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한중관계

경제ㆍ통상

  1. 한중관계
  2. 한중관계
  3. 경제ㆍ통상

교역 현황

중국은 우리의 제1위 교역국, 수출국(2024년 기준)

  • 2022년 대중국 교역 규모 2,729억 달러
  • 대중 수출 1,330억 달러, 수입 1,399억 달러(적자 69억 달러)

    2024년 한국은 중국의 제2위 교역 대상국(출처 : 중국해관총서)

  • 한중 수교 당시(1992년) 63.7억 달러이던 교역액이 2024년 약 43배 증가

대중국 교역 주요 품목(2024년)

  • 수출 : 1)전자집적회로, 2)반도체·전자기기의 부품, 3)환식탄화수소, 4)평판디스플레이 모듈, 5)반도체 보울이나 웨이퍼 등의 품목이 전체 수출의 약 47.9% 차지
  • 수입 : 1)전자집적회로, 2)전화기, 3)자동자료 처리기계, 4)축전지, 5)무기염기, 금속산화물 등 5대 품목이 전체 수입의 약 26.2% 차지

투자 현황

2023년 현재 중국은 우리의 제2위 투자 대상국 (1위는 미국)

  • 2023년 대중국 투자액 약 18.6억 달러
  • 2022년까지 대중국 투자 누계액은 836억 달러

중국의 대 한국 투자(신고 기준)

  • 4.8억 달러(’13년) → 11.9억 달러(’14년) → 19.8억 달러(’15년) → 20.5억 달러(’16년) → 8.1억 달러(’17년) → 27.4억 달러(’18년) → 9.8억 달러(’19년) → 19.9억 달러(’20년) → 18.9억 달러(’21년) → 14.8억 달러(’22년) → 18.6억 달러(’23년)
  • 2023년까지 투자 누계는 216.3억 달러

기업 진출 현황

2024.9월 말 누계 기준 중국 진출 우리 기업은 28,903개(출처 : 한국수출입은행)

KOTRA, 대한상공회의소, 무역협회, 중소기업진흥공단 등이 중국 내 사무소를 설치, 기업 활동 지원 중

  • KORTA(20) : 광주, 남경, 대련, 북경, 심양, 무한, 상해, 서안, 심천, 정주, 장사, 장춘, 성도, 중경, 청도, 천진, 하문, 하얼빈, 항주, 홍콩
  • 대한상공회의소
  • 중국한국상회 : 베이징 소재
  • 지역상회네트워크(45) : 강음, 곤명, 광서, 광주, 남경, 남통, 단동, 대련, 덕주, 동관, 무석, 상주, 상해, 서안, 소주, 승주, 심양, 심천, 안산. 안휘. 양주, 연대, 연변, 연운항, 염성, 위해, 유방. 의오. 일조, 장가항, 장춘, 정주. 제남, 중경, 전강, 진황도, 창주, 천진. 청도, 치박, 하문. 하얼빈, 항주, 혜주, 영구
  • 무역협회(3) : 북경, 상해, 성도
  • 중소기업진흥공단 수출인큐베이터(5) : 북경, 상해, 광주, 서안, 중경

(2025.2.13. 업데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