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eg(전자정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 어린이·청소년
  2. RSS
  3. ENGLISH

외교부

장관

제40차 유엔 인권이사회 고위급회기 기조연설

작성일
2019-02-26
조회수
30285

제40차 유엔 인권이사회 고위급회기 기조연설



Statement by
H.E. Kang Kyung-wha
Minister of Foreign Affairs of the Republic of Korea


High-level Segment
40th Session of the Human Rights Council
25 February 2019


Mr. Vice President, Madam High Commissioner, Excellencies, distinguished delegates, colleagues and friends,


It is indeed a great pleasure for me to address the Human Rights Council again this year.


I would like to congratulate High Commissioner Michelle Bachelet on her new mandate, and applaud her efforts for the last 6 months.  Under her leadership, infused with wisdom and experience, passion and dedication to the universal values of human rights and dignity, I am convinced that the OHCHR will assiduously and successfully carry out the task of promoting and protecting human rights even in these difficult times around the world.


Last year marked the 70th anniversary of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Seven decades after the world promised rights, freedom and dignity for all, we still have a long way to go.  There is still too much discrimination, inequality, marginalization and injustice in too many parts of the world.  Systematic and gross human rights violations, including in conflict situations, continue to be committed with impunity in many places.  Indeed, in many countries, the gains of the past are losing ground to those who would rather ignore, dismiss or discredit human rights.


But we must not give up or lose hope.  As Martin Luther King once said “we must accept finite disappointment, but we must never lose infinite hope.”  Indeed, we need to try harder.  We should pay particular attention to vulnerable groups, including women and girls, children, refugees and internally displaced people, migrants in precarious situations, and many others.  This is all the more so as their conditions are exacerbated by the sweeping effects of climate change. We must grasp every opportunity to shore up the global and regional mechanisms to protect and promote their human rights.  My government is ready to do so, wherever the chance arises, including in the lead up to the 25th anniversary of the Beijing Declaration and Platform for Action next year. 


Mr. Vice President,


Setting out his agenda for the new year, Secretary-General Antonio Guterres singled out new technology as one of the three key challenges of the 21st century which require dramatically accelerated efforts this year. 


New technologies that defin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ushering in sweeping changes in our lives and societies, and yet the implications for human rights remain unclear.  There is both optimism and uneasiness.  What is clear is the need for concerted efforts – in-depth studies as well as constructive and inclusive dialogue –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and to find ways to channel their powers to advance human rights and dignity. 


After all, technology is only as good or bad as the use or abuse we put it to.  It is up to us to maximize the benefits and minimize the downsides.  My country held a side event on this issue in cooperation with the OHCHR in the margins of the 39th session of the Council last year, and we also hosted an international forum on new technology and human rights in Seoul last December.  We will continue to work with other partners to make meaningful progress on this critical issue of our times.


Mr. Vice President,


Last year, I raised the issue of sexual violence in conflicts as a particularly insidious form of violence against women and girls.  To our great dismay, sexual violence in many conflict areas continues, despite the heroic efforts of fearless advocates such as Dr. Denis Mukwege and Ms. Nadia Murad, the recipients of last year’s Nobel Prize for Peace.

 
By honoring them, the prize reminded the world that we are far from eliminating sexual violence as an instrument of war, that victims and survivors are in need of support and must not be forgotten.


The news of the prize would have made Grandma “Kim Bok-dong,” very happy even as she laid in her sick bed.  She was one of the two dozen surviving victims of the “comfort women” during World War II and a fierce advocate for human rights.  Sadly, she passed away in late January this year at the age of 93.  Now, only 23 registered survivors remain, all in their late 80s and early 90s.  The knowledge that they are departing from us without having their lifelong pain fully addressed is sad and deeply frustrating.


Last year, the Committee on the Elimination of Racial Discrimination once again underlined the significance of a victim-centered approach with regard to the issue of “comfort women.”  My government has humbly acknowledged that previous efforts on this issue had been grossly lacking in this regard, and we committed to the victim-centered approach in support of the survivors’ aspiration for justice based on historical truth.  We are also honoring them by ensuring that their stories are not lost and current and future generations learn from their experience, and strengthening our contribution to the global women, peace and security agenda.


As a part of these efforts, my government launched a new initiative entitled “Action with Women and Peace” last year.  There are two pillars to this initiative.  One is to support projects that address the needs of women and girls in conflict and post-conflict situations.  Under this pillar, we are supporting Rohingya refugee women through UNFPA and UNICEF.  We hope to do more as more funding becomes available.


