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캄보디아 경제 동향 (3.15-3.21)

작성자
주 캄보디아 대사관
작성일
2025-03-21

2025년 캄보디아 주간(3.15-3.21) 경제 동향


[경제/사회]


■ 온 뽀안모니로앗(Aun Pornmoniroth) 부총리 겸 경제재정부 장관, 공공재정 관리 개혁의 중요성 강조

 ㅇ 온 뽀안모니로앗(Aun Pornmoniroth) 부총리 겸 경제재정부 장관은 3.13.(목) ‘2024 공공재정관리 개혁 프로그램 4단계 연례 평가 회의(2024 Annual Review of the Public Financial Management Reform Program, Stage 4)’ 개막식에서, 캄보디아의 공공재정 관리 개혁이 국제 기준에 부합하면서도 실현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평가함. 또한, 이 개혁 프로그램이 거시경제의 안정성과 회복력을 보장하고, 캄보디아의 장기 목표 달성에 필수적이라고 강조함.

    - 그는 훈마넷 총리의 지도하에 제7대 정부가 공공재정 개혁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캄보디아 비전 2050(Cambodia Vision 2050)’ 실현을 위해 향후 25년간 조달 중심 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힘. 또한, 캄보디아의 재정 시스템이 구조적으로 탄탄하고 변화하는 경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개혁이 필요하다고 언급하며, 이를 위해 11가지 개혁 우선 과제를 제시함.

    - 온 뽀안모니로앗 부총리에 따르면, 캄보디아는 2025년부터 조달정보예산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며, 재정 시스템 자동화, 지방 예산 개혁, 공공 투자 관리 개선, 투명성 강화, 녹색 금융 도입 등의 개혁을 추진할 계획임. 그는 개혁이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국가 발전을 위해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함.

    - 한편, 이번 회의에는 정부 고위 관계자, 개발 파트너, 시·주정부 대표 등 500여 명이 참석했으며, 개발 파트너들은 캄보디아 정부의 개혁 성과를 축하하고 지속적인 협력을 약속함.

    (Khmer Times 3/17. 1면)


■ 캄보디아 관광부 장관, 캄보디아 관광 산업 활성화 전략 발표

 ㅇ 후엇 학(Huot Hak) 캄보디아 관광부 장관은 아시아태평양관광협회(PATA) 캄보디아 지부와 GTVC 수출입 상사 (GTVC Import Export Co Ltd) 간 양해각서(MoU) 체결식에서 캄보디아 관광 산업 활성화를 위한 6대 핵심 전략을 발표하며, 국가 및 지방 정부의 협력, 민간 부문 참여, 국제 협력, 미디어 홍보, 개인 참여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함. 

    - 장관은 캄보디아 관광 산업이 국가 경제 성장의 핵심이며, 이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국가 차원의 협력을 강화하고, 지방 관광 개발을 촉진하며, 민간 부문의 투자를 유치하고, 국제 파트너들과의 협력을 확대할 것이라고 설명함. 그는 훈센 상원의장이 관광을 '녹색 황금(Green Gold)'으로 평가했으며, 훈마넷 총리 역시 관광 산업을 캄보디아 경제의 중추적 요소로 보고 있다며 관광 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함. 

    - 장관은 특히 시하누크빌주를 '모델 다목적 경제특구(Model Multi-Purpose Special Economic Zone, SEZ)'로 발전시키는 계획을 밝히며, 해당 지역이 캄보디아 4대 해안 주 중에서도 가장 두드러진 관광지로, 백사장, 자연 운하, 생태 관광 명소 등 국내외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는 강점을 갖추고 있어 아세안 내 주요 관광지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함.

    - 한편, GTVC 수출입 상사 (GTVC Import Export Co Ltd) 네악 옥냐 띠어 비쳇(Neak Oknha Tea Vichet) 사장은 프레이 놉(Prey Nop) 지역과 코콩(Koh Kong) 리조트 개발 프로젝트 등이 캄보디아 관광업 성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힘. 또한 프레아 시아누크주 주지사 망 시네트(Mang Sineth)은 관광 산업이 경제특구(SEZ) 발전의 핵심 동력이며, 지역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함.

    - 캄보디아는 2024년, 전년 대비 34% 증가한 670만 명의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했으며, 관광 산업은 36억 3천만 달러의 총수익을 창출하며 연간 18% 성장함. 정부는 2025년 국제 관광객 750만 명 유치를 목표로 하며, 주요 관광지 홍보 및 인프라 개선에 집중할 계획임. 

