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주토론토 총영사관 위치 및 근무시간

캐나다 국가 개요

  • 국명 : 캐나다
  • 위치 : 미주대륙 북부
  • 국가형태 : 의회민주주의 연방제
    • 국체 : 입헌군주국 / 정체 : 의원내각제(양원제)
  • 국가원수 : 찰스 3세(King Charles Ⅲ)
    • 총독 : 제30대 총독 매리 사이먼(Mary Simon) (21.7.26~), 통상 5년 임기
    • 정부수반 : Mark Carney 총리(2025.3.14. 제24대 총리로 취임)
  • 면적 : 9,984,670km2 (한반도의 46배, 남한의 101배)
  • 기후 : 대부분 한냉 기후
    • 토론토 지역은 온대기후이나 서울보다 봄․가을이 짧고 겨울(11월-4월)이 긴 편
    • 태평양 연안은 다습 온화
    • 서부산악 및 내륙평원은 대륙성 기후, 기온차 극심
  • 인구 : 4,152만명 (2024년 말 기준)
  • 수도 : 오타와 (Ottawa, 인구 약 110만)
    • 캐나다 최대도시 토론토시의 인구는 약 302만, 광역토론토는 약 647만
  • 주요도시 : Toronto, Montreal, Vancouver, Calgary, Edmonton, Quebec(City)
  • 언어 : 영어․불어(연방정부 공용어) / 사용자 비율 : 영어56%, 불어21%, 기타23%
  • 종교 : 기독교(53%), 무교(35%), 기타(12%)
  • GDP(2023) : 2조 8,850억캐불 / 온타리오주 8,527억캐불, 매니토바주 865억캐불
  • 1인당 GDP(2023) : 71,883캐불
  • 교역량(2023, 통계청) : 총수출 5,840억캐불, 총수입 5,960억캐불
    • 수출의 78%, 수입의 50% 대미 의존
  • 교육 : 의무교육 12년
  • 화폐단위 : CAD (캐나다 불) (2025.4월 기준 미화 1불=캐나다불 1.4불)
  • 연방구성 : 10개주(Province) 및 3개의 특별지역(Territory)으로 구성
    • 주 : Alberta, British Columbia, Manitoba, New Brunswick, Newfoundland, Nova Scotia, Ontario, Prince Edward Island, Quebec, Saskatchewan,
    • 특별지역 : Yukon Territory, The Northwest Territories, Nunavut

      * 3개의 특별지역은 연방정부의 직속 관할하에 있음

  • 영해 : 12해리, 경제수역 200해리
  • 국방 : 지원제(17-24세), 현역 6만 8천명, 예비군 2만 9천명
  • 국경일 : Canada Day (7월 1일)
  • 주요정당 : 자유당(현 집권당), 보수당, 퀘백블럭, 신민주당 등

캐나다 약사

캐나다 약사
1497 영국 선원 John Cabot, 뉴펀들랜드 발견
1534 프랑스 탐험가 Jacques Cartier, 센트 로렌스江 발견
1608 프랑스 이주민들, 퀘벡市 건설
1642 프랑스 이주민들, 몬트리올市 건설
1663 프랑스의 루이14세, 'New France'를 식민지로 선언
1756-63 영.불간 7년전쟁 (영국 승리)
1763 파리 조약으로 全New France를 영국에 양도
1791 영국정부, '캐나다' 명칭 인정
1867 영국의회에서의 '영령 북미조례(British North America Act)' 통과로 '영령 캐나다 연방(Dominion of Canada Confederation)' 성립 (캐나다의 국가로서의 출발)
1909 캐나다 외무부 창설
1931 영연방의 일원으로 독립(그러나 사실상의 헌법인 '영령 북미 조례' 개정권한은 계속 영국이 보유)
1947 영연방중 최초로 자체 시민권을 규정한 Canadian Citizenship Act 제정, 캐나다인을 영국臣民이 아닌 '캐나다 시민'으로 규정
1965 독자적 국기제정
1969 영어 및 불어 공용어 채택
1980 퀘벡주민 투표에서 주권연합의 독립안 부결
1982 헌법(Canada Act) 공포되고 헌법에 대한 전적 권한 보유
1987 Meech Lake Accord 헌법개정안 타결
1990.6. Meech Lake Accord 헌법개정안 비준 실패, 폐기
1992.10. Charlottetown 헌법개정안, 국민투표에서 부결
1993.11. 자유당 정부 집권 (크레티앙 총리 취임)
1994.1. NAFTA 협정 발효
1995.2. 르블랑 제25대 총독 취임
1995.10. 퀘벡주 분리 주민투표에서 분리.독립안 부결
1997.6. 자유당정부(크레티앙 총리) 재집권
1999.10. Adrienne Clarkson 제26대 총독 취임
2000.11. 자유당정부(크레티앙 총리) 3기 집권
2003.12. 폴 마틴 총리 취임
2004.6. 자유당 정부 4기 출범
2005.9. 마이클 장 제27대 총독 취임
2006.2. 보수당정부 출범(스티븐 하퍼 총리 취임)
2011.5. 캐나다 연방선거, 보수당 집권
2018.10. 온타리오주 총선 및 토론토 시장선거(제66대 시장 John Tory)
2019.10. 캐나다 연방 선거, 자유당 재집권
2022.6. 온타리오주 총선(진보보수당 연임)
2023.6. 토론토 시장 보궐선거(제67대 시장 Olivia Chow)
2025.2. 온타리오주 총선(진보보수당 연임)
2025.3. 신임 Mark Carney 캐나다 24대 총리 취임

