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역 검색
예멘공화국
Republic of Yemen(Yemen)
수도 : 사나(Sana'a)
면적 : 52만7968㎢(한반도의 2.4배)
지도로 보기
기본정보 일반사항 국명 : 예멘공화국 Republic of Yemen(Yemen) 수도 : 사나(Sana'a) 인구 : 2980만명 ('20) 면적 : 52만 7968㎢ (한반도의 2.4배) 언어 : 아랍어 종교 : 이슬람교(순니파 65%, 시아파 35%) 민족 : 아랍인(에티오피아계 및 유태계 소수혼재) 건국 : 1990.5.22 평화적 통일 후 1994.7.7 무력 재통일(북측 승리로 내전 종결) 정치현황 - '15.01 후티 반군의 대통령궁 점령 후 Abdrahbu Mansour Hadi 대통령 사임 및 Khaled Bahah 총리 등 내각 총 사퇴 - '15.02 시아파 후티 반군이 Saleh 전 대통령 세력과 제휴하여 실권 장악, '헌정 중단' 선언 - '15.04 유엔 안보리, 예멘관련 결의 2216 채택(Hadi 대통령 정통성 인정) - '15.04-16.04 3차례 유엔 중재 평화협상 개최 - '18.12 유엔 안보리, 안보리 결의 2451호 만장일치 채택 - '19.05 후티반군, 호데이다, 살리프, 라스 이사 항구에서 철군 - '20.04 남부 분리주의 세력의 남부 자치선언 경제현황 GDP : 199억$ ('20 IMF) 1인당GDP : 668$ ('20 IMF) 경제성장률 : -5.01% ('20, IMF) 화폐단위 : Yemeni Rial(YER) / 1US$=250YER 교역 : '20, EIU수출액 : 4억 6000만$ 수입액 : 35억 7000만$ * 에너지자원('18, BP) - 석유 매장량: 30억배럴(세계 28위, 점유율: 0.2%) - 천연가스 매장량: 0.3조㎥ (세계 39위, 점유율: 0.1%)우리나라와의 관계 외교관계1985.08.22. 북예멘 수교 1990.05.17. 남예멘 수교 공관현황 : * 우리측 : 상주공관 (87-98, 07.12 재개설, 15.4 철수) '20.07. 곽태열 대사 부임 * 상대국 : 상주공관 없음('90.02 개설, '01.06. 폐쇄) Samir Mohamed Khamis 駐日예멘대사 겸임 투자현황 : - 한-對예멘 투자현황 : 48건, 8.5억불('19.09. 누계, 한국수출입은행) - 예멘-對한 투자현황 : 70건, 992.3만불('19.09. 누계, 산업통상자원부) 교역 : '20, KOSIS수출액 : 1억 5600만$ 수입액 : 3900만$ 교민현황 : 3명('21.08.) ODA현황 : 무상원조 : '91년-09년간 약 456.3만불 지원 EDCF(대외경제협력기금) 차관 지원 사업 '09-'12년간 1억불 EDCF 차관 지원 사업 고등기술훈련원 교육장비 지원 사업(1,538만불) 인도적 지원 : '09-'15년까지 790만불 지원, '16년부터는 국제기구 등을 통해 매년 약 400만불 지원 '18년부터 우리나라 쌀 지원('18년 17천톤, '19년, '20년 19천톤) * 에너지자원 협력관계 - 협력관계 원유도입액: 1.2억불(20위, 점유율: 0.1%) ('12- , 실적없음)('11) - LNG도입액: 23.1억불(6위, 점유율: 6.3%)('14) - 현재 여행금지국 지정('11.6.28.~현재)주요인사 교류현황 방한2004.05. Baraba 석유.광물장관 2005.04. Saleh 대통령 2008.05. Abdulmalik 석유·광물차관보 2010.06. Abdulmalik 석유·광물차관보 2010.10. Ali Mujawar 총리 경유(아중동국장 출영) 2010.11. Abdulmalik 석유·광물차관보 2012.05. Talib 상공부장관 2013.07. Ali Muthanna 외교차관 2013.08. Ahmed Dares 석유광물장관 2014.09. Abdulwasa 국회교통통신위원장 2014.09. Essam Al-Samawi 대법원장 2015.10. Fadhl Almaghafi 외교연수원장 2016.02. Abdulmalik Al-Mekhlafi 외교장관 방문2004.03. 진대제 정통부장관(대통령특사) 2004.07. 황두연 통상교섭본부장 북한과의 관계 수교현황 : 1963.03. 북예멘 수교 1968.02. 남예멘 수고 공관현황 : 현재 양측 상주대사관 없음 : 주이집트 북한대사관, 주중국 예멘대사관에서 겸임 주예멘 북한대사관 : 70.3-98.1간 운영(이후 북한 경제대표부 운영하였으나, 09.6 철수) 주북한 남예멘대사관 : 78.11-90.5(통일시 폐쇄) 주요 정세 2011. '아랍의 봄' 시위 사태로 살레 대통령이 33년 만에 하야하고(GCC 중재안으로 면책권 부여), 신헌법제정, 선거 실시 등 목표로 과도기 이행 2014.09.21. 북부 시아파 후티(Houthi) 반군의 사나 점령 2015.01.20. 북부 시아파 후티(Houthi) 반군의 대통령궁 점령에 이은 대통령 사임, 내각 총사퇴로 헌법 공백 상태 초 이란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알려진 후티 세력은 권좌 복귀를 노리는 살레 전 대통령 세력과 제휴하여 실권 장악 2015.02.06. 후티 세력은 일방적으로 혁명위원회 및 대통령위원회(5인), 의회를 대체하는 과도기 국민회의(551명) 설치 등 과도기 체제 선포 2015.03.26. Hadi 대통령 사우디(리야드)로 피신 2019.10. Hadi 대통령 현재 리야드 체류중 2015.03.26. 사우디 주도 연합군, 예멘 내 시아파 수티 세력에 대한 공습을 수도 사나, 북부 사다, 동부 마립, 남부 타이즈 등에서 지속유엔 중재 평화회담 2018.12. 스톡홀름에서 합의가 이루어졌으나, 합의 사항 이행이 지연되고 있으며 내전 상황 지속 중 2019.08.10. 하디 정부는 임시수도 아덴에서 최소한의 정부기능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예멘 남부 분리주의 세력의 아덴 점검 2019.11.05. 사우디 중재를 통한 양측간 리야드 합의 체결 2020.04.26. 남부 분리주의 세력의 남부 자치 선언으로 갈등 재점화 등 남부 정세 혼란 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