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eg(전자정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 어린이·청소년
  2. RSS
  3.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잠비아, 경제현황

부서명
작성일
2000-08-01
조회수
5793
잠비아, 경제현황(2000.8)

잠비아, 경제현황(2000.8)




2000.8
    잠비아 (Republic of Zambia)

    • 면 적:753,000㎢(한반도의 3.4배)
    • 인구 및 민족:925만명('94년), 벰바족(18%), 통가족(10%) 등 73개 종족
    • 기 후:아열대기후
    • 언 어:영어(공용어)
    • 종 교:토착신앙, 기독교, 회교
    • 통화단위:Kwacha(ZK)
    • 환 율:US$1=Kwacha2,860(2000. 1. 31.)
    • 문 맹 률:46%
    • 실 업 률:36%
    • 국가성립:대통령 중심제
    • 국가원수:Frederick Chiluba 대통령



    1. 정치 정세

      2001년으로 예정된 차기 총선 및 대선을 앞두고 Chiluba 대통령 (5년임기 중임중)은 불출마 입장을 천명한 바 있으나, 여권내 후계구도가 상금 불투명

        -여당인 MMD(Movement for Multiparty Democracy)외에 30여개의 군소정당이 존재하고 있으나 야당활동은 상대적 으로 미미

        -Chiluba 대통령은 최근 콩고민주공화국(DRC)의 휴전협정 중재역할에 진력하는 등 은퇴이후의 위상제고에 치중

      잠비아는 8개국(콩고민주공화국, 앙골라, 나미비아, 보츠와나, 짐바브웨, 모잠비크, 말라위, 탄자니아)과 접경하는 내륙국으로서의 지정학적 요인으로 인해 전통적으로 인접국과 분쟁보다는 중립적 타협노선 채택이 불가피

        -최근 DRC 사태해결을 위한 중재역할 및 앙골라반군 (UNITA) 측면 지원설을 위요한 앙골라와의 마찰 해소 움직임도 이와같은 배경에서 추진

      잠비아 경제는 대서방원조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친서방적인 노선채택 불가피

      독립이후 범아프리카주의 및 반인종차별주의 추구를 위해 탄자니아, 앙골라, 모잠비크, 보츠와나와 함께 1974년 소위 "전선 5개국"(Frontline States)을 형성한 바 있으며, 민족자결주의, 비동맹주의, 반인종차별주의는 90년대 이후 경제실리주의 추구 경향에도 불구하고 계속 중요가치로 작용


    2. 경제 정세 일반

      Chiluba정부는 91.10월 출범이래 민주화와 경제개발이라는 2가지 목표를 적극 추진, 경제자유화 및 국영기업체 사유화 에는 큰 진전을 이루었으나 구조조정으로 인한 대규모 실업사태 및 통화가치 하락을 초래

        -환율의 악화(98. 8. U$1: ZK1,750이던 것이 2000. 1. U$1: ZK2,650으로 변동)로 잠비아 통화가치가 하락

      인플레는 감소 추세(99년: 27%, 2000년: 23% 예상)

      제조업 취약에 따르는 생필품 등 수입의존도가 높아지고 있음

      잠비아 주요상품인 국제가격상승으로 GDP 성장(99년 1.5%, 2000년 5.1% 동의 예상) 추세를 보임

      그간 이룩한 민주화 성과에 힘입어 99년의 경우 서방원조공여국 으로부터 6억3천만불 규모의 원조획득에 성공함으로써 잠비아 경제는 다소 호전 추세를 보임



    3. 부존자원 및 개발현황

    가. 현 황

      동과 동 제련과정의 부산물인 코발트가 잠비아 광업의 90%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밖의 아연, 납, 에머랄드, 자수정, 금, 은 등도 채광되고 있으나, 그 규모는 미미한 편임. 광물의 수출로 인한 외화가득이 전체 외화수입의 90%이상을 차지 하고 있음.

