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eg(전자정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 어린이·청소년
  2. RSS
  3. ENGLISH

외교부

군축·비확산이슈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안보
  4. 군축·비확산
  5. 군축·비확산이슈
글자크기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 현인그룹 서울회의 장관 개회사

부서명
외교부 > 국제기구국 > 군축비확산과
작성일
2015-07-24
조회수
9295

 

Opening Remarks
by H.E. Yun Byung-s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June 25, 2015

Members of GEM (젬),
Executive Secretary Zerbo,
Distinguished guests,
Ladies and gentlemen,

Today, as we speak, the Doomsday Clock is at three minutes to midnight, the closest ever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This is a hair-trigger state of affairs, to which many have become blindingly numb. In fact, last month when the 2015 NPT Review Conference concluded without a final document, I was worried the Clock would tick even closer to midnight.

My remarks may sound ominous, but this isn’t going to be a “gloom and doom” speech. Rather, my point is that now is the time for us to take stock of developments in the field of nuclear non-proliferation, and chart our future course of action.

And I say this as someone with a special attachment to disarmament and non-proliferation issues. As the Minister at the Korean Mission in Geneva fifteen years ago, I was actively engaged in a host of conferences and negotiations, including the 2000 NPT Review Conference, the Verification Protocol of the Biological Weapons Convention, and the Fissile Material Cut-off Treaty (FMCT) at the Conference on Disarmament (CD). Even now, as Foreign Minister, I find that experience invaluable. For me, the international disarmament and non-proliferation regime is an intricate canvas laced with political, legal and technical features – for instance, the security consideration of states, universally applicable legal norms and the implementation and verification mechanisms underpinning the whole system.

For sure, this system was not created out of a political vacuum. It is the outcome of close international cooperation under favorable circumstances. Indeed, we can recall the post-Cold War period as a high-water mark, a time of hope for a virtuous cycle of disarmament and non-proliferation reinforcing global peace and security: first, indefinitely extending the NPT in 1995, second, opening the Comprehensive Nuclear-Test-Ban Treaty (CTBT) in 1996 and third, bringing the Chemical Weapons Convention into force in 1997.

In particular, at that time, the CTBT was speedily negotiated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armly welcomed its noble goals – i.e., curbing the development of nuclear weapons, setting up an international monitoring and verification mechanism, thereby ultimately leading us to usher in a nuclear zero world. It was rightly hailed as a historic milestone in strengthening the rule of law in nuclear non-proliferation, and as a major pillar for a more robust NPT system.

However, nineteen years on, the CTBT has yet to become law. It still remains a “sleeping beauty,” bidding its time to wield its great potential. Even UN Secretary-General Ban Ki-moon, Chairman of the CTBTO PrepCom back in 1999, has expressed dismay and disappointment at this delay.

The ramifications of this situation are being felt around the world, but nowhere more acutely than in the Korean peninsula. Indeed, North Korea is the only country to have conducted nuclear weapon tests in the 21st century. At present, its nuclear weapons programs are the most serious challenge to the global non-proliferation regime. Despite international efforts, it is going down a misguided and anachronistic path, arguing that it can have both guns and butter.

Last March, North Korea chose the recent Conference on Disarmament meeting to unabashedly declare itself as “the youngest nuclear weapon state,” and to threaten it could conduct a pre-emptive nuclear strike. And last month, its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 (SLBM) ejection test hit the headlines, an example of its efforts to upgrade nuclear and missile capabilities.

Needless to say, for North Korea, guaranteeing security through nukes is, and will remain, a pipe dream. I truly hope they will soon wake up and open their eyes to reality: nukes bring nothing but isolation and sanction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a cast-iron commitment to nuclear non-proliferation, and will not accept a nuclear armed North Korea. Pyongyang would do well to take a lesson from the Iranian case and return to the dialogue table.

If North Korea signs and ratifies the CTBT, it would send a strong signal in the path towards denuclearization. Indeed, Security Council Resolution 1874(2009), adopted in the wake of Pyongyang’s second nuclear test, urges it to do so.

As for the Republic of Korea, not only have we already ratified the CTBT, but we are also actively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efforts to strengthen the global nuclear non-proliferation regime. In 2012, we hosted the Nuclear Security Summit. From 2013 to 2014, we chaired the 1540 Committee as a member of the Security Council. Furthermore, from 2016 to 2017, we will chair the Nuclear Suppliers Group (NSG).

We are trying to strengthen the international regime, while nudging North Korea to make a right strategic decision, to give up its nukes. In our view, North Korea’s nuclear conundrum is after all part of the North Korea question. So, we are working to make the efforts for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and peace-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mutually reinforcing. And our door for inter-Korean dialogue remains wide open.

