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튀니지] 주간 경제 동향 ('24.03.07.-14.)

부서명
유럽경제외교과
작성일
2025-03-18
조회수
874

(정보제공 : 주튀니지대사관)



튀니지 주간 경제 동향 ('25.03.07.-14.)



  ㅇ (인플레이션 완화 추세) 주재국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금년 1월과 2월 인플레이션은 각각 6%와 5.7%로 파악됨.


     - 다만, 동기 주요 식료품의 물가상승률*은 두 자리 숫자 이상** 상승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시민들의 체감물가와는 다소 격차가 있는 것으로 드러남.


       * 주재국 통계청은 총 720개 재화묶음 품목(우리나라는 460개)을 12개 대분류하는 2015년 산출방식을 사용 중이며, 각 품목별 적용되는 가중치는 ▲식료품 및 음료 26.2%, ▲주류 및 담배 2.8%, ▲주택 임차 및 공과금 19%, ▲통신 4.6%, ▲식당 및 숙박 4.6% 등으로 2025년 현재 튀니지인들의 일상 소비 성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표면적인 인플레이션 하강 추세와 실질적인 물가상승 사이에는 괴리가 크며, 6%선의 인플레이션 또한 합법적인 급여상승과는 격차가 뚜렷한바, 시민들의 구매력 상실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여론을 통해 제기되고 있는 상황  


      ** ▲육류(양고기 +21.4%, 닭고기 +10.5%, 소고기 +9.7%), ▲신선 야채 +18.7%, ▲견과류 +14.2%, ▲비냉동 어류 +13.4%등 소비가 상당한 품목들의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하였으며, 이외에도 ▲신선 과일 +8.3%, ▲초콜렛 및 당류 +7.3%, ▲소금 및 기타 향신료 +6.3% 등 상시 소비 품목의 가격도 지속적인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는바 서민들의 장바구니에 큰 부담으로 작용  


  ㅇ (외환보유고 현황) 튀니지 중앙은행에 따르면 3.11(화) 기준 주재국 외환보유고는 231.46억 디나르(수입일 수 101일, 약 75억 미달러)이며, 동일 중앙은행의 유동자산이 15.97억 디나르인 데에 반해 시중에 풀려있는 현금통화량은 233.19억 디나르로 파악됨.(출처 중앙은행 보도자료 / USD 1 = TND 3.1 )


      - 금년 1-2월간 해외노동자 송금은 전 동기 대비 6.2% 증가한 12.64억 디나르, 관광수입은 전 동기 8.88억 디나르 대비 5.6% 증가한 9.38억 디나르(총 22.02억 디나르)를 기록하면서 외환보유고 유지에 기여


  ㅇ (1-2월간 무역수지적자 35억 디나르) 금년 1-2월간 주재국의 무역수지적자는 35.18억 디나르(약 11.34억 미 달러로 전 동기 -17.79억 디나르 대비 97.64% 증가)에 달하며, △수출 101.69억 디나르(-4.4%), △수입 136.87억 디나르(+10.2%) 각각 차지함. (통계청 3.13(목) 발표)


     - 비에너지 부문 무역수지적자는 16.72억 디나르, 에너지수지적자는 18.45억 디나르이며, 비에너지부문 무역수지적자는 ▲올리브유 판매 감소(전 동기 13.24억 디나르 대비 16.5% 감소한 10.07억 디나르), 에너지수지적자는 ▲정유 판매 급감(전 동기 3.45억 디나르 대비 약 83% 감소한 5.9천만 디나르)이 주요인


     - 이외에 기계?전자(-5%), 섬유?의류?피혁(-0.6%) 부문 수출이 다소 감소한 반면, 인산염 등 광물 수출은 9% 증가


     - 한편 장비류(+12.5%), 소비재(+14.3%), 원자재 및 반제품(+11.9%), 식료품(+10.6%)은 각각 수입이 증가하였으며, 에너지 품목 수입(-0.02%)은 거의 변동 없음.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