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eg(전자정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 어린이·청소년
  2. RSS
  3. ENGLISH

외교부

간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서울안보대화(SSD) 발제문 - 북한 비핵화와 국제협력

작성일
2016-09-22
조회수
4263

Seoul Defense Dialogue (September 8, 2016)

Remarks by Kim Hong-kyun,
Special Representative for Korean Peninsula Peace and Security Affairs

Distinguished guests, Ladies and gentlemen,

It is a great pleasure for me to have this opportunity again to speak before such a distinguished audience following last year’s Seoul Defense Dialogue. The theme of this session,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s very timely and relevant as the year 2016 has been turbulent since the beginning with continuous and reckless provocations by North Korea.

Only a few days after Kim Jong-un said he would pursue “peace in the peninsula and security in the region” in his New Year’s Address, North Korea conducted its fourth nuclear test, which was followed by a long-range missile launch just a month later. Including the recent firing of three more ballistic missiles on Monday, North Korea has thus far launched 22 ballistic missiles this year alone. This is higher than the total number of ballistic missiles launched during the 18-year reign of his father, Kim Jong-il. In addition to the launches, North Korea recently disclosed the fact that it has reprocessed spent nuclear fuel and has produced enriched uranium to be used in nuclear weapons. The regime also manifested its will to conduct yet another nuclear test. The ROK government is keeping a close watch on North Korea after it threatened to “take a series of eventful action steps” through the Foreign Ministry spokesperson’s statement on August 28.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has now become more critical than ever before, since it emerged as an international problem almost three decades ago.

First and foremost, Pyongyang has abandoned its “strategic ambiguity” and is now blatantly pushing forward its nuclear development program. During the 7th Congress of the Workers' Party held in May, North Korea included in its party charter the byungjin policy, which means the simultaneous pursuit of economic development and nuclear weapons program. North Korea now even calls itself as the “nuclear power of the East” and a “military power fully equipped with nuclear attack capability.”

Second, Kim Jong-un himself has threatened to mount a “pre-emptive nuclear strike”, manifesting the will to actually use its nuclear arsenal. North Korea asserts that nuclear warheads are already deployed and on standby to be fired at any moment. The regime also claims that it has in place all substantial means capable of instantly reducing to ashes not only South Korean cities, such as Seoul and Busan, but also the US mainland and US military bases in the Pacific.

Third, the continuous multiple test-launches of various ballistic missiles is rapidly advancing North Korea’s capabilities to realize such nuclear strategy and threats. Furthermore, North Korean missiles that violate the region’s waters and airspace without any notice are undermining aviation safety and maritime commerce. The issues of the environment, nuclear safety and non-proliferation which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development may entail also have become risks that we cannot afford to neglect.

If we do not put a stop to this rampage now, in the not-too-distant future, we will be forced to live with a neighbor with nuclear weapons that is more than willing to actually use them. That is why we must focus all our energy into resolving this issue with utmost urgency and firm resolve. And that is exactly what we are doing right now.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more firmly united than ever in its commitment to denuclearize North Korea. More than 120 countri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ave strongly condemned North Korea’s fourth nuclear test. The Foreign Ministers’ Meeting of the Conference on Interaction and Confidence Building Measures in Asia (CICA) hosted by China, the G7 Summit, the ASEM summit and the ASEAN-related Foreign Ministers’ Meetings all have consistently sent strong messages to Pyongyang. I hope this momentum will continue, including at the East Asia Summit, which will be held in a few hours.

Six months since the adoption of th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2270, which marks the strongest non-military measure in the history of the UN, its implementation is well underway and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is being handled in the fram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vs. North Korea.” We are witnessing tangible achievements of the efforts in areas like shipping, finance, and trade. Even North Korea itself is revealing its sense of crisis by admitting that “(quote) sanctions are stifling us (unquote).” The increasing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ions this year, including the recent defection of a North Korean senior diplomat, may also be a testament to the effects of tougher sanctions and heightened pressures.

