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eg(전자정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 어린이·청소년
  2. RSS
  3. ENGLISH

외교부

1,2차관

제2차관, 제10회 서울 ODA 국제회의 기조연설

부서명
작성자
작성일
2016-08-31
조회수
5460

Keynote Speech
by H.E. Cho Tae-yul
Vic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at the Opening Session of the
Seoul ODA International Conference

August 31, 2016

Mr. Shim Jae Kwon, Chairman of the Foreign Affairs and Unification Committee of the National Assembly,
Mr. Ahmed Shide, State Minister of Finance and Economic Cooperation of Ethiopia,
Mr. Kim In-shik, President of KOICA,
Distinguished Guests,
Ladies and Gentlemen,

This year marks the 10th anniversary of the Seoul ODA International Conference, which proves that this Conference has grown to become a major international forum for discussing a wide range of issues and sharing experiences and knowledge in the area of development cooperation.

Today’s conference is especially timely and relevant because it is being held in the first year of implementing the SDGs adopted at the UN Sustainable Development Summit last year, with a view to reflecting on the progress made during the past fifteen years of the MDGs era and providing the way forward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n the upcoming era of the SDGs.

I would like to express my sincere appreciation to all the distinguished participants, especially to those who have traveled a long distance to be here with us today.

Distinguished Guests,

Since the adoption of the MDGs in 2000 with the objective of reducing extreme poverty and hunger in half by the year 2015,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been making concerted efforts to achieve the professed goals.

The MDGs provided an impetus for shifting the focu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from economic growth to people-centered social development, while serving as a reminder that poverty is not a problem of one country alone, but a common task of the global community. The goals also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global partnership in development cooperation.

In retrospect, the MDGs were the ‘most successful anti-poverty movement in history’. The ratio of the people living in extreme poverty of less than 1.25 US dollars a day vis-a-vis the entire population of the globe fell from 36 percent in 1990 to 12 percent in 2015, and most of the progress has been made since the year 2000.

However, the progress has been uneven across targets, countries, regions and social classes, and there still persist problems such as climate change, gender inequality, gap between rich and poor within and among countries.

It is against this backdrop that last yea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dopted the SDGs aimed at higher, broader and deeper targets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that encompasses the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dimensions.

Unlike the MDGs which were mainly focused on poverty eradication and social development, the SDGs strike a balance among the three pillars of social development, economic growth and environment protection. The SDGs also aim towards inclusive growth that leaves no one behind.

With this brief observation, now allow me to share with you some of my thoughts on what to do to make necessary changes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most transformative and inclusive agenda for development in history.

First, we need to increase our support for fragile states and vulnerable groups to achieve inclusive growth across the globe.

Reducing inequalities is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oal 10 of the SDGs as one of its primary goals, and inclusiveness is repeatedly emphasized in other parts of the SDGs such as building peaceful societies, addressing climate change, achieving gender equality and economic growth.

As a matter of fact, approximately two thirds of the fragile states have failed to reach the MDG target of reducing poverty, while 43 percent of the people living in extreme poverty are concentrated in such fragile states. And, in many developing countries including fragile states, vulnerable groups, particularly women, girls, the disabled and ethnic minorities, face a higher risk of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Bearing this in mind,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focusing its development cooperation efforts on those in greater need for support, and as part of these efforts, we have recently launched the Better Life for Girls Initiative to support girls, one of the most vulnerable groups.

Under this initiative, the Korean government will allocate 200 million US dollars for the next five years to provide wider education opportunities for girls in developing countries, build girls-friendly health and hygiene environment, and support efforts of the local communities to promote gender awareness. We believe that providing quality education for girls in developing countries is the best investment for securing a sustainable future.

Korea has also been contributing to poverty eradic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rural areas, which can easily be left out from economic development focused in urban areas, by presenting Saemaul Undong, Korea’s successful rural development movement of the 1970s, as a new global paradigm for rural development.

In this regard, we have been working closely with the OECD and the UNDP in recent years to draw lessons learned from our experience of Saemaul Undong and share with developing countries the key elements of its success – incentive scheme and competition, trust-based leadership, voluntary and proactive engagement of the people. We are now trying to assist them to adopt Saemaul Undong in such a way that fits into their own contexts and realities. Localization, universalization and modernization may be the key words for the success of these efforts.

Second, we need to build innovative partnerships with the private sector and civil society.