Ladies and gentlemen,

Seventy years after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we are witnessing the “return of geopolitics” as well as remnants of the Cold War style zero-sum mindset around the world. This kind of approach would be especially counter-productive in the field of non-proliferation and disarmament.

And twenty-five years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we in Northeast Asia are still living under its shadows. We need to improve the security landscape by strengthening non-proliferation efforts in this part of the world.

In this regard, it is crucial to prioritize the entry into force of the CTBT. But this is easier said than done. Breaking nearly two decades of inertia and intransigence will require out-of-the-box thinking. For the CTBT, eight is the magic number. The U.S. and China, two among the remaining eight, have shown their capacity for compromise in fields such as climate change. This is something that the CTBT urgently needs too.

Reaching out to the holding-out eight would also be necessary. Secretary-General Ban has floated the idea of a joint outreach campaign with the Executive Secretary. The CTBTO’s two-decades-long track record of monitoring and on-site inspections will be effective assets in any such campaign. In particular, a special high-level meeting to mark the 20th anniversary of the CTBT in 2016 with a view to facilitating its entry into force warrants our serious consideration.

So, let me assure you this: to help the CTBT come into effect, the Republic of Korea will spare no efforts. And to achieve the vision of a nuclear zero world, Korea will play its part as a true partner.

In closing, I sincerely hope that the experience, insights and wisdom you will share today and tomorrow will lead us toward realizing our common goals for the CTBT.

Thank you very much. /끝/

--------------------(비공식 국문번역)---------------------

현인그룹 위원 여러분,
제르보 CTBTO 사무총장님,
내외 귀빈 여러분,

오늘 이 순간,‘운명의 날 시계(Doomsday Clock)’는 냉전종식 이래 자정에 가장 가까운 자정 3분 전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실로 머리가 곤두서는 상황이 아닐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상황에 극도로 무감각해진 것 같습니다. 사실 지난달 2015 핵비확산조약(NPT) 평가회의가 결과문서를 채택하지 못하고 폐막했을 때, 저는 이 운명의 날 시계가 자정에 더 가까워지지 않을까 걱정하였습니다.

제 말씀이 불길하게 들릴 수 있겠습니다만, 이 연설은 결코 어두운 전망에 관하여 말씀드리고자 하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저는 바로 지금이야말로 핵 비확산 분야의 성과를 잘 분석해 보고 향후 행동계획을 설정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는 개인적으로 군축·비확산 이슈에 대해 각별한 애정을 가지고 있는 사람으로서 드리는 말씀이기도 합니다. 저는 15년 전 주제네바 대표부 공사로 근무하던 시절 2000년 NPT 평가회의, BWC 검증의정서, 그리고 제네바군축회의(CD)의 핵분열물질생산금지조약(FMCT) 등 다수의 군축·비확산 회의와 협상에 적극적으로 관여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외교장관인 지금까지도 매우 소중한 자산이 되고 있습니다. 저는 국제 군축·비확산 체제가 국가들의 안보상 고려, 보편적으로 적용가능한 법적규범, 그리고 전체 시스템을 뒷받침하는 이행 및 검증 메커니즘과 같은 정치적, 법적, 기술적 요소들이 함께 가미된 복잡다기한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분명히, 군축·비확산 체제는 정치적 공백(political vacuum)에서 나오는 것은 아닙니다. 그것은 우호적인 환경 아래 긴밀한 국제 협력의 산물입니다. 실제로 우리는①1995년 핵비확산조약(NPT)의 무기한 연장, ②1996년 CTBT 서명 개방, ③1997년 화학무기금지협약(CWC) 발효와 같은 군축·비확산 분야에서의 진전이 탈냉전시대 국제평화와 안정과 상호 추동하는 선순환에 대한 희망에 부풀었던 시기도 기억하고 있습니다.

특히, 당시 CTBT는 신속하게 타결되었고, 핵무기 개발의 억제, 국제적 모니터링 및 검증체제의 구축을 통해 궁극적으로 핵무기 없는 세상을 달성한다는 숭고한 목표로 인해 국제사회로부터 따뜻한 환영을 받았습니다.

동 조약은 그야말로 핵 비확산 분야에서의 법치주의(rule of law) 강화라는 측면에서 역사적 이정표이자 보다 강화된 NPT 체제의 핵심 구성요소로 기대를 모았습니다.

그러나, 19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CTBT는 아직 발효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CTBT는 여전히 엄청난 잠재력을 발휘할 시간을 기다리고 있는‘잠자는 숲속의 미녀(Sleeping Beauty)’로 머물러 있습니다. 1999년 CTBTO 준비위 의장을 맡았던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역시 이러한 CTBT 발효 지연에 대해 실망과 아쉬움을 피력하곤 합니다.