      잠비아의 동 광업은 1920년대 개발되어 생산량이 꾸준히 증가, 60-70년대에는 연평균 70만톤이상을 생산하였으나, 국제 동 가격의 하락, 광산 심층화, 채광장비의 노후화 및 개발투자 부진으로 생산량이 점차 감소, 연40-45만톤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미국, 카나다, 칠레 다음의 제4위 동 생산국)

      잠비아의 동 매장량은 392백만톤으로 추정되어 향후 10-15년 후에는 현재의 동 매장량이 고갈될 것으로 우려되었으나 최근 Konkola 광산부근에서 새로운 동광이 발견되는 등 동광 추정매장량이 1,256백만톤으로 증가되어 신장비 도입 등 신규 개발투자가 확대될 경우 향후 40년이상 지속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잠비아는 충분한 동 제련시설을 보유, 정광만을 수출하고 있는 바, 동 정관순도는 99.99%로 London Metal Market (LMM) 기준 "A" Grade임.

      잠비아는 광물의 생산과 판매를 독립시켜 관장하고 있고, 동, 코발트, 납, 아연 등 주요광물의 채광은 ZCCM(Zambia Consolidated Coper Mines)이 관장하고 있으며, 광물의 판매는 국영기업인 MEMACO(Metal Marketing Corporation of Zambia)가 관장하고 있음.

      잠비아 최대의 생산업체인 ZCCM(종업원 수: 52,000명)의 주식중 60.3%가 국영기업인 ZIMCO(Zambia Industrial Mining Corp)의 소유로 되어 있으며, 정부는 민영화 방침에 따라 ZCCM을 제3단계 사유화 대상기업으로 분류, 정부 소유지분을 매각함.

    <주요 광물생산 현황>

    (단위:천톤)
    '92
    '93
    '94
    '95
    '96
    '97
    441.50
    403.5
    360
    308
    320
    328
    코발트
    4.7
    3.2
    2.6
    2.9
    4.8
    4,9



    나. ZCCM 사유화

      잠비아는 1920년대 이래 국가 경제가 동 및 동의 부산물 (Cobalt) 등에 의존하고 있어, 광산업이 잠비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절대적임(외화수입의 90%이상 차지). 잠비아 경제의 희생을 위해서는 동 산업을 관장하고 있는 ZCCM의 사유화가 필수적이며, 동 사유화가 잠비아의 경제에 미칠 영향은 절대적임.

      현재 ZCCM은 정부지분 60.3%, Anglo-American회사 27.2% (원 소유회사), 34개 기관투자 7.0%, 기타 5.5% 등으로 소유 지분이 분산되어 있음.

      잠비아 정부는 ZCCM 정부지분을 3단계 사유화 대상에 포함하는 등 ZCCM의 사유화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중임.



    4. 시장상황, 개발정책 및 전략

    가. GDP

    <GDP 동향>
    (단위:십억 ZK)

    '91
    '92
    '93
    '94
    '95
    '96
    '97
    '98
    명목 GDP
    219.3
    568.7
    1,140.7
    2,241
    2,998
    3,970
    5,156
    6,650
    실질성장율(%)
    -0.4
    -0.6
    5.1
    -3.5
    -2.3
    6.5
    3.5
    -2.4
    평균환율(ZK:$)
    64.64
    172.21
    452.76
    669.37
    857.23
    1,203.71
    1,314.50
    1,862.07


    나. 교역 현황

      잠비아의 무역은 동의 국제시세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바, 80년이후 동의 가격하락으로 경상수지 적자를 기록, 외환보유고가 급감소함.

      91년이후 신정부는 수출입 허가 완화, 외환통제 완화 등 교역환경을 적극 개선하고 있으나, 수입 자유화에 따른 외국 상품의 유입으로 국내 제조업이 위축되고 있으며, 93년이후 국제 동 시세하락의 영향으로 무역규모가 감소하였으나 96년이래 동 시세상승으로 무역규모 확대 추세


    <무역 및 수지동향>

    (단위:백만불)
    구 분
    '91
    '92
    '93
    '94
    '95
    '96
    '97
    '98
    수 출
    1,172
    1,177
    1,013
    1,066
    1,233
    1,092
    1,135
    903
    수 입
    752
    829
    802
    903
    1,074
    965
    1,144
    1,020
    무역수지
    420
    348
    211
    163
    159
    128
    9
    117
    경상수지
    -308
    -288
    -258
    -57
    -139
    -150
    -206
    -301


    나. 대외채무

      잠비아의 외채는 98년말 현재 72억불로, 수출액의 8.0배, GNP의 2배이상에 달하는 등 아프리카 국가중 부채부담율이 가장 높은 국가중의 하나임. 잠비아의 외채는 약 45%의 다자간 장기신용 공여, 40%의 양자간 공공채무와 약 15%의 단기성 상업차관으로 구성됨.