The second pillar is to create an international platform to discuss issues of critical importance to Women, Peace and Security agenda, including sexual violence in conflicts.  We are planning to convene the 1st gathering of this initiative later this year.  I hope this initiative will contribute to further enhancing the WPS agenda globally, in the run-up to the 20th Anniversary of the adoption of Security Council Resolution 1325 next year.


Mr. Vice President,


During the past year, there has been remarkable changes on the Korean Peninsula.  The momentum for inter-Korean dialogue, created at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in February last year, led to three inter-Korean summits and the first-ever US-North Korea summit, thus opening the road to complete denuclearization and establishment of last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n just two days, the 2nd US-North Korea summit will be held in Hanoi, Vietnam with a view to taking significant strides along this road. 


Human rights cannot thrive in the absence of peace, and peace is fragile at best where human rights are ignored.  The process to build a nuclear-free, peaceful Korean Peninsula has just started.  Progress will require sustained focus and will, patience and wisdom on the part of all parties.  But the reward will be enormous: peaceful coexistence where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North Korea will improve and all of the Korean people will be able to seek prosperous lives without the fear of war.


Last year, in this chamber, I underlined the need to resume reunions of families separated across South and North Korea as an urgent humanitarian and human rights issue.  I am pleased to report that a reunion did take place last August.  However, this is hardly enough, given the very advanced ages of the remaining survivors.  My government is working to open a permanent facility for family reunion meetings, as well as video reunions and exchanges of video messages, as agreed at the inter-Korean summit last September.


My government notes the DPRK’s cooperation with several UN treaty bodies, including, in particular, its recent submission of the first national report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We encourage North Korea to further expand its cooperation with UN human rights mechanisms. Furthermore, we hope the DPRK makes use of its 3rd UPR scheduled in May this year as an opportunity for dialogue and cooperation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improve its human rights situations.


Mr. Vice President,


The task of grounding human rights as everyday values to uphold and live by has no end.  It requires hard work and sustained commitment.  As the High Commissioner stated this morning, the work of human rights is not about “perfection” but “progress.”  The Republic of Korea has worked incessantly to build and improve institutions to protect and promote human rights and to nurture a culture of human rights in the everyday lives of our people.  To share our experience and contribute to advancing the global human rights agenda, my government has been constructively engaging in the Council’s work, serving as a Member four times since its creation.


My country submitted its candidature for membership in the Council for the 2020-2022 term, hoping to strengthen our contribution to the Council’s response to the increasingly complex human rights and humanitarian challenges and crises around the world and to assist in capacity-building for developing countries.  We certainly count on the support of all delegations. 


Mr. Vice President,


When the GA adopted the resolution to establish the Human Rights Council in 2006, the late Secretary-General Kofi Annan, who had proposed its creation, expressed his confidence that this Council would breathe new life into our work for human rights, and thereby improve the lives of millions of people throughout the world.  At the same time, he pointedly noted that the true test of the Council’s credibility would be the use that member states make of it.  We all shared in that high expectation.


Have we lived up to the commitments and the aspirations we had for the Council at its creation?  We should constantly put this question to ourselves, as we redouble our efforts to strengthen the Council’s work in the service of millions of people who are discriminated, persecuted and subject to violence around the world.  We should ask the same question in our joint efforts to strengthen the UN human rights mechanisms as a whole, including in “Review 2020” of the human rights treaty body system scheduled for next year.  My government is firmly committed to these endeavors, and looks forward to returning as a Member of the Council next year.


Thank you.  /End/


-------------------------------------------(비공식 국문 번역문)-------------------------------------------


부의장님, 인권최고대표님, 귀빈 여러분, 대표단 여러분, 그리고 동료 여러분,


올해 다시 인권이사회에서 연설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바첼렛 최고대표님께서 새로운 임무를 맡게 된 것을 축하드리며, 지난 6개월간의 노력에 찬사를 보냅니다. 인권과 인간존엄이라는 보편적 가치에 대한 지혜와 경험, 그리고 열정과 헌신이 담긴 바첼렛 최고대표의 리더십하에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가 전 세계적으로 어려운 시기에 인권 보호와 증진의 과업을 부단히, 그리고 성공적으로 수행해 낼 것으로 확신합니다.


