답인의 47.5%는 세제 혜택 법안에 대해 찬성하였으며, 47.9%는 반대함.


    ㅇ 전문가들은 상기 법안이 일부 가구에 재정적 도움을 줄 수 있으나, 폴란드의 낮은 출산율(1.1) 제고에는 제한적 영향을 끼칠 것으로 평가함.


    ㅇ 도만스키(A.Domanski) 재무?경제 장관은 대통령이 발의한 소득세 면제?과세 표준 구간 상향* 입법이 시행될 시 연 300억 PLN의 예산 부담이 발생하고, 수혜의 대부분이 고소득층에 집중될 것이라 평가함.


        * 다자녀 가구의 경우, 연 소득 14만 PLN까지 소득세 전액 면제, 과세 표준 상향(現 12만 PLN → 14만 PLN)


  나. 에너지


    1) 풍력 발전법* 관련 대통령-정부 갈등


        * (참고) 최근 하원은 가정용 전기 요금 동결 연장(~2025년), 육상 풍력 발전소 거리 완화(500m)를 주 내용으로 하는 에너지법 개정안을 통과시킴.


    ㅇ 나브로츠키(K.Nawrocki) 대통령은 가정용 전기 요금 동결에 대해서는 동의하나, 이를 육상 풍력 발전 관련 법안과 결합한 정부의 입법 방식에 대해서는 문제를 제기 중임.


      - 반면 정부는 대통령이 거부하기 어려운 가정용 전기 요금 동결 법안을 포함시켜, 법안 통과를 압박하는 전략을 구사



    2) 대통령, 풍력법 거부권 행사 후 가정용 전기 요금 동결 법안 발의


    ㅇ 나브로츠키(K.Nawrocki) 대통령은 △육상풍력발전소 거리 완화 △가정용 전기요금 동결 연장을 주 내용으로 하는 소위 풍력법에 거부권을 행사한 후 가정용 전기 요금 동결 법안을 직접 발의하였음.


      - 정부 측은 대통령 발의 입법이 법안 표절이며, 대통령의 풍력법 거부권 행사가 국민?산업?에너지 안보에 피해를 줄 것이라고 비판


    3) Orlen 및 Synthos, OSGE 운영 구조 개편 합의


    ㅇ Orlen과 Synthos는 소형모듈형원자로(BRWX-300)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설립된 특수목적법인인 Orlen Synthos Green Energy社의 운영 구조 개편에 합의하였으며, 첫 SMR은 브워츠와베크(Orlen 소유 부지), 두 번째 SMR은 스타비 모노프스키에(Synthos 소유 부지)에 건설될 것임.


    ㅇ 금번 운영 구조 개편 합의에는 △순환 경영 체계 도입(양사가 3년 단위로 기업대표 및 감독이사회 의장 교체) △OSGE의 BWRX-300 기술 활용 보장(기존 Synthos가 보유했던 독점적 권한을 OSGE로 확장 및 공유) △지분 매각 시 사전 규율 조항 명문화 등이 포함됨.


  다. PKP Intercity, 금년 중 고속철 입찰 예정


    ㅇ 말렙샤크(P.Malepszak) 인프라부 차관은 금년 중 PKP Intercity가 320 km/h 급 고속철 26편성 도입을 위한 입찰을 진행할 것이며, 입찰에서 더 높은 성능의 고속철을 제안하는 업체를 우대할 것이라 함.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