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는 교육, 과학, 문화 등 분야에서 국제협력을 촉진함으로써 세계평화와 인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1945년 11월 16일 설립된 유엔전문기구로서 설립 이래 교육, 과학, 문화 분야에서의 국제규범의 제정자, 지식과 정보의 보급자, 국제협력의 조정자로서 역할을 수행해 왔습니다. 현재 193개 회원국, 12개 준회원국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목적 및 기능
목적
교육, 과학, 문화를 통한 국제사회 협력 촉진
정의, 법치, 인권 및 기본적 자유에 대한 보편적 존중 제고
평화와 안보에 대한 기여
기능
(Laboratory of Ideas) 미래 주요 이슈들을 예견, 관련 전략.정책 발굴
(Standard-Setter) 주요 도덕적, 규범적, 지적 이슈를 명확히 하여 관련 규범을 창설
(Clearing House) 정보, 지식, 선례의 수집. 배포, 혁신 사업 발굴.시험
(Capacity-builder in Member States) 회원국들의 인적, 제도적 역량 강화
(Catalyst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개발협력을 위한 촉매제 역할 수행
한-유네스코 관계
연혁
1950.6.14. 유네스코 가입
1954.1.30.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설립
1963.4.27. ‘유네스코 활동에 관한 법률’ 제정 공포
운영기구 참여 현황
2019-2023 임기 집행이사회 이사국
2019-2023 임기 인간과 생물권 사업 국제조정이사회(MAB-ICC)
2019-2023 임기 정부간 생명윤리위원회(IGBC)
2019-2023 임기 모든 이를 위한 정보사업 정부간위원회(IFAP)
2021-2023 임기 정부간해양학위원회(IOC) 이사국
2021-2025 임기 불법소유문화재반환촉진 정부간위원회
2021-2025 임기 국제수문학사업 정부간위원회(IHP)
2021-2025 임기 국제커뮤니케이션개발사업 정부간위원회
2020-2024 임기 2003년 무형유산보호협약위원회
유네스코 지정 우리나라 유산 현황
세계유산 (15건)
석굴암.불국사(1995), 해인사 장경판전(1995), 종묘(1995), 창덕궁(1997), 수원 화성(1997), 경주역사지구(2000),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2000), 제주도 화산섬 및 용암동굴(2007), 조선왕릉(2009), 하회/양동마을(2010), 남한산성(2014), 백제역사유적지구(2015),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2018), 한국의 서원(2019), 한국의 갯벌(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