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역 정보
기본정보
일반사항
- 수도 : 튀니스(Tunis)
- 인구 : 11.9백만명(‘20.10월, IMF)
- 면적 : 162,155㎢(한반도의 3/4)
- 민족 : 아랍인(98%), 베르베르인(1%)
- 종교 : 이슬람교(99%)
- 언어 : 아랍어(불어 통용)
- 독립 : 1956.3.20(프랑스에서 독립)
정치현황
- 정부형태 : 공화국
- 주요인사 성명
- 대 통 령 : Kais Saied('19.10월)
- 총 리 : Hichem Mechichi('20.9월)
- 외 교 장 관 : Othman Jerandi('20.9월)
- 국 회 의 장 : Rached Ghannouchi
- 의회: 총217석
경제현황('19)
- GDP : 388억불 (IMF)
- 1인당 GDP : 3,290불 (IMF)
- 경제성장률 : 1% (IMF)
-
교역규모(EIU)
- 수출 : 161억불(인신화학비료, 기계/전자제품, 섬유, 의류, 농산품 등)
- 수입 : 220억불(원자재, 기계장비, 각종 소비재 등)
- 화폐 : Dinar Tunisien/1US$=2.7445TND(튀니지 중앙은행)
- 주요자원('18, BP) : 석유(매장량 약 4억배럴), 인광석(65억톤), 천연가스(약 1천억㎥)
최근 주요정세
<2011년 시민혁명이후 국내 정세>
- 14.1월 신헌법 채택 후 10월 총선에서 Nidaa Tounes당 승리 및 12월 대선에서 Nidaa Tounes당 소속 Essebsi(에셉시)가 당선, 제4대 대통령이자 제2공화국 첫 대통령으로 14.12.31. 취임
- 15.10월 튀니지 국민대화 4자기구, 노벨평화상 수상
- 튀니지 제2공화국 초대내각으로 15.2월 출범한 Essid(에시드) 총리 정부는 민주화에 대한 높은 기대에도 불구, 연립정부 참여 주요 정당간 대립 결과 효율적 국정운영 실패, 출범 후 1년 6개월 만인 16.8월 퇴진
- 2015년 3차례 대규모 테러 이후 튀니지 정부는 국가비상사태 선포, 유지중
- 우리 정부 지정 여행경보단계상 알제리 및 리비아 접경지역은 철수권고지역(19.10월 현재)
- Essebsi(에셉시) 대통령 제안에 따라 제 정파, 사회단체가 참여하는 통합내각 구성 합의, 16.8월 Chahed(샤헤드) 총리 통합정부 공식 출범(혁명 후 7번째 내각)
- 18.1월 정부 긴축정책 및 경제난에 항의하는 폭력 소요가 발생했으나, 정부측 조기 강력 대응으로 진정
- 18.11월 Chahed(샤헤드) 총리, 19년말 총대선을 앞두고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위해 대폭 개각(10개 부처 장관급 13명 교체)
- 19.6월 튀니스 연쇄 자살폭탄 테러 발생
- 19.7월 Essebsi(에셉시) 대통령(92세) 서거로 엔나쐬르 국회의정이 대통령 권한대행 수임 및 11월 대선의 9월 조기 실시 결정
- 19.9.15. 대선 1차 투표에서 무소속의 카이스 사이에드 후보와 튀니지의 심장당 총재인 나빌 카루이 후보가 각각 1,2위를 기록, 결선 투표에 진출
- 19.10.6. 총선에서 엔나흐다당(온건이슬람 성향)이 52석, 튀니지의 심장당(세속주의 중도좌파)가 38석을 확보
- 19.10.13. 튀니지 대선 결선투표에서 사이에드 후보 당선
- 20.2월 Fakhfakh(페흐페흐) 총리 신정부가 출범하였으나 부패 의혹으로 사임(7월)
- 20.9월 Mechichi(메시시) 총리 신정부 출범
우리나라와의 관계
- 수교일자 : 1969.3.31
- 공관현황
- 우리측 : 상주(69.3)
- 2018.05 조구래 대사 부임
- 튀니지 : 상주(90.10)
- 2017.10 Nabih El Abed 대사 부임
- 우리측 : 상주(69.3)
- 수출입현황('19, 한국무역협회)
- 수출 : 181백만불(승용차, 건설중장비, 석유화학제품 등)
- 수입 : 56백만불(나프타, 의류, 원자재 등)
- 최근 주요인사 교류
- 방문
- 04.01 이만섭 전 국회의장
- 10.01 김형오 국회의장
- 10.01 이만의 환경부장관
- 10.03 하영제 농림수산식품부 제2차관
- 10.11 김재신 외교부 차관보
- 12.03 김성조 의원 등 국회기획재정위원회
- 12.12 김병국 국립외교원장
- 13.01 강호인 조달청장
- 13.03 박재선 외교장관특사
- 13.12 정우택,김현미,김영주,유일호 의원(의원친선협회)
- 14.03 안홍준 외통위원장
- 15.02 홍문종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장
- 16.11 신동익 외교안보연구소장
- 16.11 김영목 외교장관특사
- 18.12 이낙연 국무총리 공식 방문
- 19.05 이주영 국회부의장 방문
- 방한
- 02.06 Mebazaa 국회의장
- 04.11 M. Oualli 통신기술부장관(대통령특사)
- 05.03 M'dhaffer 행정장관
- 06.05 Oualli 통신기술부장관
- 07.05 Kanoun Jarraya 여성가족부 장관
- 08.10 Mohamed Jouini 국제협력개발부 장관
- 08.11 Kanoun Jarraya 여성가족부 장관
- 08.12 Bououni 고등교육과학연구기술부 장관
- 09.06 Abdallah 외교장관
- 12.04 Abdessalem 외교장관
- 12.06 Bettaieb 투자,국제협력부 차관
- 13.10 Marzoug 정보통신기술부 장관
- 15.04 Seddik 농업수자원수산장관
- 15.09, 15.11 Arfaoui 국토부장관
- 16.05 Kamel Ayadi 공직ㆍ반부패부ㆍ굿거버넌스 장관
- 18.04 JHINAOUI 외교장관
- 방문
- 교민 현황(‘18) :195명
- 건설수주실적('65-'19 누계, 해외건설협회) : 206백만불 / 5건
- 투자현황(누계, 신고기준)
- 한국→튀니지('68~'19월): 6,588천불(16건, 한국수출입은행)
- 튀니지→한국('62~'19월): 86천불(1건, 산업통상자원부)
주요 협정
- 69.07 사증면제협정
- 69.07 문화협정
- 70.05 무역 및 경제협정
- 75.11 투자증진협정
- 89.11 이중과세방지협정
- 94.12 과학기술협정
- 95.02 항공협정
- 97.10 차관공여협정
- 07.10 환경협력협정
북한과의 관계
- 78.08 주튀니지 대사관 개설
- 95.04 주튀니지 대사관 폐쇄 (경제사정 악화)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