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역 정보

- 파푸아뉴기니독립국(The Independent State of Papua New Guinea)
-
- 수도 : 포트 모르즈비(Port Moresby)
- 면적 : 452,860㎢ (세계 54위, 한반도의 2배)
기본정보
일반사항
- 국명 : 파푸아뉴기니 독립국(The Independent State of Papua New Guinea)
- 수도 : 포트 모르즈비(Port Moresby)
- 인구 : 894만명('20) ※Worldometers
- 면적 : 452,860㎢ (한반도 2배)
- 민족구성 : 파푸아인(멜라네시아계) 96%, 마이크로네시안 2%, 폴리네시안 1%, 중국 및 유럽계 등 1%
- 종교 : 기독교 95%, 기타
- 언어 : 영어(공용어), 톡피진어(Tok Pidgin) 히리모투어(Hiri Motu) 및 850여개 부족언어
정치현황
- 정부형태 : 의원내각제
- 의회구성 : 단원제(총111석, 임기 5년)
- 주요인사
- 총독 : Sir Bob Dadae(17.2월-)
- 총리 : James Marape(19.5월-)
- 외교통상장관 : Soroi Eoe(20.12월-)
경제현황 ※UNCTAD Stat('19)
- 총 GDP : 240억불
- 1인당 GDP : 2,736불
- 교 역 : 150.4억불 (수출 : 113.7억불 / 수입 : 36.7억불)
- 산업구조 : 인구의 85%이상이 농업분야에 종사
- 화폐단위 : 키나(Kina, PGK)
우리나라와의 관계
- 수교일자 : 1976.5.19.
- 한국측 공관현황 : 상주중(81.12월 개설, 18.5월 강금구 대사 부임)
- PNG측 공관현황 : 상주중(91.4월 개설, 16.7월 Andrew Yamanea 대사 부임) ※ 국내경제 사정 악화로 01.7.31. 폐쇄했다가 05.09.01 재개설
- 교민 : 약 201명('19) ※외교부
- 교역 : 5.89억불('20) ※수출입무역통계
- 수출 : 0.53억불(화학품, 수송기계, 철강 등)
- 수입 : 5.35억불(광물, 연료, 목재 등)
- 투자 현황 ※해외직접투자통계, 산업통상자원부
- 對파푸아 투자 : 2.86억불('81~'19 누계신고액) / 125.6만불('19 신고액)
- 對한국 투자 : 4.40억불('00년 이후 없음)
- 원조 : 2,632만불('87-'19 누적액) ※외교부
- 주요인사 교류현황
- 방한
- 10.04월 William Duma 석유에너지부 장관 (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 면담)
- 11.05월 Don Polye 외교장관 (제1차 한-태평양도서국 외교장관회의 참석
- 11.06월 Salamo Injia 대법원장
- 12.10월 Patrick Pruaitch 산림 기후변화부 장관 (Pre-cop18)
- 12.11월 Michael Malabag 보건부장관
- 14.01월 Mao Zeming 해양수산부장관
- 14.03월 Nixon Duban 석유에너지부장관
- 14.10월 Michael Malabag 보건부장관
- 16.10월 William Dihm 외교차관대행 (제4차 한-태평양도서국 고위관리회의 참석)
- 17.04월 Raymond Masono 부겐빌 지치지역 부통령
- 17.12월 Rimbink Pato 외교장관 (제3차 한-태도국 외교장관회의)
- 18.04월 Jan Czuba 고등교육부차관
- 18.11월 Richard Maru 국가기획통제부 장관
- 방문
- 10.07월 문정호 환경부차관
- 11.02월 신봉길 외교장관특사
- 12.04월 박석환 외교장관특사
- 14.05월 한진현 산업부차관
- 15.03월 최종문 외교장관특사
- 15.10월 신원섭 산림청장
- 18.03월 윤강현 경제외교조정관 (제1차 APEC 고위관리회의)
- 18.05월 유명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실장 (APEC 통상장관회의)
- 18.08월 윤강현 경제외교조정관 (제3차 APEC 고위관리회의)
- 18.11월 문재인 대통령 (APEC 정상회의 참석, 양국정상회담)
- 19.05월 한-파푸아뉴기니 의원친선협회 (심재권 협회장)
북한과의 관계
- 수교일자 : 1976.6
- 82.02 북한 사절단 방문시 정치 선전활도 이유로 강제출국 조치, 이후 북한대사에 대한 아그레망 부여를 지속 거부해 오다가, 03.4 우리정부 견해 문의 후 아그레망 부여
주요 국내정세
- 11.04월부터 Michael Somare 총리가 치료를 위해 Sam Aval을 임시총리로 임명하고 싱가포르에 머무는 기간, 의회는 Aval을 사임시키고 8월 2일 Peter O'Neil을 총리로 선출하였으나, Somare총리 복귀 후 헌법해석 및 정당성 문제로 의회와의 갈등 지속
- 11.12월 대법원은 O'Neil의 총리직 수행은 위헌이라 판결
- 12.06-07월 총선 실시 및 Peter O'Neil 총리 선출
- 16.07월 O'Neill 총리 해외차관 부당 거래 의혹 등과 관련 총리 불신임 투표 실시하였으나 부결됨
- 17.06-07월 총선 실시 및 Peter O'Neil 총리 재선출
- 18.11월 APEC 정상회담 개최(주최국)
- 19.05월 의회에서 James Mrape 총리 선출(Pegu당 출신)
- 20.08-09월 부겐빌 자치지역 총선 및 대선 실시, Ishmael Toroama 대통령 선출
- 20.11.12. 야탕 및 다수 의원들이 Marape 총리 불신임 투표를 위한 사전절차로 12월 1일까지 휴회 의결
- 20.11.25. 외교장관 포함 정부각료 9명의 사임서 제출
- 20.12.20. Mrape 총리 21-22년 신임 내각 구성 발표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