이러한 상황이 초래하는 영향은 세계 도처에서 느낄 수 있습니다만, 한반도야말로 그러한 영향이 가장 심하게 느껴지는 곳이라 하겠습니다. 북한은 21세기 들어 핵 실험을 감행한 유일한 국가입니다. 현재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은 국제 핵 비확산 체제에 대한 가장 심각한 도전이 되고 있습니다. 국제사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병진노선을 고집하며 그릇되고 시대착오적인 길로 치닫고 있습니다.

지난 3월, 북한은 제네바 군축회의(CD)에서 염치없이 스스로를“가장 청소(靑少)한 핵 보유국”이라 칭하면서 핵 선제타격 실행을 운운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지난달에는 북한이 핵·미사일능력의 고도화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행한 SLBM 사출시험이 언론의 헤드라인을 장식하기도 했습니다.

두말할 나위 없이, 북한이 핵을 통해 자신들의 안위를 보장받으려고 하는 것은 현재에도 그리고 미래에도 허망한 꿈에 불과할 것입니다. 저는 북한이 하루속히 핵무기는 고립과 제재만을 심화시킬 뿐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눈을 뜨기를 진심으로 희망합니다. 국제사회는 핵 비확산에 대한 확고부동한 공약 아래, 북한의 핵무장을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입니다. 북한이 이란 핵 협상에서 교훈을 얻어 대화의 장으로 복귀할 것을 촉구합니다.

만약 북한이 CTBT를 서명.비준한다면, 이는 비핵화를 향한 과정에서 좋은 신호가 될 것입니다. 실제로 북한의 두 번째 핵실험 후 채택된 안보리 결의 1874호(2009)도 북한의 CTBT 가입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한편, 한국은 CTBT를 서명, 비준하였을 뿐만 아니라, 핵 비확산 체제 강화를 위한 국제적 노력에 적극 참여하고 있습니다. 2012년에는 핵안보 정상회의를 주최하였습니다. 2013~14년에는 안보리 이사국으로서 1540 위원회 의장을 수임하였습니다. 또한, 2016~17년 임기 NSG 의장국을 맡을 예정입니다.

우리는 국제 핵 비확산 체제의 강화를 위해 노력하면서, 북한으로 하여금 핵 포기라는 전략적 결단을 내리도록 압박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북핵 문제란 결국 북한 문제의 일부라고 봅니다. 우리는 북한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구축 노력이 상호 추동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북한과의 대화의 문도 활짝 열려 있습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2차대전 종전 70주년을 맞는 지금, 우리는 전세계 도처에서“지정학의 복귀”와 냉전시대의 제로섬(zero-sum)적 사고의 잔재를 목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특히 군축·비확산 분야에서 역효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또한 냉전 종식후 25년이 지났음에도 우리가 있는 동북아는 여전히 냉전의 그림자 아래 놓여있습니다. 우리는 이 지역에서의 핵 비확산 노력 강화를 통해 안보 환경을 개선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점에서 CTBT의 발효는 군축·비확산 분야의 최우선과제가 되어야 합니다. 물론 이 과제의 실현은 말처럼 쉽지 않습니다. 20년 가까운 관성과 비타협적 태도를 깨기 위해서는 혁신적 사고(out of the box thinking)가 필요합니다. CTBT에 있어서 8은 마법의 숫자입니다. 남아있는 발효요건국 8개국 중 가장 중요한 미-중 양국은 이미 기후변화와 같은 분야에서 타협을 이끌어 낼 수 있음을 보여 주었습니다. 이러한 타협의 자세야말로 바로 CTBT가 절실히 필요로 하는 바입니다.

발효요건국 8개국에 대한 아웃리치도 중요합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CTBT 사무총장과 공동 아웃리치 켐페인 방안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 CTBTO가 지난 20년간 구축해 온 핵실험 탐지 및 현장 검증 역량은 이러한 아웃리치 켐페인에 효과적인 자산이 될 것입니다. 특히, 2016년 CTBT 서명 개방 20주년을 맞아 CTBT 발효 촉진을 위한 고위급 특별회의 개최도 진지하게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저는 한국이 CTBT 발효를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여러분들께 약속드리고자 합니다. 한국은 핵없는 세상이라는 비전 달성을 위한 여정에 진정한 파트너로서 그 역할을 다할 것입니다.

끝으로, 이틀간의 회의 동안 현인그룹 위원님들의 경험과 통찰, 그리고 지혜를 통해 우리가 CTBT의 조기 발효를 위한 공동 목표 달성에 다가설 수 있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군축비확산담당관실
전화
02-2100-7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