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키르기즈] 키르기즈 경제 동향(인공지능 분야)

부서명
유럽경제외교과
작성일
2025-07-11
조회수
51

(정보제공 : 주키르기즈대사관)



키르기즈 경제 동향(인공지능 분야)



Ⅰ. 핵심 요지


ㅇ 키르기스스탄은 중하위 소득 국가이지만 ICT 부문이 국가 경제의 주요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음. 글로벌 혁신 지수에서 2013년 117위에서 2021년 94위로 크게 상승하며,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 이웃 국가들을 능가하는 혁신 디지털 기술 채택 활동을 보여주고 있음.


   - 정부 지원 하에 조성된 하이테크 파크(HTP)는 2020년 말 70개 이상의 회원 기업을 유치하며 연간 1,37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고, 2021년 2분기 누적 수익은 전년 대비 59% 상승한 9천 5백만 달러에 달함.


ㅇ 키르기스스탄의 모바일 인터넷 보급률은 94%에 달하고 인구의 92%가 휴대폰을 소유하여 모바일 중심의 디지털 서비스 확산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음.


   - 2024-2028 디지털 전환 비전은 에스토니아의 X-Road 시스템을 모델로 한 Tunduk 플랫폼을 통해 공공 서비스 통합을 목표로 하며, 이미 160개 이상의 공공 서비스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통합하는 성과를 거둠.


Ⅱ. 주요 내용


  1. 키르기스스탄 국가 AI 전략


ㅇ 키르기스스탄은 2025년 1월 27일 국가 인공지능 개발 위원회를 설립하고, 내각 실장은 국가 인공지능 전략이 곧 승인될 것이라고 발표함.


* 다만, 2025년 6월 현재 해당 전략이 공식 발표되지는 않은 상태


ㅇ 이 전략은 AI 기반 국내 제품 개발, 경제 부문 간 격차 해소, 사회적 문제 해결에 중점을 둘 예정임. 디지털 코드 초안 제23장이 AI 규제를 다루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EU AI-Act와 유사한 별도의 포괄적인 AI 법안 제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함.


  2. AI 연구 개발 여건


ㅇ 키르기스스탄의 AI 인재 풀은 아직 작으며, 주로 머신러닝 및 데이터 분석 분야에 수백명의 전문가만이 활동하고 있음.


ㅇ 키르기스스탄 과학 및 인공지능 연구소(ISAIK)가 2020년에 설립되어 30개 이상의 연구실을 운영하며, MIT, 스탠포드, 옥스포드, 구글 AI,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 등 전 세계 유수의 대학 및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음.


* 비슈케크 소재 아담 대학교(Adam Unniversity)는 24시간 “사이버 멘토”를 시험하여 학생들을 지도하고 예측 알고리즘으로 학업 기록을 분석하는 혁신적 시도를 진행 중


  3. 주요 적용 분야


ㅇ (전자정부) 부서간 전자 민원 통합 시스템인 "툰둑(Tunduk)"을 통해 한국이 개발한 선거 시스템의 디지털화에 성공했으며, 전자정부 서비스인 e-Kyzmat은 자동화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연간 3억 달러의 예산을 절감하는 것으로 추정됨.


ㅇ (의료) 러시아 기업과 2천만 달러를 투자하여 AI 기술을 의료 시스템에 도입할 계획을 논의했으며, UNDP 지원으로 AI가 탑재된 9대의 휴대용 X-ray 장비가 지역 결핵 관리 센터에 설치됨.


ㅇ (농업) 아시아개발은행(ADB)은 키르기스스탄의 농업 부문에서 디지털 및 AI 혁신을 확대하는 기술 지원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위성 이미지 처리, 드론 활용, 챗봇을 통한 농업 정보 제공 등 AI 기반 솔루션을 개발 중임.


