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역 정보
기본정보
일반사항
- 국명 : 부르키나파소(Burkina Faso)
- 수도 : 와가두구(Ouagadougou)
- 인구 : 2,032만명('19, World Bank)
- 면적 : 274,200㎢(한반도의 1.2배)
- 종족 : 모시(52%), 풀라니(8.4%) 등
- 종교 : 이슬람(61.5%), 카톨릭(23.3%), 애니미즘(7.8%), 개신교(6.5%)
- 언어 : 프랑스어(공용어), 토착어 등
- 독립 : 1960.8.5.(프랑스에서 독립)
정치현황
- 정부형태 : 대통령 중심제
- 주요인사
- 대통령 : Roch Marc Christian KABORE(로슈 마르크 크리스티앙 카보레)
- 부통령 : Christophe DABIRE(크리스토프 다비레)
- 외교장관 : Mamadou Alpha BARRY(마마두 알파 바리)
경제현황
- GDP : 157억불('19, World Bank)
- 1인당 GDP : 775불('19, World Bank)
- 경제성장률(GDP) : 5.7%('19, World Bank)
- 교역('19, IMF)
- 수출 : 32.4억불(금, 면화, 가축)
- 수입 : 35.7억불(자본재, 식료품, 석유)
- 주요자원 : 망간, 석회암, 대리석, 금, 인산염, 부석, 소금
- 화폐단위 : CFA Franc(1€=655.96CFA, 고정환율)
우리나라와의 관계
- 수교일자 : 1962.4.20
- 공관현황
- 아국 : 주코트디부아르 겸임
- ('85.01 상주공관 개서설, '89.05 폐쇄)
- 부르키나파소측 : 주일본대사관 겸임
- 교역('19, IMF)
- 수출 : 3,111만불(화학제품, 차량부품 등)
- 수입 : 446만불(참깨, 의류 등)
- ODA현황 : 709만불('87-'18), 아프리카 31위
- 주요협정 체결
- '70.03 의료기술협정
- '82.09 무역협정
- '09.04 투자보장 협정
- 주요인사교류
- 방문
- '12.02 이상진 교육부 2차관
- 방한
- '97.09 Compaore 대통령
- '08.09 Miillogi 헌법재판소장 장관
- '10.01 Bonkoungou 기초교육부장관
- '10.09 Bembamba 재정경제부 장관
- '11.11 Zoundi 재정경제부장관
- '12.10 Bembanba 재정경제부장관
- '13.09 Kafando 통상산업부 장관
- '13.09 Kabore 광물에너지장관
- '14.10 Koulidiati 정보통신부장관
- '16.10 Coulibaly Sori 재경경제부장관
- '19.10 Batio Bassiere 환경부장관, Bachir Ouedraogo 에너지부장관
- 여행경보
- 특별여행주의보 : 와가두구, 보보디울라소
- 3단계 철수권고 : 특별여행주의보 제외 전 지역
- 교민현황('20.07) : 42명
북한과의관계
- 수교일자 : 1972.10.11
- 공관현황
- 북측 : 주기니대사관 겸임('74.07.18 개설, '95 폐쇄)
부르키나파소측 : 주중국대사관 겸임
최근정세
- 콩파오레(B. Compaoré) 대통령은 1987년 쿠테타 집권 이래, 2010년 대선 당선 등 장기집권
- 콩파오레 대통령이 2015년 대선 출마를 위해 헌법 37조(대통령 재임 제한) 개정을 추진한 데 대해, 야당 및 시민단체 반발
- '14.10.28 대통령 연임을 목표로 추진된 헌법개정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자, 수도 와가두구에서 이에 항의하는 시위대 수만명이 의회 및 국영방송국 등을 장악, 대통령 사임 촉구
- 10.31 콩파오레 대통령 사임(집권 27년)
- '14.10.31 트라오레(H. Traore) 참모총장의 국가원수직 수행 발표에 대해 야당에서 반대. 대통령 경호부대 지다(I.Zida) 중령, 정권 이양 기간 중 대통령직 수행 의사 발표
- 이에 대해 AU 등 국제사회는 민간정부에 조속한 정권이양 촉구
- 군·정치·종교·부족 등 각계 대표로 구성된 위원회는 △임시정부 및 국회 설치 △동 인사들의 2015년 대선 금지 등을 내용으로 하는 정권이양 헌장 확정
- '14.11.16 카판도(M. Kafando) 전 외교장관이 상기 각계대표로 구성된 위원회에 의해 임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며, 지다 총리 및 임시 행정부 출범
- 현 임시정부는 콩파오레 정권 비리 척결, 부패 문제 해결 등 국내개혁 등에 주력
- '15.09.16 대통령경호부대(RSP) 쿠테타 발생(대통령궁 점령 및 대통령, 총리, 일부 장관 감금)
- 09.23 카판도(Kafando) 정권복귀
- '15.11.29 대선·총선 실시. 카보레(M. Kaboré) 후보, 득표율 53.46%로 대통령으로 당선(당초 '15.10.11 총대선 실시 계획이었으나 9월 쿠테타로 지연)
- '15.08.28 헌법위원회는 콩파오레 정권 시절 헌법 개정 지지 인사에 대한 피선거권 박탈
- '15.12.29 카보레 대통령 취임식
- '16.01.13 티예바 총리 등 각료 인선
- '16.01.15 수도 와가두구 테러발생(사망 30명, 부상 50명)
- '17.08.13 수도 와가두구 테러발생(사망 16명, 부상 20명)
- '18.03.02 수도 와가두구 테러발생(합참본부, 프랑스 대사관 피격)
- '18.05 대만과의 단교 및 중국과의 수교
- '19.01 다비레 신임총리 임명 등 일부 개각
- '19.02.05 제5차 사헬 5개국(G5 Sahel) 정상회의 개최
- '19.05.10 우리국민 피랍자 1명 현자 프랑스군에 의해 구출
- '20.11.22 대선 실시(Kaboré 대통령 재선, 약 58% 득표)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