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에티오피아] 거시경제개혁(HGER 2.0) 성과 발표(DPG 회의)

부서명
유럽경제외교과
작성일
2025-09-16
조회수
106

  (정보제공 : 주에티오피아대사관)



에티오피아 거시경제개혁(HGER 2.0) 성과 발표(DPG 회의)




에티오피아 재무부 및 기획개발부는 8.26(화) 에티오피아 공여국 그룹(DPG)을 대상으로 거시경제개혁(HGER 2.0) 프로그램의 성과 및 향후 계획을 발표한바,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Eyob Tekalign 재무부 차관 및 Bereket Tesfamariam 기획개발부 차관 브리핑

   

1. 개요


ㅇ 에티오피아 정부는 2019년 자생적 경제개혁(Home-grown Economic Reform, HGER) 프로그램을 출범시키고, ▲국영기업(SOE) 구조조정 ▲투자환경 개선 ▲국내 자원 동원 강화 ▲채무 투명성 제고 등을 추진 중

   

ㅇ 2023/24 회계연도부터는 민간·시장 주도의 개방형 경제체제로 이행하는 HGER 2.0을 도입하여, ▲포괄적 성장 ▲민간 중심 전환 ▲공공부문 효율화 ▲회복탄력성 ▲안정성 확보를 중점 목표

   

  - 아울러, IMF 지원 프로그램(2024-2028)과 연계하여 ▲외환시장 자유화 ▲통화정책 현대화 ▲무역 자유화 및 규제 완화 ▲채무 재조정 등을 병행 중

   

2. 추진 현황 및 주요 성과


가. 거시경제 성과


   ㅇ (경제 성장) 2017/18년-2023/24년간 평균 7.3% 성장했으며, 2024/25 예상 성장률은 8.8%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SSA) 평균(3.4%)을 크게 상회


   ㅇ (수출 증가) 2024/25년 상품 수출 약 83억 달러 기록(금 수출 34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 및 무역적자 축소


   ㅇ (인플레이션 완화) 34.5%(2014년) → 13.7%(2017년)로 하락


   ㅇ (사회보장 투자 확대) 사회안전망(PSNP) 구축 600억 비르(약 4억 8천만 달러), 보조금 1,800억 비르(약 14억 달러), 공무원 급여 인상 등 사회보장 지출 확대


나. 실물·부문별 성과


   ㅇ (해외직접투자(FDI) 유입 증가) 에티오피아는 2024년 아프리카 국가 중 두번째로 큰 FDI 유입국(UNCTAD 세계투자보고서(2025))으로 2024/25년 약 40억 달러가 유입되었으며, 신규 투자·FDI 라이선스(436건) 확대


   ㅇ (고용 창출) 2024/25년 국내 신규 일자리 약 450만 개(농업 부문 39.1%) 창출, 해외 취업자 51만여명 기록, 신규 기업 33만여 개 설립


   ㅇ (예금 유치 및 금융 접근성 확대) 3.5조 비르(약 278억 달러)의 예금 유치 및 ATM, 인터넷·모바일 뱅킹 등 금융접근성 확대, 민간 부문에 대한 은행 대출 78%까지 증가


   ㅇ (농업 부문 성과) 작물 생산 증가(1.2억 톤→1.6억 톤) 및 커피 생산 증가(83만 톤→144만 톤), 농업금융 로드맵 추진


   ㅇ (제조업 성장) 연평균 6.6% 성장(2022/23-2023/24년), "Made in Ethiopia" 이니셔티브 추진


   ㅇ (광업 부문 성과) 2024/25년 162% 성장, 국립은행에 금 36.6톤 공급


   ㅇ (관광 활성화) 2024/25년 국제 관광객 130만여 명 유치, 150개 국제행사 개최


   ㅇ (디지털 경제 성장) 디지털 ID 2,200만여 건 발급, 모바일폰 가입자 8,600만여 명, 인터넷 사용자 5,400만여명 확보


   ㅇ (공공부문 개혁) MESOB* 원스톱센터 구축, 행정 전자화, 국가 농업총조사(농업 센서스) 실시, 통계법 제정, 데이터 현대화


       * 국민과 기업이 세무·허가·행정 민원 등을 한곳에서 처리할 수 있는 전자행정 통합 플랫폼


   ㅇ (국영기업(SOE) 개혁) Ethio Telecom 부분 민영화(10% 기업공개(IPO) 예정), 증권거래소(ESX) 설립, 에너지·물류·통신 등 구조조정


다. 제도·정책 개혁


   ㅇ (세제 개혁) 저소득층 소득세·임대세 감면, 중소기업 간이과세 폐지, 디지털세 신설 및 최소대체세(MAT) 2.5% 도입


       ※ 재정정책 효과: 단기적으로는 GDP 0.21%의 세수 감소 예상, 장기적으로는 투자유치·성장 촉진 효과 기대


   ㅇ (투자환경 개선) 배당송금·지분투자 면세, 간소화된 조세제도 도입, 해외 직접투자 장려

   

3. 주요 과제 및 제약


ㅇ 거시경제 부문에서는 ▲높은 인플레이션 지속 ▲재정여력 제한 및 채무 취약성 ▲제도적 병목 ▲외부 충격 대응 ▲취약 계층 보호 필요성이 주요 과제

   

ㅇ 실물 경제 부문에서는 ▲열악한 투자·무역환경 ▲숙련된 노동력 부족 ▲인프라 격차 ▲공공부문 역량 한계 ▲금융·기술 접근성 제약 등이 구조적 문제로 작용

   

4. 향후 계획

   

ㅇ 에티오피아 정부는 향후 1년 내 ▲채무 재조정 완료 ▲외환시장 개혁 가속화 ▲세제·재정 개혁 착수를 추진하고, 2025-2027간 중기적으로는 ▲재정 지속가능성 확보 ▲국영기업 개혁 가속화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 이행 및 WTO 가입 촉진 ▲민간투자·FDI 확대 추진 계획

   

  - 또한 농업·산업·광업·관광·디지털화 등 부문별 개혁을 병행하고 국가 ID 등록·인프라 확충·고용 창출 등 메가 프로젝트도 추진 예정

   

5. 전망 및 국제 협력


ㅇ 에티오피아 경제개혁의 성과는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지원 여부에 좌우될 것으로 평가


    ※ 국제사회 지원이 중요한 이유

      . (채무 재조정) 공동프레임워크 및 채권자 협상 지원 필요

      . (투자 유치) 민간 파트너십·보증·혼합금융(Blended Finance)을 통한 민간·외자 유입 촉진 필요

      . (제도적 역량 강화) 조세행정·채무관리·국영기업 지배구조·금융감독 분야 지원 관련 역량 강화 지원 필요

      . (무역 통합) AfCFTA이행·WTO 가입 가속화 및 글로벌 가치사슬 편입 촉진 지원 필요

      . (정책 대화) 예측가능하고 지속적인 대외정책 협력 필요

   

ㅇ HGER 2.0은 민간 중심의 개방경제 전환을 가속화하여, 에티오피아의 ▲고성장 기조 유지 ▲경제구조 전환 ▲기후변화 대응능력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