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역 검색
라이베리아공화국
Republic of Liberia
- 수도 : 몬로비아(Monrovia, 126만명)
- 면적 : 11만3370㎢(한반도 절반)
지도로 보기
기본정보
일반사항
- 국명 : 라이베리아공화국(Republic of Liberia)
- 수도 : 몬로비아(Monrovia, 126만명)
- 인구 : 518만명 ('21 World Bank)
- 면적 : 11만 3370㎢ (한반도 절반)
- 언어 : 영어(공용어), 토착어
- 종교 : 토착신앙(60%), 기독교(10%), 이슬람(15%)
- 민족 : 토착민(95%), 미국·카리브 노예 귀환자 후손(5%)
- 건국 : 1847.7.26(1820년대부터 흑인 노예 이주 시작)
- 정치현황
- 정부형태 : 대통령 중심제
- 주요인사
- 대통령 : George Weah(조지 웨아)
- 부통령 : Jewel Howard-Taylor(쥬얼 하워드-테일러)
- 외교장관 : Dee-Maxwell Saah Kemayah(디-맥스웰 사아 케미야)
- 의회구성
- 경제현황
- GDP : 34억 9000만$ ('21, World Bank)
- 1인당GDP : 673.1$ ('21, World Bank)
- 경제성장률 : 4% ('21, World Bank)
- 화폐단위 : Liberia Dollar(LRD/US$1 = 154 LRD('22.9 기준)
- 교역 : 23억 6,900만불('21, IMF)
- 수출액 : 4억 5400만$
- 수입액 : 19억 1500만$
기업진출('15.12) : 매일건설이 라이베리아 정부와 도로 건설 사업 관련 MOU 체결
- 우리나라와의 관계
- 외교관계
- 공관현황 :
아국 : 주나이지리아 대사관 겸임
※ 1973.07 주라이베리아 한국대사관 설치
※ 1992.03 주라이베리아 한국대사관 폐쇄
상대국 : 주일본 대사관 겸임
※ 1983 주한 라이베리아 대사관 설치
※ 1991.09 주한 라이베리아 대사관 폐쇄 - 투자현황 : 25건, 2.1억불('21 누계, 수출입은행)
- 교역 : 41억 8,600만불('22, KITA)
- 수출액 : 41억 7200만$
- 수입액 : 1400만$
- 수출품목 : 선박, 자동차 등
- 수입품목 : 유연탄, 선박, 알루미늄 등
- 교민현황 : 45명('22.9)
- ODA현황 : 1,478만불('87-'20)
- 주요협정 체결현황
- 1981.05. 한·라이베리아 무역협정(서명)
- 1981.05. 한·라이베리아 문화협정(서명)
- 1982.09. 한·라이베리아 비자면제협정(서명)
- 2019.07.18. ※ 사증면제 협정 일시 정지
- 1982.09. 한·라이베리아 경제기술협정(서명)
- 주요인사 교류현황
- 방한
- 1982.05. Doe 국가원수
- 1983.11. Eastman 외무장관
- 1988.02. Hill 하원의장 및 Johnson 외무장관
- 1989.12. Johnson 외무장관
- 2011.11. Konneh 기획경제부 장관
- 2013.05. Boakaj 부통령
- 방문
- 1986.08. 이원경 외무장관
- 1987.08. 최창락 대통령 특사
- 1988.08. 의원친선협회 사절단(오한구 등)
- 2013.01. 김성한 외교통상부장관(Post 2015 유엔고위급패널 회의)
- 2022.09. 장성민 대통령실 미래전략기획관(BIE유치 교섭)
- 기타 : 기업진출('15.12) 매일 건설이 라이베리아 정부와 도로건설 사업 관련 MOU체결
- 북한과의 관계
- 수교현황 :
1975.7.3 수교
* 1983년 미얀마 테러로 일시 단절하였으나, 이후 재개
- 주요 정세
- 1989.12. 미국계 흑인출신 Taylor가 집권하면서 크란족(토착원주민)의 강압 통치에 항거, 무장 봉기, 내전 발발
- 1997.07. 대선에서 Charles Taylor 당선 테일러 정권의 반대세력에 대한 탄압으로 99년 반군이 재봉기 반군의 진격으로 '03.08 테일러 대통령이 나이지리아로 망명하고 블라 부통령이 대통령직 승계
- 2003.09. UN PKO(UNMIL) 1만5천명 및 아프리카 경제협력체(ECOWAS) 평화유지군 1천명 라이베리아 파견
- 2003.10. 과도정부 수반으로 브라이언트 선출
- 2004.04. 유엔 주도로 19,000명 반군 무장해제 및 무기수거
- 2005.10. 대통령선거 실시, 하버드대 출신의 경제학자 Ellen Johnson-Sirleaf가 아프리카 최초의 여성 대통령으로 당선, '06.01 신정부 출범
- 2010.05. UNMIL의 병력규모가 12,000명에서 8,000명으로 감축
- 2010.11. 설리프 대통령은 장관 전원을 해임하는 내각해산을 단행
- 2011. 대선을 앞두고 부정부패 및 비효율 척결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평가
- 2011. 하반기 실시 예정인 대선 지원 등을 위해 UNMIL의 활동기간을 2012.09.20까지 연장
- 2011.10. 설리프 현 대통령,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선정
- 2011.10.11. 대선 1차에서 설리프 대통령이 44%, 터브만 전 법무부 장관 32.2%, 존슨 전 상원의원 11.8% 득표
- 2011.10. 3위 존슨 후보가 설리프 후보 지지 발표
- 2011.11.08. 대선 결선에서 설리프 대통령이 90.8%의 득표율(유권자 참가율 : 37.4%)로 재선
- 2011.11. 야당 후보 측이 대선 결선에 불참함에 따라 설리프 대통령이 단독 입후보
- 2012.01.16. 설리프 대통령 취임
- 2014.03. 에볼라 사태(4,809명 사망, 10,675 감염) (-16.02)
- 2017.12.26. 실시 대선 결선투표에서 축구스타 조지웨아 상원의원 당선, 여야간 정권교체 달성
- 2019. 경제난 심화와 현 정부의 개혁 부진에 항의하는 반정부 시위 지속 발생
- 2020.09. 강간사건 급증으로 국가비상사태 선포
- 2020.12. 상원의원 선거에서 야당 승리하였으며, 동계기 국민투표(대통령 임기 3선 허용 및 하원의원 임기 단축 등) 실시하였으나 부결
- 2023.12. 대통령 선거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