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연설문

제1차 세계신안보포럼 개회사 (11.16.)

작성일
2021-11-16 10:05:28
조회수
8229



제1차 세계신안보포럼 개회사 (11.16.)




President Toomas Hendrik Ilves, 

Chairman Klaus Schwab, 

Chairman Eric Schmidt, 

Vice-Chair Wei Shaojun,

Distinguished Guests, Ladies and Gentlemen,


I thank you for joining us in this inaugural meeting of the World Emerging Security Forum, and would like to invite you to take the long view, both in looking back at the past as well as looking ahead into the future on what security has meant and should mean to us going forward.  


Security threats have been traditionally perceived as physical conflict involving the use of weapons. Looking back, however, it is striking to note that the level of military violence among countries has steadily come down.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physical harm that human beings inflicted on each other, even accounting for the horrible wars of the 20th century, there has been a steady but clear decline in violence.  


There are many factors that contributed to this trend, but the key ones would be the rise of literacy and education,eradication of poverty and the spread of democracy and respect for human rights. We can observe a clear correlation between the improvement in these standards and the rise in the human faculty to resolve differences through peaceful means. 


In particular, the unmistakable trend for democratic countries to not fight each other, a phenomenon that is famously known as “Democratic Peace”,reminds us again the value and universality of democratic principlesnot only for domestic governance but also to ensure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But we are gathered here today because, despite this progress, we still do not feel completely safe and secure.  


And when I say “we”, I mean mainly “us” more as individuals than as citizens of our respective countries. Indeed, the concept of “human security” that has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captures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the threats that fall outside the traditional boundaries of inter-state military conflict.  


All of us have been deeply impacted by the Covid 19 pandemic for the past 2 years. More than five million people have lost their lives to the pandemic in less than two years to the pandemic, more than double the military casualties in the WWII. I only hope that this will be a temporary setback, and that in the coming months we will recover to return to a new normalcy.  


Today, I had a virtual meeting with foreign ministers of 14 Pacific Island countries. They all expressed their deep concerns about the on-going threats stemming from the pandemic. 


But they all argued that the biggest long-term and imminent threat comes from climate change and dealing with its effects ranging from extreme weather events, rising sea level and shrinking bio-diversity, all of which will uproot the way of life as we know it. They said in one voice that it is not the future that is at stake, but the present is at stake.


Then there are the risks that come hand in hand with the benefits we enjoy from a connected and automated world.Our threats to cyber security range from the mundane crash of our phones and computers to a system-wide failure that could cripple our infrastructure. 


Korea is recently suffering from an abrupt disruption in supply chain of previously not well known urea solution. Many automobile makers around the world is busy dealing with the sudden decrease of supply of semi-conductors.


These are just a few of the emerging security issues that we felt deserved a dedicated forum where we can try to make better sense of what lies ahead both in terms of the threat and, more importantly, how we should respond. 


If the threat is global, the response must also be global. Unfortunately, in our ongoing collective response to Covid and to climate change, we have seen how difficult it can be to let go of our state-centric habits and biases to be truly collective. 


We have also come to realize that today's security threats know no border drawn by men. No one can be free and safe until everyone is free and safe. Emerging security threats cannot be resolved by the efforts of any one country alone.


This is not to say that nation states are irrelevant. On the contrary, each government has a critical role to play in mobilizing civil society, academia, and business as well as making the connection across borders.  


We need to learn to become more flexible and nimble to ensure that the right player at the right time and at the right place can make the optimal intervention against these emerging threats. Governments have the authority and the responsibility, and, therefore, should also have the humility to make these hard choices.  


Today, as we are joined by leading experts of various nationalities and specialties, I hope we can agree on one thing: that solidarity and cooperation is the only way to tackle new challenges in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In May of last year, President Moon Jae-in declared Korea's commitment to take on a leading role in constructing a new world order based on solidarity and cooperation in the post-pandemic era. This forum is part of our efforts to implement the commitment. 


Sun Tzu, the famous strategist and philosopher of ancient China, once said that “If you know your enemy and if you know yourself, you will win all 100 of 100 battles.”  


I hope the conference today will serve as one of many occasions for us to better understand our emerging threats and to explore how best we can re-align ourselves to come up with a truly collective and effective response. 


Thank you.  /END/




-------------------------------------------(비공식 국문 번역문)-------------------------------------------




일베스 전 대통령님, 슈밥 회장님, 

슈미트 전 회장님, 웨이샤오쥔 부회장님, 

그리고, 내외 귀빈 여러분, 


오늘 세계신안보포럼이 첫 발을 내딛는 자리에 

함께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보가 과거에 어떤 의미였는지 돌아보고, 

미래에 어떤 의미를 가져야 하는지 제시하는 

장기적인 관점을 나누는 자리에 여러분들을 초대하고자 합니다. 


전통적으로 안보 위협이라고 하면

무기 사용을 수반한 물리적 충돌을 떠올리는 것이 

과거의 일반적인 인식이었습니다. 

