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보도자료

신기술과 인권 포럼 개최 결과

부서명
국제기구국 인권사회과
작성일
2018-12-11
조회수
5134
    
□ 외교부는 한국유엔체제학회와 함께 12.10.(월)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권 : 유엔인권메커니즘을 중심으로」 제하 포럼을 개최하였다.
 
ㅇ 이번 포럼에는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 등 국제기구, 정부 관계자 및 국내외 4차 산업혁명 및 인권 관련 연구기관, 기업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
 
□ 강정식 외교부 다자외교조정관은 개회사를 통해 4차 산업혁명이 인권에 미치는 양면적 효과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사회 차원의 협력 필요성을 제기하고, 동 논의에 대한 한국의 적극적 기여 의지를 표명하면서, 특히 한국이 금년 6월 제38차 인권이사회 계기 신기술과 인권에 관한 부대행사를 개최하였음을 소개하였다.
 
□ 서창록 한국유엔체제학회장은 기조연설에서 금년 2월부터 인권이사회 자문위원회에서도 디지털 변혁과 인권에 대해 논의해왔음을 언급하고, 금번 포럼을 통해 시민적‧정치적 권리 및 경제적‧사회적 권리에 대한 신기술의 영향을 살펴보고, 기술의 발전과 정책간 간극을 메울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를 기대하였다.
□ 이번 포럼에서는 4차 산업혁명으로 촉발된 신기술이 인권에 미치는 영향과 도전과제 및 대응방안 등에 대한 전문가들의 발표와 토론이 있었으며, 참석자들은 특히 신기술의 영향에 대한 대응을 위해서는 인권 분야 전체를 아우르는 전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에 공감하였다.
ㅇ 또한, 정부, 국제기구, 시민사회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고, 행위자간 협력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국제 협약상 규율과 유엔 인권이사회 및 특별절차 등 유엔 인권메커니즘 내 관련 논의 현황과 발전 방향도 논의
 
□ 한편, 12.11.(화) 포럼 발표자 및 토론자들간 전문가 회의가 개최되어 신기술과 인권 관련 국제사회의 향후 논의 진전 방향 및 한국 정부의 역할에 대해 심도있는 논의를 진행하였다.
 
□ 이번 포럼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신기술의 인권에 대한 영향을 조명하고, 유엔 인권메커니즘을 중심으로 국제사회 차원의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좋은 기회가 된 것으로 평가되며, 향후 외교부는 유엔 내 신기술과 인권 관련 논의 활성화 등 관련 주도적 기여를 지속해나갈 계획이다.
 
붙임 1. 행사 프로그램
2. 행사 사진.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각 실·국(부서)
전화
보도자료 하단에 기재된 전화번호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