    (Khmer Times 3/17. 6면)


■ 캄보디아 법무부, 사이버 범죄 항목을 형법 포함 검토

 ㅇ 생 디나(Seng Dyna) 법무부 대변인은 3.14.(금) 인터뷰에서, 캄보디아 법무부가 사이버 범죄와 관련된 새로운 범죄 항목을 형법에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히며, 현재 기술 작업팀이 기존 법 조항을 검토하고 있고, 온라인 범죄가 형법에 명확히 정의되지 않은 경우 이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함.

    - 지난 1월, 캄보디아는 사이버 범죄 대응 강화를 위해 유엔마약범죄사무소(UNODC)로부터 암호화폐 사기, 신원 도용, 온라인 사기 등을 해결하는 데 필요한 기술 교육을 받았음.

    - 한편, 캄보디아는 지난 5년간 인신매매 및 사이버 사기 문제로 국제적 비판을 받아왔음. 2024년에는 국제 경찰 및 파트너 기관과 협력하여 606건의 범죄를 단속함. 내무부 대변인 터치 속학(Touch Sokhak)은 캄보디아가 국제적·지역적 협력을 통해 초국가적 범죄 해결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고 강조한 바 있음.

    (Khmer Times 3/18. 3면)


■ 시하누크빌주 특별 투자 진흥 프로그램, 확대 추진 본격화

 ㅇ 마앙 시넷(Mang Sineth) 시하누크빌주 주지사 겸 투자진흥실무단(Investment Promotion Working Group) 의장은 프레이 놉(Prey Nop) 지역에서 열린 관광 행사에서 정부가 프레아 시아누크주의 투자 기회를 확대하고 관광 산업을 활성화하는 데 전념하고 있음을 밝힘. 해당 지역의 전체 생산량은 16억 1,6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1인당 GDP는 4,602달러을 기록함.

    - 마앙 시넷 주지사는 훈마넷 총리가 ‘2024년 시하누크빌주 특별 투자 진흥 프로그램(Special Programme to Promote Investment in Preah Sihanouk Province 2024)’을 공식 출범했으며, 2025년까지 ‘특별 혜택’ 제공을 결정했다고 알림. 그는 시하누크빌주가 매력적인 투자 환경을 조성할 수 있었던 것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덕분이라며, 현재까지 281건의 투자 제안이 접수되었고, 이 중 269건이 원칙적 승인(principle approval)을 받았다 설명함. 또한 이러한 투자가 지역 경제 성장에 기여하여 2023년 시하누크빌주의 경제 성장률이 6%를 기록했고 빈곤율은 1.22%로 감소했다 강조함.

    - 해당 지방 당국은 투자자, 관광객, 주민들에게 안전하고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국가 주권 보호, 정치적 안정 유지, 공공 안전 및 사회 질서 강화에 집중하며 정부 정책을 이행하고 있음. 특히, ‘안전한 마을·공동체(Safe Village-Commune Policy)’ 정책을 추진하며 범죄, 인신매매, 마약 밀매, 불법 무기 거래 등을 단속하는 데 주력하고 있음.

    - 히언사힙(Hean Sahib) 경제재정부 차관 겸 시하누크빌주 투자진흥실무단 의장은 2038년까지 시하누크빌주의 인구가 100만 명에 도달하여 캄보디아 전체 인구의 5%에 해당될 것으로 예상하며, 연간 540만 명의 관광객이 시하누크빌주를 방문해 국가 전체 GDP의 1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함.

    - 한편, 2024년 공식 출범된 ‘시하누크빌주 특별 투자 진흥 프로그램(Special Investment Promotion Programme in Preah Sihanouk 2024)’을 통해 새로운 제조 공장, 농업 산업 단지(Agro-industrial parks), 특별경제구역(SEZ)이 조성되고 있음. 시하누크빌주 특별경제구역(SEZ) 개발·이행을 위한 부처 간 기술 실무단(Inter-ministerial Technical Working Group)의 찌어 콕 홍(Chea Kok Hong) 사무국장은 선전(Shenzhen), 홍콩, 상하이, 싱가포르와 같은 주요 도시들의 인프라 개발 경험을 참고해 종합 계획을 설계했다고 설명하며, 향후 15년간 4,2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및 개발 협력을 유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힘. 또한, ‘특별 정책(Special Policy)’을 통해 세제 혜택 제공, (One Window Service) 간소화, 세관 절차 조정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고 강조함.