그러나 과거를 돌아보면 국가 간의 무력 충돌 수준이 

꾸준히 감소해 왔다는 점은 놀랄 만합니다.

인간이 서로에게 가한 물리적 위해의 빈도를 보면, 

지난 세기에 있었던 수차례의 잔혹한 전쟁을 고려하더라도, 

꾸준하면서 뚜렷한 감소가 있어 왔습니다.


이러한 경향에 기여한 요소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에서 핵심적인 것은 문해력과 교육 증진, 

빈곤 퇴치, 민주주의 확산, 인권 존중일 것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기준들의 개선과 

평화적 수단을 통해 차이를 해결하는 인간의 능력의 증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민주주의 국가 간에는 전쟁을 하지 않는,

‘민주적 평화’라는 명확한 경향이 있습니다.

이 현상을 통해, 

우리는 다시금 민주적 원칙의 가치와 보편성이 

국내 거버넌스 뿐 아니라 국제 평화안보의 보장에도 기여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오늘 여기에 모인 것은, 

이러한 진전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완전히 안전하다고 느끼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는 각국의 시민으로서가 아닌, 각 개인으로서 ‘우리’를 의미합니다.

실제로 최근 발전해온‘인간안보’의 개념을 통해

국가 간 군사적 충돌이라는 전통적 경계를 벗어난 위협에 대한

대응의 중요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우리 모두는 지난 2년 간 코로나19의 영향을 크게 받아왔습니다.

팬데믹 발생 이후 지난 2년 간 사망자만 해도 5백만 명이 넘으며,

이는 세계 2차대전 전사자의 2배가 넘는 규모입니다.

이것은 일시적인 후퇴로서, 

앞으로 수개월 내 우리가 새로운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저는 오늘 14개 태평양도서국 외교장관들과 화상회의를 가졌습니다. 

모두가 팬데믹에서 비롯한 지속적인 위협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하였습니다. 

그러나 참석자 모두가 가장 장기적이고 임박한 위협은 

기후변화와 이에 따른 급격한 기상 변화, 

해수면 상승, 생물다양성 감소 등의 문제라고 역설하였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우리가 알고 있는 삶의 방식을 

송두리째 바꿔놓을 수 있는 것입니다. 

참석자들은 한 목소리로 

미래가 아니라 현재가 관건이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상호연결되고 자동화된 세계에서 

우리가 누리는 혜택과 깊이 연결되어 있는 위협도 존재합니다. 

사이버안보에 대한 위협은 

일상적인 핸드폰, 컴퓨터 작동에 발생하는 문제부터 

인프라 마비를 야기하는 시스템 전체의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최근 한국은 과거에는 많이 알려지지 않았던 

요소수 공급망의 갑작스런 불안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의 많은 자동차 생산 기업들은 반도체 공급의 갑작스런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들은 신안보 현안의 몇 가지 사례입니다.

우리는 이로부터 신안보 위협의 특성을 더 잘 이해하고,

무엇보다도 우리의 대응 방법을 파악하기 위해

신안보를 다루는 별도의 포럼이 필요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전지구적 위협에는 전지구적 대응이 필수적입니다. 

안타깝게도, 

우리는 코로나19와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의 사례에서,

진정한 공동 대응을 위해 국가 중심적 관습과 편향으로부터 

탈피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아왔습니다. 


우리는 또한 오늘날의 안보 위협은 

인간이 정한 국경을 알지 못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모두가 자유롭고 안전할 때까지 누구도 자유롭고 안전할 수 없는 것입니다. 

새로운 안보 위협은 어느 한 국가만의 노력으로는 해결될 수 없습니다. 


물론 국가가 새로운 안보 위협과 무관하다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각국 정부는 시민사회, 학계, 기업의 참여를 유도하고

국경 간 연결을 이끌어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적합한 행위자가 적재적소에서

새로운 위협에 대해 최적의 대응을 해 나가도록 하기 위해서는, 

더욱 유연하고 민첩해지기 위해 배울 필요가 있습니다. 

정부가 권한과 책임을 가지고 있는 만큼, 

겸허하게 어려운 선택도 해야 합니다. 

오늘 각국, 각계의 권위 있는 전문가분들이 함께 해주신 자리에서,

국제평화안보가 새로운 도전과제에 직면한 상황에서, 

연대와 협력만이 새로운 국제평화안보의 도전과제에 대처할 

유일한 방법이라는 데

모두가 한 뜻으로 공감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문재인 대통령께서는 작년 5월,

재난, 질병, 환경문제 등 새로운 안보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연대와 협력의 국제질서를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하신 바 있습니다. 

세계신안보포럼은 이러한 의지를 구현하고자 하는 

우리 정부의 노력의 산물입니다. 

고대 중국의 유명한 전략가이자 철학자인 손자는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고 하였습니다. 

오늘 회의가 우리가 신안보 위협을 더 잘 이해하고 

진정으로 효과적인 공동 대응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우리 자신을 재정비하는 최적의 방법을 찾아내는 

기회 중 하나가 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