To achieve the SDGs, the most ambitious development goals in history, new resources, especially private financing, is needed in addition to ODA. Global ODA in 2015 amounted to only 132 billion US dollars, while financial resources needed for developing countries to achieve the SDGs is estimated at 3.3 to 4.5 trillion US dollars. Therefore, an innovative approach that goes beyond business as usual is critical.

It is with this perspective that KOICA has come up with the Creative Technology Solution (CTS) program that helps to identify ideas to resolve the social problems of developing countries based on innovative technology and support their market testing and commercialization.

Under this program, a Korean start-up business Noul has invented a kit to quickly and accurately diagnose and treat malaria. This kit is expected to greatly contribute to reducing the malaria mortality rate of children and increasing access to malaria diagnosis across the world.

We are also making innovative efforts to combine private investment with development cooperation. For instance, a Korean company CJ worked together with KOICA to help poor Vietnamese farms plant chili and thereby laid the groundwork for increasing their income, while securing a source of stable supply of chili for the company. Referring to this initiative, in its recent edition, US-based business magazine Fortune named CJ among the seven world-changing innovative companies and praised it for taking the lead in creating an innovative model of CSV, that is, creating shared value.

Such partnerships will not only create value for the companies, but als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conomic and social environment of their partner developing countries. This attests to the fact that business thrives when the society thrives.

Third, an integrated approach and policy coherence are critical to achieve the SDGs that encompass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dimensions.

Given that unlike the MDGs, developed countries are also required to implement the SDGs domestically due to the universal nature of the SDGs, policies in all areas including, among others, immigration and trade should be devised in such a way that they contribute to the common prosperity of the global village.

Above all, a government-wide, integrated approach is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policies of all government agencies are well coordinated to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SDGs.

In Korea, the whole government is working together to implement the SDGs: the Committee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chaired by the Prime Minister adopts the mid-term ODA policy periodically, while the National Commission on Green Growth promotes the development of low-carbon and green technology industries and the National Commiss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 designs the basic pla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very five years.

Last January, the Korean government came up with the Third Strategic Pla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o implement the SDGs. In order to achieve harmonious development of the society, economy and environment, we are taking a holistic approach with four major objectives – healthy land, integrated and safe society, inclusive and creative economy and global responsibility.

Distinguished Guests,

Today, I have talked about what to do in the era of the SDGs. But, equally important is how to achieve them.

Whereas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et the direction on what to do in which areas, the Busan Global Partnership for Effective Development Cooperation (GPEDC) provides us with guidelines for implementing the SDGs.

I hope we can work together to maximize the development impact by respecting and implementing the Busan principles of development effectiveness, which include country ownership, results-based development cooperation, inclusive partnership, transparency and mutual accountability.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national ownership of aid recipient countries. Sustainable development is possible only when the government and people of the recipient countries actively engage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ir own n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Development effectiveness can also be reinforced by inclusive partnership, a partnership in which all development actors participate in the overall process of development, including preparation, planning and execution, and share the benefits. To this end, communication with the private sector and civil society should be further strengthened, while the expertise and resources of each actor should be combined to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SDGs.

From this perspective, success of the Second High-Level Meeting of the Global Partnership for Effective Development Cooperation (GPEDC), which will be held in Kenya this December, is very important. Korea has been contributing to advancing the discussions on development effectiveness by hosting the Busan Global Partnership Forum on an annual basis since 2014. We hope to contribute to the success of the Second High Level Meeting of the GPEDC by hosting the 3rd Busan Forum this October.

Ladies and Gentlemen,

There is an African saying that “If you want to be a tree, stand alone. If you want to be a green forest, stand together.”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encompassing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dimensions, we need to share our individual expertise and experiences, and act together.

I sincerely hope that this conference will serve as an excellent opportunity to pull our wisdom on the direction we should take together to achieve the SDGs.

Thank you. /END/


---------------------<비공식 번역본>---------------------

제10회 서울 ODA 국제회의 제2차관 기조연설

2016. 8. 31.

심재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님,
아흐메드 쉬드 에티오피아 재정경제부 차관님,
김인식 한국국제협력단 이사장님,
내외 귀빈 여러분,

올해는 서울 ODA 국제회의가 10주년을 맞이하는 해입니다. 이는 이 회의가 개발협력 분야에서 다양한 이슈를 논의하고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는 주요 국제포럼으로 성장했음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금번 서울 ODA 국제회의는 작년 유엔 개발정상회의에서 채택된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이행 원년을 맞이하여, 지난 새천년개발목표(MDGs) 시대 15년간의 성과를 돌아보고, 앞으로 다가올 SDGs 시대에 국제개발협력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개최된다는 점에서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봅니다.

