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역 정보
기본정보
일반사항
-
수도 : 마나마(Manama)
인구 : 152만명('19.10월, IMF)
※ 바레인국적자 68만명, 이민자 82만명
면적 : 765.3㎢(본섬+36개 도서로 구성, 서울의 약 1.2배)
언어 : 아랍어(영어도 통용)
종교 : 이슬람교 70%(수니파 40%, 시아파 60%), 기타 기독교 및 힌두교 등 17%
독립 : 1971.8.15.
정치현황
-
정부형태 : 왕정체제
의회
- 상원 (임명제, 의원 40인, 임기 4년)
- 하원 (선출제, 의원 40인, 임기 4년)
주요인사
- 국왕:His Majesty Hamad bin Isa Al Khalifa
- 총리 겸 왕세자: His Royal Highness Salman bin Hamad bin Isa Al Khalifa
- 외교장관: Dr. AbdulLatif bin Rashid Al Zayani
경제현황('19)
명목GDP : 382억불 (IMF)
1인당 명목GDP : 25,273불(IMF)
경제성장률 : 2% (IMF)
교역규모(EIU)
- 수출 : 172억불(알루미늄, 석유화학 제품)
- 수입 : 174억불(원유, 기계류, 화학제품)
화 폐 : 바레인 디나르(BHD)/1US$=0.38BHD(EIU)
주요자원('18, BP)
- 원유(매장량 1.24억 배럴), 천연가스, 어류, 진주
최근 주요정세
- 바레인은 이슬람교 시아파가 전인구의 60%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 소수 수니파의 왕가가 장기 통치하고 국가의 핵심요직 장악
- '99.3 Hamad 국왕의 즉위 후 걸프만 지역의 안정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전통을 중시하면서도 경제 개방화 정책을 과감하게 추진
- '04.9 미국과 FTA를 체결하는 등 서방 국가와 긴밀한 우호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중국 및 일본과도 교류강화
- '11.2 시아파 야권 정치단체 주도로 정치개혁을 요구하는 반정부시위 확산으로 국가 비상사태 선포
- GCC 반도 방위군의 지원 아래 반정부시위 움직임이 완화되자 ‘11.7 제1차 범국민합의대화 개시
- '12.5 바레인정부, 의회의 권한 확대 및 하원의 위상 강화 내용을 포함한 헌법을 일부 개정
- '14.9 살만 왕세자는 부왕에 대한 공개서한 형식 통해 2012년 중단된 범국민대화 재개를 위한 5개 원칙 발표(9.18), 하마드 국왕은 하원선거 실시(11.22) 및 지역구 재편(5개→4개) 골자의 국왕칙령 발표(9.22)
- '14.11 하원선거 및 지방의회선거 실시, 신내각 구성
※ 수니파 친정부 인사 및 무소속 인사 다수 당선
- '15년 바레인 정부는 지속되는 국제유가하락으로 인한 재정 적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각, △정부조직 개편), △각종 보조금 폐지
- '16.1 바레인, 주이란사우디대사관에 대한 공격 사건 이후 사우디와 함께 이란과의 외교관계 단절 선언, ‘17년 사우디, UAE, 이집트와 공동으로 카타르 정부의 테러지원 및 내정간섭을 이유로 카타르와 단교하고 국경 봉쇄
- '18.12 안정적인 분위기속에서 총선이 실시되어 5대 의회가 출범하였고 ’경제비전 2030‘의 원활한 이행을 목표로 안정적인 국정운영 도모
- '20.9월 미국 중재로 이스라엘과 평화협정 체결 및 관계정상화
- '21.1월 사우디아라비아 알-울라에서 바레인을 포함한 아랍 4개국 카타르와 관계정상화
우리나라와의 관계
-
수교일 : 1976.4.17
공관현황 우리측 : 2011년 주바레인대사관 재개설
바레인측 : 주중국대사관에서 겸임
한-바레인 양자교역 현황
양자 수출입현황('19, 한국무역협회)
- 수출 : 288백만불(자동차 외)
- 수입 : 514백만불(나프타, 알루미늄 외)
건설수주실적('65~'19 누계, 해외건설협회) : 56건(56.21억불)
투자 및 기업진출현황(누계, 신고기준)
- 투자 : 한국→바레인('68~'19.9월) : 2.7억불(50건, 한국수출입은행)
바레인→한국('62~'19.9월) : 19백만불(11건, 산업통상자원부)
- 기업 : 삼성 ENG 등 10개 업체 진출
최근 주요인사 교류
방문
· '85.11 이원경 외무부장관
· '95.9 박재윤 통신산업부장관
· '04.2 강동석 건교부장관
· '05.3 진대제 정보통신부장관
· '12.9 김규현 외교차관보
· '13.8 정홍원 국무총리
· '15.3 국회국방위원회 소속 의원(한기호, 김광진)
· '16.11 김형진 외교차관보
· '17.6 양승조 국회 보건복지위원장
· '18.3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 '18.6 김종진 문화재청장
· '18.11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
· '19.1 국회 대표단(이정현,우원식,유재중,김병욱 의원)
· '19.12 양승조 충남도지사
· '20.12 강경화 외교장관
· '21.2 박병석 국회의장단
방한
· '06.8 Majeed Al-Alawi 노동부장관
· '07.6 Khalid 외교장관(ACD 회의 참석 계기)
· '10.5 Ahmed 내각 및 통신담당 장관
· '12.5 Salman 바레인 왕세자
· '13.5 Rashed 내무부 장관
· '13.11 Abdulrahman 인권장관
· '14.6 Abdulla 외교차관
· '15.5 Majed 교육부장관
· '15.11 Al Khalifa 관세청장
· '16.1 Abdulla 외교차관
· '16.10 Mohamed 보건최고위 의장
· '17. Mohammed 보건최고위 의장(3ㆍ9월)
· '17.9 Al Mulla 하원의장
· '17.12 Mohammed 석유부 장관
· '18 Faeqa 보건장관(2ㆍ4월)
· ‘18 Mohammed 보건최고위 의장(2ㆍ4ㆍ12월)
· '18.5 Mai 문화장관
교민현황('18): 230명
주요 협정
-
· '84.05 통상증진 및 경제기술협력협정
· '87.03 한-바레인 문화협정
· '12.05 한-바레인 상공회의소 협력약정
· '13.04 한-바레인 이중과세방지협정
· '15.09 한-바레인 협력 공동위 설립 MOU
· '17.09 한-바레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간 MOU
· '18.03 한-바레인 보건부간 MOU
북한과의 관계
- 2001.5.23 외교관계 수립
- 주쿠웨이트 북한대사가 바레인 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