  4. AI 산업 생태계


ㅇ 주요 AI 기업으로는 fxis.ai, Kanda Software, INTERKIT, AILINE 등이 있으며, 이 중 fxis.ai는 AI 개발, AI 컨설팅, 생성형 AI 서비스에 30%의 비중을 두는 AI 전문 기업임. AkylAI는 키르기스어와 완벽하게 호환되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 시스템을 구축하여 3억개 이상의 키르기스어 단어 코퍼스를 구축하고 2023년 웹 기반 챗봇 베타 버전을 출시함.


ㅇ Honorlock은 키르기스스탄 출신 여성이 5천만 달러의 투자를 유치한 AI 기반 온라인 시험 감독 시스템이며, Richie AI는 AI 기반 스코어링 시스템을 통해 기업의 대출 자격을 사전 평가하는 서비스를 제공함.


Ⅲ. 중앙아시아 역내 AI 정책 동향


  1. AI 개발 격차


ㅇ 카자흐스탄은 AI 분야에서 중앙아시아의 독보적인 선두 주자로, 2024년 개발자들의 AI활용 생산성 향상률이 16.8%로 세계 평균 16.4%를 상회함. 카자흐스탄은 약 10억 달러 규모의 “디지털 카자흐스탄” 프로그램과 세계은행의 9,200만 달러 DARE 프로젝트를 통해 대규모 투자를 단행했으며, 2025년까지 10만 명의 IT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음.


ㅇ 우즈베키스탄은 2024년에 2030년까지의 AI 개발 전략을 승인하여 AI 기반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개발 가치를 15억 달러로 목표하고 있음.


ㅇ 한편, 키르기스스탄은 AI 모델 및 제품 창출보다는 공공 서비스 및 경제 전반에 AI를 활용하는 “서비스 중심적 접근 방식”을 채택함.


  2. AI 준비도 지수


ㅇ 국제통화기금(IMF)의 AI 준비도 지수에서 카자흐스탄은 174개국 중 48위를 차지하며 지역 내 선두를 달리고 있지만, 중동 및 중앙아시아 지역은 전반적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AI 준비도가 낮은 상황임.


ㅇ 언어적 장벽도 중요한 문제로, 대부분의 AI 모델이 영어 데이터로 학습되어 키르기스어와 러시아어를 주로 사용하는 개발자들의 AI 활용 효율성이 제한됨.


Ⅳ. 국제 협력 현황


  1. 한국과의 협력


ㅇ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공적개발원조 사업으로 ‘국가 통합 사이버안전센터(SOC) 구축 사업’이 추진되어 파이오링크, 이글루컨소시엄 등이 참여하여 약 42억 원 규모의 사업을 수행함.


ㅇ 한국과학창의재단은 키르기스스탄 교육과학부와 협력하여 STEM 및 AI·디지털 교육 지원을 추진하고 있음.


  2. 러시아와의 협력


ㅇ 러시아 기업은 키르기스스탄 의료 시스템에 2천만 달러를 투자하여 환자 의료 기록 디지털화, 지능형 진단, 데이터 분석 기반 최적 치료 전략 선택에 중점을 둔 AI 시스템 도입을 계획함.


ㅇ 러시아 스콜코보 연구소는 키 내각 및 대통령 행정부와 시민 불만 처리, 헬스케어, 비상 모니터링, 디지털 농업 등 여러 분야에서 AI 도구 활용 협약을 체결함.


  3. 기타 국제기구와의 협력


ㅇ 유엔개발계획(UNDP)은 빙하 호수 범람을 모니터링하고 예측하는 통합 정보 시스템을 구현하여 재난 위험 관리에 AI를 활용하고 있음.


ㅇ 유럽부흥개발은행(EBRD)은 AkylAI와 같은 키르기스 AI 스타트업을 지원하여 현지 언어 모델 개발을 돕고 있음.


ㅇ 바이낸스는 키르기스스탄과 암호화폐 자산 개발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여 바이낸스 페이를 통한 암호화폐 결제 도입을 추진함.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