모든 참석자 여러분, 특히 오늘 이 자리에 함께 하기 위해 멀리서 와 주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2015년까지 절대빈곤과 기아를 절반으로 줄이자는 목표 하에 2000년 MDGs가 채택된 이후 국제사회는 MDGs 달성을 위해 공동의 노력을 경주해 왔습니다.

MDGs는 국제개발협력의 초점을 경제성장에서 인간중심의 사회개발로 전환하는 추동력을 제공해 주었고, 빈곤이 한 국가만의 문제가 아니라 지구촌 공동의 과제임을 환기시켜 주었습니다. MDGs는 또한 개발협력에 있어 글로벌파트너십의 중요성도 부각시켜 주었습니다.

돌이켜보면, MDGs는‘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빈곤퇴치 운동’이었습니다. 전 세계 인구 대비 하루 1.25달러 이하의 절대빈곤 속에 사는 사람들의 비율이 1990년 36%에서 2015년 12%로 줄어들었고, 그 대부분의 성과는 2000년 이후에 이루어졌습니다.

그러나, 그 성과는 목표별, 국가별, 지역별 및 사회계층별로 불균등했고, 기후변화, 양성불평등, 국가 내 및 국가 간 빈부격차 등의 문제도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 하에, 지난해 국제사회는 경제, 사회, 환경적 차원을 포괄하는 지속가능 개발을 달성하기 위해 더 높고, 더 넓고, 더 깊은 목표를 지향하는 SDGs를 채택하였습니다.

주로 빈곤퇴치와 사회개발에 중점을 두었던 MDGs와 달리, SDGs는 사회개발, 경제성장, 환경보호라는 3대 축 간에 균형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SDGs는 누구도 뒤처지지 않도록 하는(leave no one behind) 포용적 성장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이제 저는 역사상 가장 변혁적이고 포용적인 개발의제인 2030 지속가능개발의제의 효과적 이행을 위해 필요한 변화를 만들어내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제 소견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첫째, 전 세계적으로 포용적인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 취약국과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 합니다.

불평등 완화는 SDGs의 주요 목표 중 하나로 열 번째 목표에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고, 포용성은 평화로운 사회 건설, 기후변화 대응, 양성평등 달성 및 경제성장 등 SDGs의 다른 부분에서도 반복적으로 강조되고 있습니다.

사실, 취약국의 약 2/3가 MDGs의 빈곤감축 목표 달성에 실패하였고, 절대빈곤 속에 사는 사람들의 43%가 이러한 취약국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또한, 취약국을 포함한 많은 개도국에서는 취약계층, 특히 여성, 소녀, 장애인, 소수민족들이 빈곤에 시달리고 사회적으로 소외될 더 높은 위험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를 감안하여, 한국 정부는 지원 수요가 더 많은 이들에게 개발협력 노력을 집중하고 있으며,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가장 취약한 계층의 하나인 소녀들을 지원하기 위해 최근「소녀들의 보다 나은 삶」구상을 출범시켰습니다.

동 구상을 통해 한국 정부는 향후 5년간 2억불을 배정하여 개도국 소녀들에게 더 많은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소녀친화적인 보건위생 환경을 구축하며, 성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지역공동체의 노력을 지원해 나갈 것입니다. 우리는 개도국 소녀들에게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지속가능한 미래를 확보하기 위한 최선의 투자라고 믿습니다.

또한 한국은 1970년대 한국의 성공적인 농촌개발운동인 새마을운동을 농촌개발을 위한 새로운 글로벌 패러다임으로 제시함으로써, 도시지역 중심의 경제개발에서 소외되기 쉬운 농촌지역에서의 빈곤퇴치와 지속가능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차원에서, 우리는 최근 OECD 및 UNDP와의 긴밀한 협력 하에 우리의 새마을운동 경험으로부터 얻은 교훈을 도출하고 인센티브제도와 경쟁, 신뢰에 기반한 리더십,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국민 참여라는 새마을운동 성공의 주요 요소를 개도국과 공유하기 위해 노력해 오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는 개도국들이 새마을운동을 자국의 여건과 현실에 적합한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현지화, 보편화, 현대화는 이러한 노력의 성공을 위한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둘째, 민간 및 시민사회와 혁신적 파트너십을 구축해야 합니다.

