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역 정보
기본정보
일반사항
- 국명 : 일본 日本(Japan)
- 위치 : 동북아시아
- 면적 : 약 37.8만㎢(한반도의 약 1.7배)
- 인구 : 1억 2,626만명(2019년, World Bank)
- 수도 : 東京(Tokyo)
- 행정구역 : 1都 1道 2府 43縣(총47개)
- 종교 : 神道(Shintoism), 불교, 기독교
정치·군사
- 국가형태 : 입헌군주제
- 정부형태 : 내각책임제
- 국가원수 : 나루히토 천황
- 총리대신 : 스가 요시히데 자민당 총재
- 의회구성 : 양원제(참의원/중의원)
- 최근 정국동향
- 2014.12.24 제3차 아베 내각 출범
- 2015.10.07 제3차 아베 개조내각 출범
- 2016.08.03 제3차 아베 2차 개조내각 출범
- 2017.08.03 제3차 아베 3차 개조내각 출범
- 2017.11.01 제4차 아베 내각 출범
- 2018.10.02 제4차 아베 개조내각 출범
- 2019.09.11 제4차 아베 2차 개조내각 출범
- 2020.9.16 스가 내각 출범
경제현황
- 화폐단위 : 엔(円·yen)
- GDP : 5조 818억불(2019, World Bank)
- 1인당 GDP : 4만 247불(2019, World Bank)
- 외환보유액 : 1조 3,121억불(2020, 日재무성)
- 경제성장률 : -4.8%(2020,日총무성)
- 실업률 : 2.8%(2020, 日총무성)
- 총교역량 : 1조 2,731억불(2020, 일본무역진흥기구)
- 수출 6,400억불
- 수입 6,331억불
방위현황(2020 일본방위백서)
- 자위대 : 총 22만 7,422명 (현원)
- 육상자위대 : 138,060명
- 해상자위대 : 42,850명
- 항공자위대 : 42,828명
- 통합막료감부 등 : 3,704명
- 방위관계비 : 5조 3,133억엔(미군재편경비 포함)
우리나라와의 관계(1965년 수교)
- (2020년 교역) 대일수출액 250.9억불 / 대일수입액 460.3억불
- 일본은 우리의 제3위 교역국 / 우리는 일본의 제3위 교역국
- (2020년 투자) 대일투자액 5.9억불(2020.9월) / 대한투자액 7.3억불
- (2019년 인적교류) 방한일본인 327만명 / 방일한국인 558만명
- 외국인 입국자 중 일본인 비중은 2위 / 방일 외국인 중 한국인 비중도 2위
- 일본체류 한국인 약 43만 5천명(재일조선인 약 2만7천명)(2020.6월) / 한국체류 일본인 약8만6천명(2019)
최근 정상간 상호방문 현황
- 2008.02월 후쿠다 총리, 대통령 취임식 계기 방한
- 2008.04월 대통령, 일본 공식실무방문
- 2008.07월 대통령, G8 계기 방일(삿포로)
- 2008.12월 대통령, 한·중·일 정상회의 계기 방일(후쿠오카)
- 2009.01월 아소 총리, 공식실무방한
- 2009.06월 대통령, 일본 실무방문
- 2009.10월 하토야마 총리, 실무방한
- 2010.05월 하토야마 총리, 한·일·중 정상회의 계기 방한(제주)
- 2010.11월 칸 총리, G20 계기 방한
- 2010.11월 대통령, APEC 계기 방일(요코하마)
- 2011.05월 대통령, 한·일·중 정상회의 계기 방일(도쿄)
- 2011.10월 노다 총리, 공식실무방한
- 2011.12월 대통령, 일본 실무방문(교토)
- 2012.03월 노다 총리, 핵안보정상회의 계기 방한
- 2015.11월 아베 총리, 한일중 정상회의 계기 방한
- 2018.02월 아베 총리, 평창올림픽 참석 계기 방한(평창)
- 2018.05월 대통령, 한·일·중 정상회의 계기 방일(도쿄)
- 2019.06월 대통령, G20 계기 방일(오사카)
북한과의 관계
- 정책기조 : ‘대화와 압력’의 일관된 방침에 따라 납치, 핵.미사일 문제의 포괄적 해결 추진
- 최근현황
- 1991.1~2002.10월간 총 12회 수교회담
- 2002.09월 / 2004.5월 고이즈미 총리 방북
- 2006.02월 북경 일·북협의
- 2007.03월 / 9월 일·북관계 정상화 W/G 회의
- 2008.06월 / 8월 제1·2차 공식실무협의
- 2012.11월 일·북 정부간 회담 재개
- 2014.03월 / 5월 / 7월 일·북 정부간(국장급) 협의
- 2014.07월 북측의 납치자문제 재조사 개시에 따라 일측 독자적 대북 제재 일부 해제
- 2016.02월 북한 핵·미사일 발사 관련 독자적 대북제재 조치 발표
- 2016.12월 북한 핵·미사일 발사 관련 추가 독자제재 조치 발표
- 2017.07월 /8월/11월/12월 북한 핵 미사일 발사 관련 추가 독자제재 조치 발표
- 2018.09월 유엔총회 계기 일·북 외교장관회담 . 끝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