온타리오주 (Province of Ontario) 약황

온타리오주기
  • 주기 : 1965년부터 사용
    • 영국 상선기(Red Ensign)를 바탕으로 만든 깃발
    • 우측 문양은 온타리오주의 Shield of Arms를 상징
  • 연방정부 가입연도 : 1867년
  • 면적 : 1,068,580 ㎢
  • 주도 : 토론토 (Toronto)
    • 캐나다의 수도인 오타와(Ottawa)시가 위치
  • 인구 : 약 1,591만명 (2023)
    • 캐나다 주 중 최다 인구 거주
  • 재외동포 인구 : 약 12만명
    • 캐나다 주 중 최다 재외동포 인구 거주
  • GDP : 8,527억 캐불 (2023)
  • 주요 산업 : 온타리오는 캐나다 전체 GDP와 인구의 40%정도를 차지하는 지역으로서 △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등 제조업, △ 은행, 보험 등 금융업, △ IT, 과학기술 등 서비스업, △ 광업 등을 주요 산업으로 하고 있음.
  • 한국과의 관계
    • 서울특별시와 오타와시 자매결연
    • 강원도 화천군과 온타리오주 차탐켄트시 자매결연
    • 서울시 구로구와 온타리오주 차탐켄트시 자매결연
    • 전라북도 군산시 온타리오주 윈저시 자매결연
    • 서울시 구로구 온타리오주 윈저시 자매결연
    • 인천광역시 옹진군 온타리오주 배리시 자매결연
    • 경기도 가평군과 온타리오주 브램튼시 자매결연
    • 경기도 군포시와 온타리오주 벨빌시 자매결연

메니토바주(Province of Manitoba) 약황

메니토바주기
  • 주기 : 1965년부터 사용
    • 영국 상선기(Red Ensign)를 바탕으로 만든 깃발
    • 우측 문양은 매니토바주의 Shield of Arms를 상징
  • 연방정부 가입연도 : 1870년
  • 면적 : 649,950 ㎢
  • 주도 : 위니펙 (Winnipeg)
  • 인구 : 약 147만명 (2023)
  • 재외동포 인구 : 약 6천명
  • GDP : 865억 캐불 (2023)
  • 주요 산업 : 매니토바주는 다양한 산업 기반을 보유하고 있으며 △ 농업, △관광업, △광업, △전력생산 등이 주요 산업 분야임
  • 한국과의 관계
    • 경남 진주시와 위니펙시 자매결연

한·캐나다 외교관계

한·캐나다 외교관계
1949.4. 한국 승인
1963.1.13. 국교수립
1965.8.23. 주캐나다 초대 상주대사 임명(백선엽 대사)
1970.2.12. 주벤쿠버총영사관 개설
1974.1.17. 주한캐나다 초대 상주대사 임명 (Stiles 대사)
1975.8.18. 주토론토총영사관 개설
1980.8.15. 주몬트리올총영사관 개설
2014.3.11. 한-캐 FTA 협상
2014.9.22. 한-캐 FTA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