역사상 가장 야심찬 개발목표인 SDGs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공적개발원조(ODA)에 더하여 새로운 재원, 특히 민간재원이 필요합니다. 2015년 기준 전 세계 ODA는 1,320억불에 불과한 반면, 개도국들이 SDGs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재원은 3.3~4.5조억불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존의 방식(business as usual)을 뛰어넘는 혁신적 접근이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차원에서 KOICA는 혁신적 기술을 바탕으로 개도국의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시장성 테스트와 상용화를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되는 CTS(Creative Technology Solution) 프로그램을 도입하였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의‘노을’이라는 신생벤처기업(start-up business)이 말라리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한 키트를 개발하였습니다. 이 키트는 아동의 말라리아 사망률을 낮추고 전 세계적으로 말라리아 진단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우리는 또한 개발협력에 민간투자를 접목하는 혁신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일례로, 한국 기업 CJ는 KOICA와 협력하여 베트남 빈곤농가가 고추를 재배토록 도와 소득 증대의 기반을 마련해 주는 한편, CJ는 안정적 고추 공급원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미국 경제전문지 포춘은 최근 이 사업을 소개하면서, 세계를 바꾸는 7개의 혁신기업 중 하나로 CJ를 선정하고, 공유가치창출(CSV)의 혁신적 모델 창출에 앞장서고 있는 데 대해 찬사를 보낸바 있습니다.

이러한 파트너십은 기업의 가치창출을 낳을 뿐만 아니라 협력파트너인 개도국의 경제·사회적 환경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이는‘사회가 번영해야 기업도 번영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셋째, 사회, 경제, 환경적 차원을 포괄하는 SDGs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통합적 접근과 정책일관성이 필수적입니다.

MDGs와 달리, 선진국들도 SDGs의 보편성으로 인해 국내적으로 SDGs를 이행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민과 무역을 포함한 모든 분야의 정책이 지구촌 공동 번영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야 합니다.

무엇보다도, 모든 정부기관의 정책이 잘 조정되어 SDGs 이행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범정부적인 통합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한국에서는 정부 전체가 SDGs 이행을 위해 협력하고 있습니다. 국무총리가 주재하는 국제개발협력위원회는 정기적으로 ODA 중기계획을 채택하고 있고, 녹색성장 위원회는 저탄소 녹색기술 산업 발전을 진흥하고 있으며, 지속가능개발위원회는 5년마다 지속가능개발을 위한 기본계획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지난 1월 한국 정부는 SDGs 이행을 위해「제3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을 마련하였습니다. 우리는 사회, 경제, 환경의 조화로운 발전을 달성하기 위해 건강한 국토 환경, 통합적이고 안전한 사회, 포용적 창조경제, 글로벌 책임성이라는 4가지 주요 목표를 가지고 총체적으로 접근하고 있습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저는 지금까지 SDGs 시대에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그러나, 어떻게 SDGs를 달성해야 할 것인지도 그 못지않게 중요합니다.

2030 지속가능개발의제가 어떤 분야에서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공하고 있다면, 부산글로벌파트너십(GPEDC)은 SDGs 이행을 위한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수원국의 주인의식, 결과중심의 개발협력, 포용적 파트너십, 투명성과 상호책무성을 포함하는 개발효과성(development effectiveness)에 관한 부산원칙을 존중하고 실천함으로써 개발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협력해 나갈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특히 저는 수원국 주인의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합니다. 지속가능 개발은 수원국 정부와 국민이 국가개발전략 입안과 이행에 적극 참여할 때에만 가능한 것입니다.

개발효과성은 또한 모든 개발주체(development actors)가 준비, 기획 및 집행을 포함한 개발 과정 전반에 참여하고 그 혜택을 공유하는 포용적 파트너십을 통해 더욱 강화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민간 및 시민사회와의 소통이 강화되고, 각 주체의 전문성과 자원이 SDGs 이행에 기여할 수 있도록 결집되어야만 합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오는 12월 케냐에서 개최되는 제2차 글로벌파트너십(GPEDC) 각료회의의 성공이 매우 중요합니다. 한국은 2014년 이후 매년 부산글로벌파트너십 포럼을 개최하여 개발효과성에 관한 논의의 진전에 기여해 오고 있습니다. 우리는 오는 10월 제3차 부산포럼을 개최하여 제2차 글로벌파트너십 각료회의의 성공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아프리카 속담에“외나무가 되려면 홀로 서고, 푸른 숲이 되려면 함께 서라”는 말이 있습니다.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측면을 포괄하는 지속가능 개발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우리 각자의 전문성과 경험을 공유하고 함께 행동해야 합니다.

금번 회의가 SDGs를 달성하기 위해 우리가 함께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지혜를 모으는 훌륭한 기회가 되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