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7. Kiir 대통령이 Machar 부통령을 해임 및 내각 해산, '13.12월 Machar를 지지하는 쿠데타 발생, 이후 내전으로 확대
2014.01. 아디스아바바에서 분쟁당사자(Kiir 對 Machar)간 최초의 정전협정 체결 이래 총 6차례의 정전협정 체결, 양측 모두 협정 위반
2015.08. 분쟁당사자 간 최초의 평화협정을 체결했으나, 무력 충돌 재발
2017.12.21. 분쟁당사자간 휴전 협정 체결
2018.06.27. 항구적 정전을 내용으로 하는 카르툼 선언 채택
2018.09.12. 신평화협정 체결 ('13-'18년간 지속된 내전으로 40만명 사망, 200만명 이상의 난민 발생)
2020.02.22. Kiir 대통령 과도정부 수립 발표 및 Machar 제1부통령 임명 - 과도정부는 유엔 등 국제사회의 압력에 따라 ▴지역 경계선 조정 합의('20.12), ▴혼합법정 창설('21.1월), ▴과도의회 출범('21.8월), ▴통합군 창설 합의('22.4월) 등 신평화협정 일부 이행
2021.04.14. 대통령 선거 연기 발표('22년 →'23년6월)
2022.04.03. 대통령↔부통령 휴전 준수 합의 및 통합군 창설ㆍ군 지휘구조 통일에 합의(정부군 : 반군 = 55:45)
2022.08. 과도정부기간 24개월 연장 결정(2025.2월 종료) / 대통령 선거 재연기 발표(‘23.6월 →‘24년12월) '22.8월 통합군 2만여명 배출(주바) - 현재 ▴과도정부 내 당파간 갈등, ▴야당 내부 분열, ▴정치인들의 리더십 부족과 부패, ▴종족 간 무력 충돌 지속, ▴ 주요도시 외 통합군 배출 지연, ▴홍수에 따른 인도적 위기 심화 등 불안정 요소 상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