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역 검색
시에라리온공화국
Republic of Sierra Leone
- 수도 : 프리타운(Freetown)
- 면적 : 7만3252㎢(한반도의 1/3, 세계 120위)
지도로 보기
기본정보
일반사항
- 국명 : 시에라리온공화국(Republic of SierraLeone)
- 수도 : 프리타운(Freetown)
- 인구 : 846만명 (’23, WB)
- 면적 : 7만 3252㎢ (한반도의 1/3, 세계 120위)
- 언어 : 영어(공용어), 토착어
- 종교 : 이슬람교(77%), 기독교(21%), 토착신앙(2%)
- 민족 : Temne(35%), Mende(31%), Limba(6.4%)족 등
- 건국 : 1961.4.27.(영국에서 독립)
- 정치현황
- 정부형태 : 대통령 중심제
- 주요인사
- 대통령 : Julius Maada Bio(줄리어스 마아다 비오)
- 부통령 : Mohamed Juldeh Jalloh(모하메드 줄데 잘로)
- 외교장관 : Timothy Musa Kabba(티모시 무사 카바)
- 경제현황
- GDP : 83억 9000만$ (‘24, IMF)
- 1인당GDP : 916$ (‘24, IMF)
- 경제성장률 : 4.7% (‘24, IMF)
- 화폐단위 : Leone(US$1 = 22.48 SLE / 25.6.16 시에라리온 중앙은행 고시환율 기준)
- 교역 : 25억 3,300만불(‘24, IMF)
- 수출액 : 5억 1400만$
- 수입액 : 20억 1900만$
- 우리나라와의 관계
- 외교관계
- 공관현황 :
아국 : 주나이지리아대사관 겸임
(주시에라리온대사관 74.11월 개설, 92.3월 폐쇄)
상대국 : 상주공관(14.2월 개설), Paul Sobba Massaquoi 대사 - 투자현황 : 3건, 64만불(80-23년 누계, 수출입은행)
- 교역 : 3,121만불('24, KITA)
- 수출액 : 1844만$
- 수입액 : 1277만$
- 수출품목 : 발전기, 합성수지, 화물차 등
- 수입품목 : 어류, 금속광물 등
- 진출기업 : 이수건설(도로건설사업, 에볼라로 철수)
- 교민현황 : 49명(25.1월)
- ODA현황 :
7,265만불(87-23년 누계, OECD DAC),
-EDCF: 프리타운시 청사 건설(2020.11완공) - 주요협정 체결현황
- 1969.07. 의료협정
- 1979.02. 문화협정
- 1981.06. 경제기술협정
- 1991.12. 방송협력 협정(KBS-SLBS간)
- 2022.12. 발협력MOU(코이카-기획경제개발부)
- 주요인사 교류현황
- 방한
- 1982.11. Conteh 외무장관
- 1987.05. Koroma 외무장관
- 1988.02. Wyse 외무차관
- 2011.11. Kargbo 재무경제기획부차관
- 2011.12. Koroma 광물자원부장관
- 2013.12. Marah 재무장관
- 2015.09. Sawi 보건부차관(글로벌보건안보구상)
- 2015.12. Victor Foh 부통령(경제협력 협의)
- 2022.12. Kallon 교통항공부장관(주한공관행사, 투자포럼 참석)
- 2024.06. Bio 대통령 내외(한-아프리카 정상회의)
- 2025.04. Dugba 수산장관(해수부 주최 OOC 참석)
- 방문
- 1985.08. 정재철 대통령 특사
- 1986.01. 이세기 대통령 특사
- 1989.06. 노영찬 대통령 특사
- 2011.12. 김은석 에너지자원대사
- 2022.09. 장성민 대통령실 미래전략기획관
- 2022.11. 손혁상 KOICA 이사장
- 2023.10. 정황근 대통령 특사
- 기타 : 다자
- 2023.09. 한-시에라리온 정상회담(유엔총회 계기)
- 북한과의 관계
- 수교현황 : 1971.10.18. 수교
- 공관현황 :
북한측 : 주기니(대) 겸임
시에라리온측 : 주중국(대)겸임
- 주요 정세
- 1999.10. 로메 평화협정에 따라 거국 내각 구성(RUF 반군 요인에 각료 4명, 차관 3명 할애)
- 2002.05. 실시된 대선에서 Kabbah 대통령이 압도적 지지로 당선 2005년말 UNAMSIL이 철군하고 대신 유엔 시에라레온 통합사무소(UNIOSIL)가 2006.1월 부터 임무 개시
- 2007.08. 대선에 이어 9월 실시된 대선 결선 투표 결과, 제1야당인 APC(All Peoples' Congress) 소속 Ernest Bai Koroma 후보가 당선(9.17 취임)
- 2008.10. 유엔 시에라리온 평화구축통합 사무소 (UNIPSIL) 임무 개시(UNIOSIL 임무 종료)
- 2009.04. 세 명의 RUF 전직 고위 지도자들 시에라리온 내전중 저지른 잔학 행위로 장기형을 선고받음
- 2010.03. 유엔 평화구축위원회에 따르면 시에라리온 정세 전반적으로 안정화 평가 그러나 청년실업, 마약유통, 정부관리 부정부패 문제 등 과제 산적
- 2012.11. Koroma 현 대통령 재선
- 2013.03. NIPSIL 임무 1년 연장
- 2014.03. UNIPSIL 임무 종료
- 2014.05. 에볼라 사태 발발
- 2014.12. 우리나라, 에볼라 대응 해외긴급구호대 파견(Goderich) (-2015.04)
- 2016.03. 에볼라 종식 선언(3,956명 사망, 14,124명 감염)
- 2017.08. 대규모 산사태 발생 (400명 이상 사망)
- 2018.03. 대선, 총선 실시
- 2018.04. 비오 대통령 취임 반부패 운동 및 새로운 방향(The New Direction) 정책 기조 하 민생 안정화 노력 중
- 2021.11. 수도 프리타운에서 인재로 인한 유조차 폭발사고 발생 (100명 이상 사망)
- 2022.08. 반정부시위 발발(경찰 8명 사망, 시위대 최소 21명 사망 추정)로 통행 금지령 선포
- 2023.06. 비오 대통령 재당선
- 특이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