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04. 쿠데타로 집권한 Wanke 소령의 민정이양 공약에 의해 ‘99.11 실시된 대선에서 Tandja 당선('99.12 취임, '04.12 재선) 민선정부 출범이후 서방 원조가 점차 확대되었으나, 가뭄 등으로 식량난 직면
2008.08. Touareg 지도자의 무장투쟁 중단 발표 이후 Touareg-정부군 간 대립 소강상태
2009.06. Tandja 대통령의 3선 개헌 추진에 대해 의회가 반대하자 동 대통령은 의회 해산 후 ‘09.08월 국민투표 실시, 3선 개헌 관철 후 ‘09.10월 총선 실시
2010.02. Salou Djibo 소령은 군부 쿠테타로 Tandja 대통령을 감금, 국가 최고기구로 '민주주의복원 최고평의회' 창설
2010.10. 헌법개정 국민투표 실시 (투표율 53%, 찬성율 90%)
2011.03. 대선 실시Mahamadou Issoufou 당선(58%)
2016.02. 총선 및 대선 1차
2016.03. 대선 결선 투표 실시. Issoufou 대통령 재선 및 집권여당 PNDS 원내 제1당(43.9% 의석 획득) Issoufou 대통령은 취임이래, 정부행정력 강화, 경제계혁, 인근국가들과의 관계 회복 등을 통해 통치기반 안정화 '니제르 민주운동'의 연립 정부 탈퇴 등 일부 정당 간 갈등 관계가 정치 안정약화 요인 북부 지역 AQMI·보코하람 활동, 말리 등 정세 불안 국가 인접, 미약한 정부 통제력 등은 치안불안 요인으로 작용
2018.05.04. AfCFTA 비준
2020.01. Tillabera 지역 테러 발생, 니제르군 89명 사망, 사하라광역이슬람국가(ELGS) 테러리스트 77명 사살
2020.12. 대선 실시 후 '21.04. 모하메드 바줌 대통령 후보 취임으로 첫 선거를 통한 정권 이양 달성
2022.04. 니제르 의회는 니제르 영토 내 테러 방지를 위한 외국군 재배치 관련 표결에서 찬성 131표, 반대 31표로 압도적 가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