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역 검색
보츠와나공화국
Republic of Botswana
- 수도 : 가보로네 (Gaborone)
- 면적 : 58만1730㎢(한반도의 2.7배)
지도로 보기
기본정보
일반사항
- 국명 : 보츠와나공화국 Republic of Botswana
- 수도 : 가보로네 (Gaborone)
- 인구 : 240만명 ('22, 세계은행)
- 면적 : 58만 1730㎢ (한반도의 2.7배)
- 언어 : 영어(공용어), 세츠와나어(통용어)
- 종교 : 기독교(71%), 토착신앙(6%)
- 민족 : Tswana족(79%), Kalanga족(11%) 등
- 건국 : 1966.9.30(영국으로부터 독립)
- 정치현황
- 정부형태 : 대통령 중심제
- 주요인사
- 대통령 : Mokgweetsi Masisi(마시시)(2018.4월~)
- 부통령 : Slumber Tsogwane(초그와네)
- 외무장관 : Lemogang Daniel Gaokgakala Kwape (크와페)
- 의회구성 : 단원제로 63명
- 선출직 : 57명
- 대통령 지명 : 4명
- 당연직 : 2명(대통령, 검찰총장)
- 주요정당 :
보츠와나민주당(BDP): 집권여당
보츠와나의호당(BCP), 민주변화연합(UDC, 12.11월 소수정당들에 의해 창설된 연립 정당) 등 다수당 당수가 대통령직 승계
- 경제현황
- GDP : 203억 5000만$ ('22 세계은행)
- 1인당GDP : 7437$ ('22 세계은행)
- 경제성장률 : 5.8% ('22, 세계은행)
- 화폐단위 : Pula(1$=12.37P, '22 기준)
- 교역 : 154억불('21, 세계은행)
- 수출액 : 70억 9000만$
- 수입액 : 83억 1000만$
- 주요자원 : 다이아몬드 최대 생산국 중 하나, 광물 기반 수출을 통해 중소득국으로 부상
- 우리나라와의 관계
- 외교관계
- 공관현황 :
우리측 : 주남아공 대사 겸임
보츠와나측 : 주일대사 겸임 - 투자현황 : 6.6만불('22 누계, 수출입은행)
- 교역 : 413.2억불('22, KITA)
- 수출액 : 380만 4000$
- 수입액 : 32만 8000$
- 건설수주 : 858만불('21 기준, 한국플란트산업협회)
- 교민현황 : 109명('21)
- ODA현황 : 412만불('21 누계)
- 주요협정 체결현황
- 1986.05. 무역협정 체결
- 2015. 외교부간 정책협의회
- 주요인사 교류현황
- 방한
- 1994.12. Masire 대통령
- 1997. Mogae 부통령 ('98 대통령 취임)
- 2011.06. Mabua 교통통신부 사무차관
- 2012.01. Oupa Tsheko BTA 위원장
- 2012.05. Masire 군사령관
- 2012.07. Molefhi 교통통신부 장관
- 2012.10. Matambo 재정개발계획부 장관 (KOAFEC 참석)
- 2013.10. Mashinyana 공군사령관
- 2013.10. Seretse 국방장관
- 2014.06. Venson-Moitoi 교육기술개발부장관
- 2015.05. Moiseraele Goya 교육기술개발부차관(세계교육포럼)
- 2015.10. Khama 대통령
- 2017.01. Shaw Kgathi 국방장관(방산 관련 실무방문)
- 2018.04. Jacob Mbmene 재정경제개발부 장관 방한
- 2022.06. Macdonald Rakgare 청년성별체육문화부 장관 방한(세계청소년부장관포럼 참석)
- 방문
- 2011.05. 김대식 국민권익위 부위원장
- 2012.09. 조창범 외교장관특사(안보리 지지교섭)
- 2013.11. 강병주 국방부 전력정책관
- 2016.09. 김선동 대통령특사(보츠와나 독립 50주년)
- 2023.05. 박형준 대통령 특사(부산시장) 방문
- 북한과의 관계
- 수교현황 :
1974.12. 수립
2014.2.19. 외교관계 단절 보츠와나는 유엔의 북한 인권조사위원회 보고서('14.2.17)에 근거하여,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협하고 인권을 유린하는 북한 정부와 외교 및 영사관계 단절 선언
- 주요 정세
- 2018.03.31. 카마 대통령 사임(헌법상 대통령 임기 10년 제한 규정 준수)
- 2018.04.01. 마시시 부통령, 대통령직 승계
- 2019.10.26. 마시시 대통령 재선(2019.11.1. 취임식 )
- 특이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