작년은 세계인권선언 70주년이었습니다. 전 세계가 모든 이들을 위한 권리, 자유, 그리고 존엄을 약속한지 70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우리가 가야할 길은 먼 것이 사실입니다. 여전히 전 세계 너무나 많은 곳에서 차별, 불평등, 소외, 그리고 불의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또한, 분쟁 상황을 포함하여 많은 곳에서 조직적이고 중대한 인권 침해가 처벌을 받지 않고 계속 자행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많은 나라에서 그간의 성취가 인권을 무시하고 배척하며 불신하는 이들로 인해 설 자리를 잃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포기하거나 희망을 저버려서는 안됩니다. 마틴 루터 킹 목사가 말했듯이, “우리는 끝이 있는 실망은 받아들어야 하지만, 끝없는 희망을 결코 잃어서는 안됩니다.” 우리는 정말 더 열심히 노력해야 합니다. 특히, 여성과 소녀, 아동, 난민과 국내피난민, 위태로운 상황에 처한 이주민 등을 포함한 취약계층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그들이 처한 상황이 기후변화의 엄청난 영향으로 인해 악화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이는 더욱 시급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우리는 인권을 보호하고 증진하기 위한 전 세계적 협력체제를 강화할 수 있는 모든 기회를 활용해야만 합니다. 우리 정부는 내년 북경행동 선언 및 행동계획 25주년 등에 이르는 과정을 포함하여 기회가 있을 때마다 이러한 노력을 기울일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부의장님,


구테레쉬 유엔 사무총장님은 새해 의제를 설정하면서, 금년 한 해 동안 훨씬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21세기 3대 핵심 도전과제중 하나로 신기술을 선정했습니다. 4차 산업혁명을 규정하는 신기술은 우리의 삶과 사회에 대대적인 변화를 가져 오고 있지만, 인권에 대한 함의는 여전히 불분명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낙관주의와 불안이 공존하고 있습니다. 단 한 가지 분명한 것은 그 함의를 이해하고 신기술이 가진 힘이 인권과 인간존엄 향상을 위해 쓰이도록 하는 방안을 찾기 위해 심도있는 연구와 건설적이고 포용적인 대화를 포함하여 모두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결국 기술이 미치는 영향의 좋고 나쁨은 우리가 그것을 어떻게 사용 또는 남용하느냐에 달려있습니다. 혜택을 극대화하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은 우리 모두의 몫입니다. 우리나라는 작년 제39차 인권이사회 계기 OHCHR과 함께 이 문제에 대한 부대행사를 개최하였으며, 지난 12월에는 서울에서 신기술과 인권에 관한 국제포럼을 주최하였습니다. 우리 정부는 우리 시대의 중요한 이슈인 신기술과 인권 분야에서 의미있는 진전을 이루기 위해 국제사회의 여타 파트너들과 지속 협력해 나갈 것입니다.       


부의장님,


저는 작년 이 자리에서 특히 잔인한 형태의 여성과 소녀에 대한 폭력으로서 분쟁하 성폭력 문제를 제기하였습니다. 작년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데니스 무퀘게 박사나 나디아 무라드 같은 용기있는 활동가들의 영웅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많은 분쟁지역에서 성폭력이 지속되고 있음은 매우 실망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들의 노벨평화상 수상은 우리가 전쟁의 수단으로서의 성폭력을 철폐하기까지 아직도 갈 길이 멀다는 사실과 함께 피해자와 생존자들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며 이들이 잊혀져서는 안된다는 것을 전 세계에 상기시켜 주었습니다.

이들의 노벨평화상 수상 소식을 김복동 할머니가 병상에서라도 들었더라면 매우 행복해 하셨을 것입니다. 김복동 할머니는 제2차 세계대전중 위안부 피해 생존자 20여분중 한 분이자 치열한 인권옹호자였습니다. 슬프게도 그녀는 93세를 일기로 지난 1월 세상을 떠났습니다. 이제 23명의 생존자만이 남아 있으며, 모두가 80대 후반에서 90대 초반입니다. 그들이 평생의 고통을 완전히 치유받지 못하고 우리 곁을 떠나고 있다는 사실은 매우 슬프고 좌절스러운 일입니다.


작년 유엔 인종차별철폐위원회는 위안부 문제와 관련하여 피해자 중심 접근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하였습니다. 우리 정부는 동 문제 해결을 위한 이전의 노력에 피해자 중심적 접근이 심각하게 결여되어 있었음을 겸허히 인정한 바 있으며, 역사적 진실에 기반한 정의를 열망하는 피해자들을 지지하면서 피해자 중심적 접근을 공약한 바 있습니다. 우리는 또한 그들의 이야기가 잊혀지지 않고 현재 및 미래 세대들이 그들의 경험에서 배울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전 세계 여성, 평화, 안보 의제에 대한 기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우리 정부는 작년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라는 새로운 이니셔티브를 출범시켰습니다. 동 이니셔티브는 두 개의 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나는 분쟁 상황 및 분쟁후 상황에서의 여성과 소녀의 수요에 부응하는 프로젝트들을 지원하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는 유엔인구기금(UNFPA), 유엔아동기구(UNICEF)를 통해 로힝야 난민 여성들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더 많은 재원이 확보되면 보다 많은 프로젝트들을 지원해 나가고자 합니다.  


