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이집트] 최근 경제 동향 ('25.06.13.-19.)

부서명
유럽경제외교과
작성일
2025-06-24
조회수
275

(정보제공: 주이집트대한민국대사관)



이집트 최근 경제 동향 ('25.06.13.-19.)



1. 이스라엘-이란 분쟁이 이집트 경제에 미칠 잠재적 영향


  o (에너지 불안정성) 이스라엘 천연가스의 수입 감소로 전력수급 불안 및 산업 생산 활동에 차질을 초래할 수 있으며, 국제 유가 상승은 이집트의 에너지 수입 부담이 가중시켜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o (물가 압력 가중) 분쟁 확전은 공급망 차질과 국제 유가 급등을 야기하여 에너지 수입 부담 증가는 물론, 물류비 및 생산비 상승으로 이어져 전반적인 물가 상승 압력 가중.


  o (외환시장 불안) 외국인 투자자들의 안전 자산 선호 심화는 이집트 파운드(EGP)화의 달러 대비 약세를 유발하고, 이로 인해 외환시장의 변동성이 확대 전망됨.


  o (수에즈 운하 수입 감소) 지정학적 긴장이 지속될 경우, 주요 해운사들이 수에즈 운하 항로 복귀를 재고하게 만들 수 있어 운하 통행료 수입 감소가 장기화될 위험이 우려됨.


  o (투자환경 위축) 역내 지정학적 위험 증가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채 및 주식 시장에서 일부 ‘패닉 셀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전반적인 투자 유치 환경을 위축시킬 가능성.


  o (보조금 개혁 재검토 가능) 역내 분쟁 확산은 이집트 정부의 재정전략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전문가들은 이집트가 국제통화기금(IMF)에 연료 및 전기 보조금 단계적 폐지 일정 재검토를 요청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함.


2. 이스라엘산 가스 수입 중단으로 천연가스 비상계획 가동


  o 이스라엘-이란간 충돌 여파로 이스라엘은 레비아탄 가스전 및 카리시 가스전의 운영을 중단하여 이집트로 향하던 일일 8억 입방피트 규모의 가스 수입이 중단되어, 여름철 최대 수요기를 앞둔 이집트의 가스 공급 부족 우려가 심화됨.


  o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여 이집트 정부는 철강·비료·석유화학 등 일부 에너지 다소비 산업에 대한 가스 공급을 중단하는 한편, 발전소에서 연료유(마주트) 사용을 최대한 늘리고, 일부 발전소는 디젤로 전환하는 등의 에너지 비상계획을 시행 중임.


  o 이집트 정부는 현재로서는 정전 계획을 배제하고 있으나, 향후 상황 악화시 계획정전 조치를 도입할 가능성이 있음.


3. 중국, 이집트 포함 아프리카 53개국에 관세혜택 확대


  o 중국 Wang Yi 외교부장은 6.12. 개최된 중국-아프리카 경제무역박람회 개막식에서, 중국과 수교 중인 아프리카 53개국 전체가 곧 체결 예정인 새로운 무역협정에 따라 對중국 관세 혜택을 누리게 될 것이라고 발표함.


  o 이번 조치는 이집트를 포함한 중소득국가 및 최빈개도국을 포괄하는 것으로, 기존 최빈국 중심 관세우대 정책을 아프리카 대륙 전체로 확대 적용하는 한편, 최빈국에 대한 추가적 지원 조치도 병행될 예정임.


     ※ 아프리카에 대한 중국의 무관세 접근은 최근 미국의 고관세 기조와 대조됨. 예컨대 레소토는 최대 50%, 남아공은 30%의 상호관세 부과 대상이며, 이집트 등 여타 국가도 기본관세 10% 적용 대상


4. 이집트에서 스텔란티스 자동차 신규 생산 시작


  o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 스텔란티스(stellantis)는 아랍산업화기구(AOI) 산하 이집트 공장에서 시트로엥(Citro?n) C4X 모델의 현지 생산을 시작했다고 발표함.


    - 해당 공장은 향후 4년간 연간 약 7천대의 차량을 생산할 예정이며, 이집트산 부품 비율은 45% 수준


  o 이집트 정부는 자동차 산업 현지화, 국산 부품 통합률 증대, 국내 생산 제품 수출 확대를 목표로 스텔란티스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스텔란티스의 또 다른 신차 모델이 2026년 말부터 AOI 공장에서 생산될 예정임.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