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역 정보
기본정보
일반사항
- 국명 : 토고공화국(Togolese Republic)
- 수도 : 로메(Lomé)
- 인구 : 808만명(‘19, World Bank)
- 면적 : 56,785㎢(한반도의 1/4)
- 민족 : 에웨(Ewe)족, 미나(Mina)족 등
- 종교 : 토착신앙(51%), 기독교(29%), 이슬람교(20%)
- 언어 : 불어(공용), Ewe어, Kabré어
- 독립 : 1960.4.27(프랑스로부터 독립)
정치현황
- 정부형태 : 대통령 중심제(5년임기)
- 주요인사
- 대통령 : 포레 에소짐나 나싱베(Faure Essozimna Gnassingbe)
- 총리 : 코미 셀롬 클라수(Komi Selom Klassou)
- 외무장관 : 로버트 뒤세이(Robert Dussey)
- 주요정당 : UNIR, PNP, ADDI 등
경제현황
- GDP : 54억불(‘19, World Bank)
- 1인당 GDP : 617.8불(‘19, World Bank)
- 경제성장률 : 5.3%(‘19, World Bank)
- 교역 : 3,215백만불(‘19, World Bank)
- 수출 : 2,118백만불(인산염, 면화, 커피 등)
- 수입 : 1,097백만불(기계류, 식료품, 석유제품 등)
- 화폐단위
- CFA Franc ※ $1 = 587.05 CFA(‘19)
우리나라와의 관계
- 수교일자 : ‘63.7.26(‘74.9.17 단교, ‘91.1.23 재수교)
- 공관현황
- 아국 : 주가나(대) 겸임
- ※ 임정택 대사(2020.12.11. 부임)
- 상대국 : 주일본(대) 겸임
- ※ Afognon Kouakou SEDAMINOU 주일토고대사대리
- 아국 : 주가나(대) 겸임
- 수출입현황 : 13.36억불(‘19, KITA)
- 수출 : 12.9억불(석유제품, 합성수지 등)
- 수입 : 0.46억불(폐건전지, 동괴 등)
- 투자현황 : 1건, 60만불(‘19.6 누계, 수출입은행)
- ODA 현황 : (무상) 3.25백만불(1987-2018, OECD)
- 교민현황(‘19 기준) : 57명
- 주요인사 교류
- 방문
- ‘96.02 노영찬 외무장관 특사
- ‘02.09 김항경 외교차관
- ‘07.08 이은 해수부 차관
- ‘11.06 평창동계올림픽유치위(김연아 선수, 조양호 회장 등)
- ‘13.08 박재선 외교장관 특사
- ‘16.10 신종원 외교장관 특사
- 방한
- ‘02.06 Gnofame IOC 위원 겸 토고 NOC 위원장
- ‘07.08 Sambo 상공부 차관
- ‘08.03 d'Almeida 주토고 명예영사
- ‘11.11 Oteth Ayassor 경제재무부 장관
- ‘12.07 d'Alemeida 재토고명예영사
- ‘14.06 Broohm 고등교육연구부 장관
- ‘14.09 Kodjol 전 국무총리
- ‘14.10 Lawson 우편디지털경제부장관
- ‘15.05 Dzifa 고등교육연구부 차관
- 방문
북한과의 관계
- 수교일자 : 1973.1.13
- 공관현황
- 북한측 : ‘98.3월 상주공관 폐쇄 이후 주나이지리아(대) 겸임
- 토고측 : 주중국(대) 겸임하고 있으나 북한은 주토고 공관 폐쇄후 토고측 신임장 접수 거부한바 있음
- 주요인사 교류 : Eyadma 대통령 2회 방북(‘74, ‘81)
최근정세
최근정세- '67년 Gnassingbe Eyadema 군사령관이 쿠테타로 집권
- '02.12 개헌을 통해 3선 제한 금지 조항 삭제
- '05.02 38년간 장기 집권한 Eyadema 대통령이 지병으로 사망하자, 토고 군은 동인의 아들이자 통신부장관인 Faure Gnassingbe 대통령을 임시 대통령으로 추대
- '05.04 정식 선거를 통해 여당 후보인 Faure Gnassingbe 대통령 당선
- 개표 과정에서 폭력사태로 500여명 사망 및 4만 여명 인근국으로 피난
- '07.10 총선에서 집권당(RPT)이 안정적으로 다수 의석(50석) 획득
- 민주적인 선거실시를 계기로 EU, WB, IMF 등에서 14년간 중단되었던 경제원조 재개 결정
- '10.03 Faure Gnassingbe 대통령 재선
- 제1야당(UFC)은 부정선거를 이유로 선거 결과를 부인하였으나, 헌법재판소가 Gnassingbe 대통령 대선 승리 재확인 판결, 05.03 대통령 취임
- '13.07 평화적 총선 실시, 여당이 의석의 2/3 이상 차지, Gnassingbe 대통령의 정치력 강화
- '15년 Gnassingbe 대통령의 3선 시도를 앞두고 야권· 시민단체 중심으로 반대 움직임이 있었으나, 세력 미약
- '15.04.25 대선에서 Gnassingbe 대통령 당선(유효투표 58.75% 획득), 05.04. 취임, 06.27. 신정부 구성
- '17.06 ECOWAS 의장국 수임(1년 임기)
- '17.08 이래 야당 주도로, 수도 로메 등 주요도시에서 헌법개정(대통령 임기를 2선으로 제한) 및 Gnassingbe 현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반정부 시위 발생
- '18.12 총선결과 여당 다수석 차지
- '19.05.08 현 대통력 2020/2025년 대선출마 및 연임을 가능케하는 헌법개정안 통과
- '19.06.30 32년만의 지방선거 실시 및 여당 압승
- '20.02 대선 결과 현 Faure Gnassingbe 대통령 당선(4선)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