The ROK government is strongly committed to breaking, once and for all, the vicious cycle of ‘provocation leading to dialogue, followed by yet another provocation.’ With the strong will to make real progress o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we continue to take resolute and effective measures to create an environment to sharpen the choice for Pyongyang. The ROK government took the lead in such efforts with the agonizing decision to shut down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last February. The US, Japan, the EU and Australia are enforcing strong unilateral sanctions that complement th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applying full pressure against North Korea. Pyongyang has now become more isolated than ever at both the diplomatic and economic fronts.

Despite the repeated warnings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owever, North Korea continues to launch short, medium, and intermediate range ballistic missiles and submarine-launch ballistic missiles. Pyongyang may believe that if it persists in conducting these provocations on a routine basi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ill somehow accept them as a given reality. But they can’t be more wrong. We must never allow North Korea to get away with such impunity. North Korea’s provocations will only strengthen our resolve to impose further sanctions and apply increased pressure in response. We must demonstrate that our commitment to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is much more robust and unwavering than the North’s nuclear ambitions. By doing so, we will be able to make Pyongyang realize that it can never achieve its aims by continuing nuclear and missile development, and eventually induce the North to come back to the table for meaningful dialogue on denuclearization.

We have not yet closed the door to dialogue. As President Park mentioned in her Liberation Day address in August, the opportunity for peace and co-prosperity is always open, as long as Pyongyang makes the right choice and shows sincerity towards denuclearization. The choice is for North Korea to make. I hope that the regime will come to its senses and make the right choice before it is too late.

I look forward to a productive discussion today with diverse ideas and viewpoints from both discussants and the audience, and hope that such discussion may contribute to solving the last remaining non-proliferation challenge of our time.

Thank you. /End/

--------------------------(비공식 번역본)--------------------------

내외 귀빈 여러분,

지난해에 이어 서울안보대화에서 다시 한 번 발언할 기회를 갖게 되어 기쁘게 생각합니다. 2016년은 그 시작부터 북한의 계속되는 무모한 도발로 조용한 날이 없었던 만큼「북한 비핵화와 국제협력」이라는 이번 세션의 주제는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봅니다.

북한은 연초 김정은 신년사에서 한반도와 역내 평화를 얘기한지 며칠 지나지 않아 4차 핵실험을 감행한 데 이어, 한 달 만에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했습니다. 월요일 3발의 탄도미사일 발사까지 포함하여, 벌써 북한이 금년에 발사한 탄도미사일만 22발입니다. 이는 김정일이 집권한 18년 동안 발사한 탄도미사일 수보다도 많은 것입니다. 이러한 발사시험에 더해, 북한은 최근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 및 핵무기용 농축우라늄 생산 사실을 공개하고, 추가 핵실험 강행 의지도 밝혔습니다. 우리 정부는 북한이 8월 28일 외무성 대변인 성명을 통해 “사변적인 행동조치들을 다계단으로 계속 보여줄 것”이라고 위협한 이래 북한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북핵문제가 국제 현안으로 대두된 지 거의 30여년에 가까운 지금, 이 문제는 과거 어느 때보다 심각해졌습니다.

