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역 검색
라트비아공화국
Republic of Latvia
- 수도 : 리가
- 면적 : 6만4589㎢(한반도의 약 1/3)
지도로 보기
기본정보
일반사항
- 국명 : 라트비아 공화국(Republic of Latvia)
- 수도 : 리가
- 인구 : 186만명 (2021.7월 / CIA 추정)
- 면적 : 6만 4589㎢ (한반도의 약 1/3)
- 종교 : 루터교, 카톨릭교, 러시아정교
- 민족 : 라트비아인(61.1%), 러시아인(26.2%) 등
- 건국 : - 1991.09.06. 소련으로부터 주권회복 - 1918.11.18. 최초 독립(국경일)
- 정치현황
- 정부형태 : 내각책임제
- 주요인사
- 국가원수 : 에길스 레비츠 대통령 (Egils Levits, 2019.07. 취임)
- 정부수반 : 아르투르스 크리스야니스 카린스(Arturs Krišjānis Kariņš, 2019.01. 취임)
- 외교장관 : 에드가스르 린케비치 장관 (Edgars Rinkēvičs, 2011.10. 취임)
- 의회구성 : 단원제, 총 100석(2018.10. 총선 결과)
- 연정 : 신보수당(16석), KPV LV(12석), 국민연합(12석), 개발당(13석), 신통합당(8석)
- 야당 : 화합당(22석), 녹색농민연합(10석), 무소속(7석) ※ 화합중앙당(親러시아계)은 정당별 득표는 1위이나 親러성향으로 인해 연정에서 배제
- 주요정당 : 중도우파 연정
- 경제현황
- GDP : 337억$ (2020, WB)
- 1인당GDP : 1만 7726$ (2020, WB)
- 경제성장률 : -3.5% (2020, WB)
- 화폐단위 : EURO(2014.01.01. 유로존 가입)
- 교역 : (2021, 한국무역협회)
- 실업률 : 8.1% (2020, WB)
- 주요산업 :
- 산업구조 : 농업 4.8%, 제조업 24.8% 서비스업 70.4%
- 대표산업 : 목재가공업, 식품가공업, 광업, 전자제품제조업
- 우리나라와의 관계
- 외교관계
- 2019.11. 한성진 주라트비아 대사부임
- 2019.03. 주라트비아 리가분관 정식 대사관 승격
- 2016.01. Vaivars 주한 라트비아대사 부임
- 2015.09. 주한 라트비아 대사관 개설
- 2012.10. 주스웨덴 대사관 리가분관 개설
- 1991.10.22. 외교관계 수립
- 공관현황 :
공관장
- 주라트비아대사 : 한성진 대사(‘19.11월~)
- 주한대사 : 아리스 비간츠(Aris Vigants) 대사(‘20.12월~) - 투자현황 :
* (2020 누계, 신고 기준)
- 對라트비아 : 7건, 800만불(수출입은행)
- 對한국 : 2건, 153만불(산업통상자원부) - 교역 : 교역 (2020, 한국 기준, KITA)
- 수출액 : 7500만$
- 수입액 : 1억 2300만$
- 수출품목 : 타이어, 자동차부품, 합성수지, 무선전화기 등
- 수입품목 : 제재목, 토탄, 기타목재류, 적층목재 등
- 교민현황 :
46명 (2021)
- 삼성전자 및 LG전자 상사주재원과 가족, 교환학생 등으로 구성
- 주요인사 교류현황
- 방한
- 1991.12. Jurkans 외교장관
- 1993.09. Pavlovskis 통상장관
- 1996.10. Birkavs 외교장관
- 2009.01. Godmanis 총리
- 2010.03. Teikmanis 외교차관
- 2011.06. Dombrovskis 총리
- 2012.10. Pabriks 국방장관
- 2013.05. Aboltina 국회의장
- 2013.10. Sarts 국방차관(사이버스페이스총회)
- 2015.04. Pildegovics 외교차관
- 2016.10. Kalnins 국회 외교위원장
- 2018.02. Vejonis 대통령, Rinkevics 외교장관, Bergmanis 국방장관 방한(평창동계올림픽 계기)
- 2019.10. Ralfs Nemiro 경제부장관
- 2020.01. Ināra Mūrniece 국회의장
- 방문
- 1991.10. 수교 대표단(한탁채 대사)
- 1995.04. 정종욱 대통령특사
- 2011.07. 박희태 국회의장
- 2015.04.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및 여형구 국토교통부 2차관(ASEM 교육장관회의)
- 2017.11. 심재권 국회 외통위원장
- 2019.05. 문희상 국회의장
- 2021.07. 윤상현 한-라트비아 의원친선협회장
- 북한과의 관계
- 수교현황 : 1991.09. 외교관계 수립
- 공관현황 : 주스웨덴대사가 라트비아 겸임
* 교역(2020, KOTRA)
- 수출 : 0
- 수입 : 0
- 주요 정세
- 2004.03. NATO 가입
- 2004.05. EU 가입
- 2009.02. Dombrovskis 총리 취임
- 2010.10. 조기총선을 통해 연합당·환경농민당·라트비아를 위하여 및 조국자유민족독립운동당 연합 3당간 연정 구성(63석)
- 2011.05. Zatlers 대통령의 의회 해산 요청에 따라 7월 국민투표를 통해 의회 해산
- 2011.07. Berzins 대통령 취임
- 2011.09. 긴급총선 실시, 親유럽 중도우파 연정구성(56석), 親러 좌파성향의 화합중앙당이 제1당으로 부상(31석)하였으나, 연정 구성에서 제외
- 2011.10. Dombrovskis 총리 재임
- 2011.11. Zatlers개혁당, 연합당, 라트비아를 위하여-조국자유민족독립운동연합 등 3당간 연정 구성 합의
- 2013.11. Dombrovskis 총리 사임(1991. 독립이후 최대의 인명피해(54명 사망)를 초래한 슈퍼마켓 옥상 붕괴 사고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임)
- 2014.01. Laimdota Straujuma 총리 취임(2015. 상반기 EU의장국 수임 예정)
- 2014.10. 총선을 통해 친유럽 성향의 중도우파 연립여당이 과반수 이상 득표
- 2014.11.05. Laimdota Straujuma 2기 내각 출범
- 2015.06.03. 의회선거를 통해 Vejonis 국방장관이 대통령 당선
- 2015.12.07. Laimdota Straujuma 총리 전격 사임
- 2016.02.11. 의회 승인을 통해 마리스 쿠친스키스(Maris Kucinskis) 총리의 내각 출범
- 2016.02. OECD 가입
- 2018.10. 제13대 총선
- 2019.01. 13대 총선(2018.10.06.) 이후 아르투르스 크리스야니스 카린스 총리 내각 출범
- 2019.07. 에길스 레비츠 대통령 취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