    (Khmer Times 3/18. 1면)


■ 훈마넷 총리, 지방의회 의원 대상 연금 제도 및 수당 제공 검토 지시

 ㅇ 훈마넷 총리는 3.18.(화) ‘지방분권 및 분산 개혁’ 포럼에서 경제재정부, 내무부, 인사부, 사회보훈청소년갱생부, 국가사회보장위원회를 비롯한 각 부처와 관련 기관에 지방의회 의원을 위한 연금, 수당, 출산급여 지급 가능성을 검토할 것을 지시함. 

    - 지방분권 및 분산 개혁은 중앙정부가 행정적·재정적 권한을 점진적으로 지방정부에 이양하는 내부 주도형 개혁으로, 지방의회 의원들은 지역 행정의 핵심 역할을 담당하게 됨. 

    - 양 빠우(Yang Peou) 캄보디아 로얄 아카데미 사무총장은 지방의회 의원들이 선출직 정치인이며 공무원이 아니기 때문에 연금 및 사회복지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함. 그는 이들을 위한 사회보장제도가 마련된다면, 퇴직 후 생활을 지원하고 안정적인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연금 도입이 지방행정의 효과성을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평가함. 훈마넷 총리는 특히 온 뽄 모니로앗(Aun Pornmoniroth) 경제재정부 장관과 협의해 세 번째 임기 이상을 수행한 지방의회 의원들을 연금 대상자로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힘.

    - 또한, 훈마넷 총리는 2025년 또는 2026년 초부터 시행할 여성 지방의회 의원을 위한 출산급여 지급 방안을 검토하고 있음. 그는 계약직 교사들의 처우 문제도 언급하며, 봉세이 비솟(Vongsey Vissoth) 부총리에게 계약직 교사들에게도 정규직 공무원처럼 공로 훈장을 수여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을 지시함. 

    (Khmer Times 3/20. 3면)

    

■ 캄보디아 상원 사무국·국회 사무국·중앙은행(NBC), 리엘 화폐 촉진 논의

 ㅇ 치엉 완나릇(Chheang Vannarith) 캄보디아 국회 사무국 차장은 3.18.(화) 언론 인터뷰에서, 상원 사무국과 국회 사무국이 3.20.(목) 캄보디아 중앙은행(NBC)과 함께 ‘리엘, 바콩 시스템, KHQR(Riel, Bakong System, and KHQR)’ 세미나를 개최하여, 리엘 화폐 사용 촉진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힘. 이번 세미나는 제7대 국회 임기 내 두 번째로 개최되는 행사이며, 리엘 재도입 45주년(1980.3.20~2025.3.20.)을 기념하기 위한 자리임.

    - 치엉 완나릇 차장은 국회가 리엘 사용을 장려하는 정책과 제안을 적극 지지하며, 정부와 협력해 화폐 강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힘.

    - 마 아마라(Mar Amara) ACLEDA은행 최고재무책임자(CFO)는 NBC의 정책이 금융권에서 일정 비율의 대출을 리엘로 제공하도록 장려하고 있다고 설명함. 그는 ACLEDA가 전체 대출의 20% 이상을 리엘로 지급하며 기준치를 초과했으며, QR 코드 기반 결제 시스템이 리엘 사용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고 덧붙임. 또한, QR 결제 거래가 ACLEDA 거래 전체의 90% 이상을 차지한다고 언급함.

    - 찌어 세레이(Chea Serey) NBC 총재에 따르면, 캄보디아 리엘 환율 안정이 시장 내 물가 안정에 기여했으며, 2024년 리엘-달러 평균 환율이 4,071리엘로 전년 대비 0.9% 증가하며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됨.

    - NBC는 바콩 시스템을 통해 태국, 라오스, 베트남, 말레이시아, 한국 등의 국제 결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는 QR 코드뿐만 아니라 UnionPay 및 Alipay를 통해 결제할 수 있음. 이를 통해 무역, 투자, 관광을 촉진하는 동시에 리엘 사용 확대를 지원하고 있음.

    (Khmer Times 3/20. 1면)


■ 넷 페악트라(Neth Pheaktra) 공보부 장관, TikTok에 사용자 정보 보안 강화 요청

 ㅇ 넷 페악트라(Neth Pheaktra) 캄보디아 공보부 장관은 3.19.(수) 동남아시아 TikTok 공공정책 책임자인 차니다 클리푼(Chanida Klyphun)과 면담을 가지며, TikTok 플랫폼의 신뢰성과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함.