    라. 대외원조

      잠비아는 75년이후 수지개선을 위해 외국원조에 크게 의존, 80년대에도 연평균 4-5억불의 해외원조를 수혜 받았으며, 그중 80%를 무상원조 형태로 제공받음. 그러나, 87년 IMF와 결별함으로써 주요 공여국의 지원이 격감(87년 4억불, 88년 1.5억불)되어 경제사정 악화를 더욱 심화시켜 왔으며, 90년도 IMF와의 협상재개 및 91. 10월 총선이후 서방원조국의 지원으로 외환시장이 호전되었으나, 97-98 국내 정치위기로 서방으로부터 원조가 중지된 후 99년 총 6억3천만불의 서방원조를 획득함으로써 경제 호전 추세

    마. 국영기업 사유화

      신정부 출범이후 대대적인 경제구조 조정 및 개방정책에 따라 92년 사유화법(The Privatization Act, No. 21 of 1992)이 제정되고, 사유화청(Zambia Privatization Agency)이 설립됨.

      당초 152개 국영기업에 대해 3단계에 걸친 사유화 실시계획으로서, 당초 잠비아 정부는 국영기업의 사유화를 통해 내국인 투자뿐 아니라 외국으로부터의 투자유치를 기대하였으나, 외국인의 투자가 아직 미흡한 형편임.

    바. 투자유치제도

    1) 중소기업투자의 혜택

      소득세 면제(도시소재 중소기업 3년간, 농촌소재 기업 5년간)

      공장비품 수입시 관세 혜택

      최초 5년간 제조업 허가없이 조업 가능

      5백만Kwacha(약 미화 1만미불상당)이하 투자기업, 인가 수수료 면제


    2) 특별혜택(Special Incentive)

      대 상

        - 순외화소득을 가져오는 통산품업자

        - 현지 농업에 소요되는 생산품 및 농업관련 생산품

        - 연간 매출액의 25%이상을 외화로 획득하는 관광업

        - Local 원료를 상당히 이용하는 수입대체 업종


      혜 택

        - 외국인 5명까지 고용허가 인정

        -사업설립, 확장에 필요한 기계, 장비에 대한 관세 및 판매세 면제

    3) 서비스 지원

      공장부지 선정확보시 편의제공(수도, 전기, 통신, 교통 기타시설 편의제공)


    4) 투자보장 및 과실송금

      투자된 자산은 법률에 의하지 않고는 강제 수용되지 않으며, 수용시에도 투자된 외화로 즉시 전액보상

      외환규정에 관계없이 해당 외화의 국외송금 허용

        - 배당금 또는 납세후 소득

        - 국외 차입금의 원금 및 이자

        - 계약에 따른 수수료 및 로얄티

        - 회사 청산후 순잔액



    5. 우리나라와의 경제 통상 관계

    가. 수출입관계
    (단위:천불)

    연 도
    수 출
    수 입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364
    4,719
    4,867
    5,230
    4,379
    3,272
    2,727
    2,750
    15,080
    2,465
    11,815
    14,946
    3,059
    1,184
    977
    2,311


    나. 개인기업 진출현황

    1) (주) Bella(가발 제조업체)

        -1992. 6. 잠비아 개점

        -매상고 연 40만불

    2) Photo Bank(사진업)

        - 1996. 5. 개점



      6. 경쟁국 진출 현황

        잠비아내 주요기간 산업은 영국을 중심으로 한 유럽의 다국적 기업에 의해 독과점 형태로 운영되고 있음.

        일본은 자동차분야에 대리점을 두고 있으나 실제 관리는 현지인 대리자가 맡고 있음.

        우리나라의 중소기업이 진출가능한 중소기업 분야는 인도계가 90%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이들간에 형성된 카르텔로 인해 소규모 자본에 의한 외부인의 신규진출은 위험부담이 큼.



      7. 부문별 진출 확대 방안

        잠비아은 아프리카 중남부에 위치한 내륙국으로서 원료 및 제품수입이 주변국 항구를 통해 이루어지는 관계로 물가수준이 주변국가들에 비해 높은 편임.

        또한 Infrastructure의 미비로 운송에 상당한 시일이 소요되고 있어 해외자본의 잠비아 투자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음.

        중소기업의 진출가능성이 있는 분야로는 플라스틱 제조업 (현지 생산)과 소규모 개인사업(사진업, 가죽제품 판매)임.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