두 번째 축은 분쟁하 성폭력 문제를 포함한 여성, 평화, 안보 의제 관련 중요한 문제들을 논의하기 위한 국제적인 기반을 마련하는 것입니다. 우리 정부는 금년중 이 이니셔티브의 첫 회의를 개최할 계획입니다. 저는 이 이니셔티브가 내년 안보리 결의 1325 20주년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여성, 평화, 안보 의제의 국제적 위상을 더욱 제고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부의장님,


지난 한 해 동안 한반도에서는 엄청난 변화가 있었습니다. 작년 2월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시작된 남북간 대화의 여정은 세 차례의 남북정상회담과 첫 북미정상회담으로 이어져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구축의 길을 열었습니다. 이 길에서 중요한 한 걸음을 더 내딛기 위한 제2차 북미정상회담이 이틀 후면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리게 될 것입니다. 


평화가 없다면 인권이 보장될 수 없으며, 인권이 경시되면 평화는 위태로울 수  밖에 없습니다. 핵무기 없는 평화로운 한반도를 향한 여정은 이제 막 시작되었습니다. 진전을 위해서는 모두의 지속적 관심과 의지, 인내와 지혜가 필요할 것입니다. 하지만 그 보상은 엄청날 것입니다 북한의 인권상황이 개선되고 한민족 모두가 전쟁에 대한 두려움 없이 번영된 삶을 추구할 수 있는 평화로운 공존이 바로 그것입니다.


작년 저는 이 자리에서 시급한 인도주의적 문제이자 인권 문제로서 남북이산가족 상봉 재개의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습니다. 작년 8월 이산가족 상봉이 이루어진 것을 알려드릴 수 있어 기쁩니다. 하지만 남아있는 생존자들이 매우 고령임을 생각할 때 이것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우리 정부는 9월 남북정상회담에서 합의한대로 화상상봉과 영상편지 교환, 그리고 상설면회소 개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북한이 금년 1월 장애인권리협약 이행에 관한 첫 국가보고서를 제출하는 등 여러 유엔인권협약기구와 협력하고 있음에 주목합니다. 우리는 북한이 유엔 인권메커니즘과의 협력을 더욱 확대할 것을 독려합니다. 또한, 북한이 금년 5월로 예정된 북한의 3주기 보편적 정례인권검토(UPR)를 북한인권 상황 개선을 위한 국제사회와의 대화와 협력의 기회로 활용하기를 희망합니다.


부의장님,


인권이 일상에서 지켜지는 가치로 뿌리내리기 위한 작업에는 끝이 있을 수 없습니다. 고된 노력과 지속적인 공약이 필요합니다. 인권최고대표가 오늘 오전 언급했듯이, 인권 활동은 “완성”이 아닌 “진전”을 이뤄가는 것입니다. 한국은 인권 보호 및 증진을 위한 제도를 수립, 개선하고 일상생활에서 인권존중의 문화를 배양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왔습니다. 우리의 경험을 공유하고 전 세계 인권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우리 정부는 인권이사회 창설 이래 4차례 이사국을 수임하면서 이사회의 활동에 건설적으로 동참해 왔습니다.


우리나라는 갈수록 복잡해져가는 전 세계 인권, 인도주의 도전과 위기에 대한 인권이사회의 대응에 대한 기여를 강화하고 개도국의 역량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2020-2022년 임기 인권이사회 이사국에 입후보하였습니다. 모든 대표단들의 지지를 기대합니다.


2006년 유엔 총회가 인권이사회 설립 결의를 채택했을 때, 당초 인권이사회 창설을 제안했던 고 코피 아난 전 유엔 사무총장은 인권이사회가 우리의 인권 개선을 위한 활동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어 전 세계 수백만의 삶을 개선시킬 것이라는 확신을 표명하였습니다. 동시에 그는 국가들이 이를 어떻게 활용하는지가 인권이사회 신뢰성의 진정한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우리는 이사회 창설 당시의 공약과 열망에 부응하고 있을까요? 우리는 끊임없이 이 질문을 우리 자신에게 되물으면서 차별과 박해, 폭력에 시달리는 전 세계 수백만의 사람들을 위한 이사회의 활동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배가해야 합니다. 또한 우리는 내년에 예정된 인권협약기구 재검토 “Reivew 2020”를 포함하여 유엔 인권메커니즘 전반을 강화하기 위한 우리의 공동 노력의 과정에서 같은 질문을 되물어야 합니다. 우리 정부는 그러한 노력에 적극 동참할 것임을 약속하며, 내년 이사국으로 다시 만나기를 고대합니다.


감사합니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