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 KOREAN
  2. English
공관 소셜미디어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명칭 : 유럽연합(European Union : EU)

회원국 : 27개국

  •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아일랜드, 덴마크, 그리스, 스페인, 포르투갈, 스웨덴, 핀란드, 오스트리아, 헝가리, 폴란드, 체코, 슬로베니아, 에스토니아, 사이프러스,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몰타, 슬로바키아, 루마니아,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EU회원국 변화

    • 1952년 ECSC창설국(6개국) :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 1973년 (3개국) : 영국, 아일랜드, 덴마크
    • 1981년 (1개국) : 그리스
    • 1986년 (2개국) : 스페인, 포르투갈
    • 1995년 (3개국) : 스웨덴, 핀란드, 오스트리아
    • 2004년 (10개국) : 헝가리, 폴란드, 체코, 슬로베니아, 에스토니아, 사이프러스,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몰타, 슬로바키아
    • 2007년 (2개국) : 루마니아, 불가리아
    • 2013년 7월(1개국) : 크로아티아
    • 2020년 1월 : 영국 탈퇴

가입후보국(9개국) : 튀르키예, 알바니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북마케도니아, 몰도바,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우크라이나, 조지아

잠재적 가입후보국(1개국) : 코소보

창립일자 : 1993.11.1

EU 통합의 역사

EU 통합의 역사 - 연도별 구분
1952.8 유럽석탄철강공동체(ECSC) 발족
1957.3 유럽경제공동체(EEC), 유럽원자력공동체(EURATOM) 창설
1967.7 유럽공동체(EC : European Communities) 기관 단일화
1993.1 유럽단일시장 출범
1993.11.1 유럽연합 출범(마스트리흐트 조약 발효)
1999.1 유럽통화연맹(EMU) 출범
1999.5 암스테르담 조약 발효
2003.2 니스조약 발효
2004.5 EU 25개국 확대(중·동구 10개국 가입)
2004.10 EU 헌법조약 초안 서명(회원국 반대로 부결)
2007.1 EU 27개국 확대(불가리아, 루마니아 가입)
2007.12 EU 개혁조약(리스본 조약) 서명
2009.12 리스본조약 발효

EU 정상회의 상임의장직 및 외교안보정책고위대표직 신설, EU 대외관계청(EEAS) 설립 등 규정

2013.7 EU 28개국 확대(크로아티아 가입)
2020.1 영국 탈퇴(현재 EU회원국은 27개국)

인구 : 약 4.5억명(2024년 기준, EU 통계청)

GDP(명목) : 약 17.9조 유로(2024년 기준, EU 통계청)

1인당 GDP : 약 39,660 유로(2024년 기준, EU 통계청)

경제성장률 : 1.1%(2024, IMF)

교역(2024, IMF/EU 내부교역 포함)

  • 수출 : 약 6조 6천억 유로
  • 수입 : 약 6조 5천억 유로

주요기구 : EU 정상회의, 각료이사회, 집행위원회, 대외관계청, 유럽의회, 유럽사법재판소, 유럽중앙은행, 유럽회계감사원 등

주요인사

  • EU 정상회의 상임의장 : 안토니우 코스타(António COSTA) (2024.12.1~현재)
  • EU 집행위원장 : 우르술라 폰 데어 라이엔(Ursula VON DER LEYEN) (2019.12.1~현재/ 연임중)
  • EU 외교안보정책 고위대표 : 카야 칼라스(Kaja KALLAS) (2024.12.1~현재)

EU 이사회 순회의장국 : 각 회원국이 정해진 순서에 따라 6개월씩 수임

EU 이사회 순회의장국 - 연도, 상반기(1월-6월), 하반기(7월-12월)
연도 상반기(1월-6월) 하반기(7월-12월)
2025 폴란드 덴마크
2026 사이프러스 아일랜드
2027 리투아니아 그리스
2028 이탈리아 라트비아

우리나라와의 관계

  • 외교관계
    1. 외교관계 수립 : 1963.7.24.
    2. 주EU대사관 개설 : 1965.11월
    3. 주한EU대사관 개설 : 1990.1월
  • 교역현황(2024, 무역협회)
    1. 수출 : 681억불(기타정밀화학원료, 전기자동차, 자동차부품, 선박, 승용차)
    2. 수입 : 648억불(의약품, 반도체제조용장비, 승용차, 기타자동차, 가방)
  • 투자현황(2024 누계, 신고기준, 수출입은행)
    1. 對한국투자 : 1,229.8억불
    2. 對EU투자 : 1,225억불
  • 공관장
    1. 주EU대사 : 유정현 (2023.6월 부임)
    2. 주한대사 : 우고 아스투토(Ugo ASTUTO) (2025.8월)

북한과의 관계

  • 외교관계 수립 : 2001.5.14
    1. EU내 未수교국 : 프랑스, 에스토니아
    2. EU회원국 중 주북한 공관 개설국 : 독일, 스웨덴, 폴란드, 루마니아, 불가리아, 체코 철수
    3. EU회원국 중 자국내 북한 공관 개설국 : 독일, 스웨덴, 폴란드, 루마니아, 불가리아, 체코,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수정일자 : 2025. 9.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