    - 넷 페악트라 장관은 TikTok이 정부 기관, 민간 부문, 일반 대중을 연결하는 중요한 플랫폼이지만, 가짜 뉴스, 온라인 괴롭힘, 노골적인 콘텐츠, 혐오 발언 등의 문제가 우려된다고 지적하며, TikTok이 커뮤니티 기준을 더욱 강화하여 사용자 정보 보안을 보호하고 보다 안전한 온라인 환경을 조성할 것을 촉구함. 또한, 그는 청소년을 포함한 국민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TikTok에 저널리스트 및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커뮤니티 기준 교육과 워크숍을 개최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을 권장함.

    - 한편, 찌어 완뎃(Chea Vandeth) 우정통신부 장관도 같은 날 차니다 클리푼 TikTok 공공정책 책임자와의 면담에서, TikTok의 온라인 안전 및 플랫폼 정책에 대해 논의하고, ‘TikTok과 함께하는 온라인 안전 및 가이드라인’ 워크숍에 참석함. 해당 워크숍에서, 찌어 완뎃 장관은 향후 캄보디아 내에서 높은 조회수를 기록하는 TikTok 콘텐츠 제작자들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발표함. 그는 콘텐츠 제작자들에게 사회, 환경, 인류 및 경제에 기여하는 유익하고 매력적인 콘텐츠를 제작할 것을 당부하며, 폭력적이거나 공포감을 조성하는 콘텐츠는 수익 창출이 어려울 수 있다고 경고함.

    - 정부 관계자, 언론인, 콘텐츠 제작자들이 참석한 이번 워크숍에서는 온라인 보안, 커뮤니티 기준, 책임 있는 플랫폼 이용 방안이 공유됨. 현재 캄보디아 내 TikTok 사용자는 약 1,000만 명에 달함.

    (Khmer Times 3/21. 8면)


■ 캄보디아, 리엘 재유통 45주년 기념행사 개최

 ㅇ 캄보디아 국회, 상원, 캄보디아 중앙은행(NBC)은 캄보디아 리엘 재유통 45주년을 맞아 3.20.(목) ‘리엘화, 바콩(Bakong) 시스템, KHQR'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으며, 리엘화가 국가 정체성 강화와 경제 안정에 기여했음을 강조하고, 디지털 시대에 걸맞는 통화 정책의 현대화 등에 대해 논의함. 행사에는 투언 왓타나(Thun Vathana) 상원 제2부의장, 치응 분(Chheang Vun) 국회 ‘경제·금융·은행·감사위원회’위원장, 찌어 세레이(Chea Serey) 중앙은행 총재 등이 참석함.

    - 찌엄 옙(Cheam yeap) 국회 부의장은 이번 세미나가 리엘화 재유통 45주년을 기념하고, 관련 부처 및 국민, 특히 입법기관의 참여와 이해를 증진하기 위한 중요한 행사임을 밝힘. 그는 중앙은행이 리엘화, 바콩(Bakong) 시스템, KHQR 사용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정책과 홍보 활동을 지속해온 점을 높이 평가했으며, 국회 또한 국가 주권 강화와 경제적 자율성 확보를 위한 리엘화 사용 확대를 전폭적으로 지지한다고 밝힘. 이어 리엘화는 캄보디아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국민 간 단결과 애국심을 고취시켜 왔으며, 리엘화 사용 확대는 거시경제 정책의 효과성을 높이는 데에 필수적이라고 강조함. 

    - 치응 분 위원장은 리엘화의 역사, 중앙은행 재설립, 크메르루주 정권으로부터의 해방 이후 리엘화 복원을 위한 노력에 대해 설명했으며, 국가 경제 재건을 위한 통화의 필요성을 고취함. 그는 국민 모두가 리엘화 사용에 적극 동참해야 한다고 언급하며, 소득, 지출, 가격표기, 결제, 저축 등에서 리엘화 사용을 촉진할 것이라고 덧붙임.

    - 찌어 세레이 총재는 크메르루즈 정권 이후 국가 재건을 위해 리엘화가 재도입됐으며, 리엘화 유통량이 지난 20년간 연평균 15%씩 증가했으며, 은행 시스템 내 리엘화 대출 및 예금 규모도 각각 35%, 30%씩 빠르게 성장했다고 밝힘.

    (Khmer Times 3/21. 1면)



/끝/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