첫째, 북한은 과거 전략적 모호성을 벗어던지고, 노골적으로 핵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5월 개최된 제7차 당 대회시 병진노선을 당 규약에 명시하였으며, 아예 스스로를 ‘동방의 핵대국’ ‘핵공격능력을 완벽하게 보유한 군사대국’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둘째, 김정은이 직접 ‘핵 선제공격’까지 위협하며 실제 핵무기 사용 의지까지 밝히고 있습니다. 북한은 이미 핵탄두가 실전 배치되어 있으며, 언제라도 발사할 준비가 되어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북한 정권은 서울, 부산 등 한국의 구체적 도시들은 물론이고 미국 본토와 태평양작전지대 안의 목표물들을 일거에 재가루로 만들어버릴 수 있는 실질적 수단들을 완비하고 있다며 위협하고 있습니다.
셋째, 북한은 각종 탄도미사일 발사시험을 통해 이러한 핵전략과 위협을 뒷받침할 수 있는 실제 능력을 매우 빠른 속도로 고도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아무런 예고도 없이 역내 하늘과 바다를 침범하는 북한의 미사일로 국제 항공․해운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으며,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로부터 야기될 수 있는 환경, 핵안전, 핵확산 문제들도 무시할 수 없는 위험이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북한의 폭주에 우리가 제동을 걸지 못하면 머지않은 장래에 우리는 핵을 실제로 사용할 의지를 가진 이웃 국가와 마주해야 하는 엄중한 현실에 직면하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바로 지금, 우리는 최고의 시급성과 확고한 의지를 갖고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모든 역량을 결집해야 하며, 바로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국제사회의 북한 비핵화 의지는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하며 단합되어 있습니다. 전 세계 120여 국가와 기구들이 북한의 4차 핵실험을 강력 규탄하였으며, 중국이 주최한 CICA 외교장관회의를 비롯, G7 정상회의, ASEM 정상회의, ASEAN 관련 외교장관회의 등에서 연속적으로 강력한 대북 메시지가 발신되고 있습니다. 몇 시간 후면 개최되는 EAS 정상회의에서도 이러한 모멘텀이 계속 이어져 나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유엔 역사상 비군사적 조치로는 가장 강력한 안보리 결의 2270호는 채택된 지 6개월이 경과한 지금 본격적인 이행국면에 돌입하였으며, 이에 따라 북한 핵문제는 ‘국제사회전체 對 북한’이라는 구도에서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해운, 금융, 교역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제재의 가시적 성과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북한 스스로는 “제재가 우리를 질식시킨다”며 위기의식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최근 고위 외교관의 탈북을 포함한 금년도 탈북민 증가 추세도 날로 강력해지고 있는 제재·압박의 효과라고 봅니다.


우리 정부는 이번에야 말로 ‘도발-대화-재도발’의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버리겠다는 굳은 결의를 갖고 있습니다. 북핵문제의 실질적 진전을 이루어내고 말겠다는 강력한 의지로, 우리 정부는 북한의 선택지를 좁히기 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강력하고 실효적인 조치를 취해오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지난 2월 개성공단 중단이라는 뼈아픈 조치를 취함으로써 국제사회의 노력을 주도해 왔습니다. 미국, 일본, EU, 호주의 강력한 독자 제재조치가 유엔안보리 제재를 보완하고, 국제사회가 전방위적 대북 압박 조치를 취하면서, 북한은 그 어느 때보다 외교적·경제적으로 고립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북한은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단거리, 준중거리 및 중거리 미사일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발사하고 있습니다. 북한은 도발을 일상화하면 국제사회가 이를 어쩔 수 없는 현실로 받아들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북한의 생각은 완전히 틀렸습니다. 북한이 자신의 잘못에 대가를 치르지 않게 놓아두어서 안 됩니다. 북한의 도발은 이에 대응한 추가 제재·압박을 가하겠다는 우리의 의지를 더욱 강화시킬 뿐입니다. 북한의 핵개발 의지보다 국제사회의 비핵화 의지가 더욱 강력하고 견고하다는 것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이렇게 할 때, 우리는 북한으로 하여금 핵·미사일 개발로는 결코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없음을 깨닫고 궁극적으로 의미있는 비핵화 대화의 장으로 돌아오게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는 아직 대화의 문을 닫지 않았습니다. 박 대통령께서 8월 광복절 경축사에서 언급하셨듯이 북한이 올바른 선택을 하고 비핵화를 위해 진정성 있는 자세로 나오면 언제라도 평화와 공동 번영의 기회는 열려 있습니다. 선택은 북한의 몫입니다. 북한 정권이 더 늦기 전에 현실을 직시하고 올바른 선택을 내리기 바랍니다.

오늘 토론자분들, 그리고 청중 여러분과 다양한 의견과 견해를 나누고 건설적인 토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금일 토론이 우리시대에 마지막 남은 비확산 도전을 풀어 나가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