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역 검색
부룬디공화국
Republic of Burundi
수도 : 기테가(Gitega)
면적 : 2만7834㎢(한국의 약 1/4)
지도로 보기
기본정보 일반사항 국명 : 부룬디공화국 (Republic of Burundi) 수도 : 기테가(Gitega) 인구 : 1225만명 ('21, World Bank) 면적 : 2만 7834㎢ (한국의 약 1/4) 언어 : 불어 및 Kirundi어 종교 : 카톨릭(62%), 기독교(22%), 이슬람(2.5%), 재림교(2%), 기타(11.5%) 민족 : 후투(85%), 투치(14%), 트와(1%) 기후 : 열대성 기후 건국 : 1962.07.01(벨기에로부터 독립) 정치현황 정부형태 : 대통령중심제(7년 중임) 주요인사대통령 : 에바리스트 은다이시미예(Evariste Ndayishimiye) 제1부통령 : 프호스퍼 바좀반자(Prosper Bazombanza) 총리 : 제흐베 은디라코부챠(Gervais Ndirakobuca) 외교장관 : 알베르 신기로(Albert Shingiro) 의회구성 : 양원제 주요정당 : 민주주의수호세력(CNDD-FDD) : 후투여당 부룬디민주전선(FRODEBU) : 후투야당 국가진보연합(UPRONA) : 투치야당 외교노선 : 비동맹중립정책경제현황 GDP : 29억$ ('21 World Bank) 1인당GDP : 237$ ('21 World Bank) 경제성장률 : 1.8% ('21, World Bank) 화폐단위 : Burundi Franc, $1=2,067 BIF('22.9월 기준) 교역 : 13.2억불('21, IMF)수출액 : 2억 4000만$ 수입액 : 10억 8000만$ 우리나라와의 관계 외교관계 공관현황 : 우리측 : 주르완다대사 겸임(채진원 대사) 부룬디측 : 주중국대사 겸임(Martin Mbazumutima) 투자현황 : 1건, 76만불('18-'20 누계, 수출입은행) 교역 : 244만불(21, KITA)수출액 : 233만$ 수입액 : 11만$ 수출품목 : 면역물품, 시약 등 교민현황 : 20명('21) ODA현황 : 333만불('91-'21) 주요인사 교류현황 방한1985.10. Pierre Ngerngi 재무장관(IMF, IBRD 서울 총회 참석) 1992.02. Cyprien Mbonimpa 외교장관 (수교후 방한) 2004.11. Nkurunziza 선정장관(현 대통령)(세계종교행사(통일교)에 개인자격으로 참석) 2005.05. Kobako Gaspard 공직부 장관(정부혁신 세계포럼 참석) 2006.06. Karenga 공보장관 겸 정부대변인(세계종교행사(통일교)에 개인자격으로 참석) 2006.11. Karenga 공보장관 겸 정부대변인(제1차 한-아프리카 포럼 참석) 2008.02. Nyenimigabo 부룬디 체육,청소년, 문화장관(세계종교행사(통일교)에 개인자격으로 참석) 2008.04. NICAYENZI 하원의원(세계종교 행사(통일교)에 개인자격으로 참석) 2010.04. Twagiramungu 대통령 특사 2011.11. Rufyikiri 제2부통령 방한(부산세계개발원조총회) 2013.08. Ndayizeye 전대통령(세계종교행사(통일교)에 개인자격 참석) 2014.02. Ndayizeye 전대통령(세계종교행사(통일교)에 개인자격 참석) 2017.10. Reverien Ndikuriyo 부룬디 상원의장 (지구촌 새마을지도자 대회) 2018.05. Vincent Nibayubahe 마캄바주지사 (새마을운동 초청연수) 2021.07. NDAYUBAHA Angeline 영부인(국내 수학 중인 영식 방문) 2022.08. Nshimirimana 국회부의장(종교행사 개인 자격 참석, 김영주 국회부의장 면담) 방문1963.03. 이수영 특사 방문 1982.01. 주자이르 이종업 대사 2013.06. 주르완다 황순택 대사(신임장 제정) 2016.02. 반기문 UN사무총장 2016.04. 주르완다 박용민 前대사(신임장제정) 2018.02. 주르완다 김응중 대사(신임장 제정) 2021.06. 주르완다 채진원 대사(신임장 제정) 2022.10. 여한구 외교부장관 특사 북한과의 관계 수교현황 : 1967.3.11 수교 공관현황 : 주우간다 대사관에서 겸임(94년 상주공관 철수) 주요 정세 2015.04. Nkurunziza 대통령의 3선 출마 결정 2015.05. Niyombare 육군소장 주도 쿠데타 실패 2015.07. 2015.7월 Nkurunziza 대통령이 3선 출마를 강행하여 약 70% 득표로 3선 당선 - 정치/인권 탄압으로 인한 서방 세재 부과, 국제사회 고립 초래 2018.05. 개헌안(대통령 임기 7년 중임) 통과 2020.05. 대선에 Ndayishimiye 여당 후보 출마 2020.06. Nkurunziza 대통령 사망, Ndayishimiye 대통령 조기 취임 2022.09. 신임 총리 및 장관 5명 임명, 신정부 출범 후 국가발전을 위한 개혁 정책 추진(부패 척결 등) - 동 목표 달성 측면에서 서방 주요국 등 국제사회와의 관계 개선 적극 모색 - 2021.12월까지 미국, 불어권국제기구, AU 등 제재 해제 성과 거양 - 주요국들은 부룬디 신정부 거버넌스를 양호하게 평가, 지원 확대 추세 특이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