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정책

모로코 정세

  1. 정책
  2. 모로코 정세
  • 글자크기

모로코 정세 및 경제 동향 (8.8.-8.21.)

작성자
주 모로코 대사관
작성일
2025-08-25

1. 대외관계


  1) 모-이스라엘 관련


   가. 모로코 언론들, 모로코 군이 이스라엘 항공우주산업(IAI)社로부터 1억 2,000만 달러 규모의 Harpy, Harop 자폭드론 약 300대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


   나. 모로코 외교부, 성명을 통해 모하메드 6세 국왕의 지시에 따라 가자지구 주민 대상 100톤 분량의 식량과 의약품을 포함한 인도적 물자를 지원했다고 발표(8.18.)


   다.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大이스라엘 발언 관련 모로코 동향


    o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의 '大이스라엘' 발언(8.12) 관련, 모로코 외교부는 공식입장을 발표되지 않은 가운데 동 발언 관련. 걸프협력위원회(GCC)-아랍연맹(AL)-이슬람 협력기구(OIC)가 발표한 공동 규탄 성명에 모로코 또한 서명함.


  2) 모-일본 및 TICAD9 관련


   가. 모-일 어업협정 관련


    o 모로코 언론은 일본 외무성이 모-일 어업협정 수정안 내 '일본 어선이 모로코 국내법에 따라 모로코 해역에서 조업을 할 수 있도록 허가한다'고 명시함에 따라, 서부사하라 지역을 포함한 전체 모로코 해역에 대한 모로코의 법적 관할권을 인정한 것이라고 보도함.


   나. 제9차 아프리카개발회의(TICAD9) 관련


    o TICAD9 관련 모로코 언론들은 Mohamed Racha Bouhlal 주일 모로코대사가 대표로 참석하여 모로코의 대서양 이니셔티브을 소개하고, 모로코와 아프리카 국가간 협력과 아프리카 발전을 강조했다고 보도함.


    o 모로코 언론들은 8.19.(화) TICAD9 개막식에서 Iwaya Takeshi 일본 외무대신이 '일본이 국가로 인정하지 않는 단체가 금번 회의에 참석하는 것은 해당 단체의 지위에 관한 일본의 입장에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고 언급하여 일본의 폴리사리오 미승인 입장을 재확인했다고 보도함.


      - 폴리사리오 언론들은 8.19.(화) TICAD9에 Buchraya Hamudi Beyoun 폴리사리오 총리가 참석했다고 보도


2. 경제


1) 모로코 관광 산업 동향


   o 모로코 언론들은 2025.7월까지 모로코 방문 관광객수가 1,160만명으로 집계되어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한 수치라고 보도함.


     - 한편, SNS, 관광 전문 플랫폼 등에서 모로코 재외국민(MRE)을 비롯한 다수의 관광객들이 ▲실망스러운 고객 서비스, ▲과도한 가격, ▲사기 시도 등을 비판한바, 공식 통계와 일선 현장 반응 사이에서 모로코 관광의 이중적인 실태가 드러난다고 지적


  2) 캐나다 배터리 소재 기업 Falcon Energy Materials社, 모로코 Jorf Lasfar 산업단지에 연간 2만 5,000톤의 배터리 양극재 구형정제흑연(CSPG) 생산 공장 2025년 말 완공 예정


    ※ 동 공장이 현재까지 모로코 내 설립된 배터리 소재 공장 중 최초의 非중국계 자본인 것으로 보도됨. 


3) 모로코 대외 무역 관련 분석


   o 모로코 언론은 모로코 대외 수출 관련 아래 요지로 보도함.


     - 모로코가 다수 국가와 FTA를 체결하고 1,200억 디르함 수출액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수출 확대보다는 수입 확대가 두드러져 무역적자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


     - 2022년 기준 모로코 수입은 2,078억 디르함에 달해 2021년 대비 20.9% 증가, 지역별로 분류시 對EU 수입은 20.9%, 對미국은 60.8%, 對튀르키예는 20.5% 증가


     - 2023년 EU와의 교역액은 560억 유로로 집계되어 EU 의존도가 심화된데 반해, 아시아, 중남미 지역과의 교역은 미미한 상태로 남아 있고,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과의 무역 규모는, 동 지역과 상호연결성을 강화하려는 모로코의 정책적인 이니셔티브에도 불구하고, 2022년 한해 18.14% 감소


  4) 모로코 지역 균형 개발 관련 분석 보도


   o 모로코 언론은 모로코 지역 균형 개발 관련 아래 내용을 보도함.


     - 2017-2022년 지방정부 재정 분석 결과, 지방정부의 자체 재정수입 증가는 지역 경제성장을 유의미하게 촉진하는 반면, 지방정부 지출은 생산성이 낮고 비효율적인 예산 배분으로 인해 지역 경제 성장에 유의미하게 기여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


     - 카사블랑카-세타트 주와 라바트-살레-케니트라 주에 전체 GDP의 48%가 몰려있고 동 지역에 자원 및 투자가 집중되어 구조적인 지역 불균형이 고착화


     - 이에 따라 재정수입 증가를 통해 지방정부의 재정 자율성을 강화하고 지방정부 지출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제고를 통해 지역 경제 성장 유도 필요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